족쇄 푼 네이버 마이데이터, 미래에셋 '속결' 배경은 의결권 9.5%로 줄여 대주주 심사 제외…FI 역할 충실, 경영참여 안해
원충희 기자공개 2021-01-13 08:08:45
이 기사는 2021년 01월 12일 09:53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미래에셋이 '의결권 축소'라는 신속한 결단을 내리면서 네이버 마이데이터 사업의 족쇄가 풀렸다. 미래에셋의 속결이 가능했던 이유는 네이버파이내셜 설립 때부터 재무적 투자자(FI)로만 참여한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기 때문이다. 경영참여나 이사선임권을 요구하지 않은 것도 그런 맥락이다.미래에셋대우는 전일 네이버파이낸셜 보통주 10만9500주를 전환우선주(CPS)로 변경한다고 밝혔다. 주주 간 계약조건별로 다르지만 통상 우선주는 보통주보다 배당에서 우선하는 대신 의결권은 없는 주식을 뜻한다. 미래에셋이 바꾸려는 CPS 역시 무의결권 주식이다.
CPS 변경이 완료되면 미래에셋의 네이버파이낸셜 의결권은 기존 17.66%(21만4477주)에서 9.5%(10만4977주)로 낮아진다. 10% 미만으로 줄여 대주주 심사대상에서 빠지기 위해서다. 현재 네이버파이낸셜은 2대 주주 미래에셋대우의 외국환거래법 위반혐의로 인해 마이데이터 본허가 심사에 제동이 걸린 상태다. 마이데이터 사업을 구하기 위해 결자해지를 한 셈이다.
의결권을 줄인다는 것은 합작법인(네이버파이낸셜)의 주요 주주에서 일개 투자자로 위상을 스스로 위축시키는 결정이다. 미래에셋의 CPS 전환이 끝나면 네이버의 의결권은 90% 이상으로 확대된다. 이처럼 미래에셋이 마이데이터 사업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결단을 내릴 수 있던 이유는 애초부터 경영참여의 뜻이 없었기 때문이다.
미래에셋대우의 지난해 3분기 보고서를 보면 네이버파이낸셜 보통주 15.01%, 우선주 10.48%를 가졌음에도 관계기업이 아닌 출자기업으로 분류하고 있다. 기업 경영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없다는 회계적 시그널이다.

FI라 할지라도 투자기업 감독을 위해 등기이사 자리를 요구하는 게 관행인 점을 감안하면 미래에셋의 행보는 색다른 면이 있다. 임원 교류도 그룹 내에서 핀테크 업무를 맡았던 서래호 상무가 미래에셋대우를 퇴사해 네이버파이낸셜 부문장으로 이직한 정도다.
미래에셋그룹 관계자는 "출범 때부터 FI로서의 역할에 집중할 뿐 경영참여를 염두에 두지 않았다"며 "이직한 임원 외에는 회사 차원에서 이사회나 경영참여를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이사회 모니터/LG전자]월풀보다 독립성 낮지만 ESG등급 높은 까닭
- 'IPTV 위축' SKB, 인터넷 재판매 확대로 만회하나
- 네이버 솔루션 받는 ZHD, '라쿠텐·아마존' 겨냥
- '흑전 실패' 카카오페이, IPO 선택지는 넓어져
- KT, OTT 시즌 '분사 검토' 셈법은
- KT에스테이트, 최남철 대표 선임…KT 밸류업 힘 보탤까
- [Company Watch]골프존뉴딘홀딩스, '안성Q 매각' 흑자전환 효자
- [오너십 시프트]더블유에프엠, 코링크PE 그림자 지운다
- [오너십 시프트]레드로버, '거래재개' 이후 CB 오버행 가능성은
- bhc, 박현종 회장 직속 '신사업팀' 가동 드라이브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네이버 솔루션 받는 ZHD, '라쿠텐·아마존' 겨냥
- '흑전 실패' 카카오페이, IPO 선택지는 넓어져
- '픽코마' 날았다…카카오재팬 흑자전환 성공
- [Company Watch]네이버, 4조 현금보유고 반토막 난 사연
- [카카오 글로벌 도전기]여민수·조수용의 3.0, 전면에 나선 'IP·콘텐츠'
- 후발주자 증설에 삼성SDI, '캐파 경쟁' 뛰어드나
- 곳간 든든한 삼성SDI, 헝가리법인 '1조 지원'도 거뜬
- 삼성전자, 4.5조 웃돈 준 '하만' 영업권 3600억 손상
- 삼성전자 하만, 적자에도 시장점유율 승승장구
-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 연봉 184억 '2배 껑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