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1년 01월 20일 11:02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들을 대상으로 한 정책형 뉴딜펀드 출자가 본격화되고 있다. 정부가 추진해온 '한국판 뉴딜'을 위한 자금지원의 일환인 만큼 이번 출자사업의 규모가 업계의 예상보다 커질 수 있다는 기대감도 감지된다. 오는 26일 제안서 제출을 준비하고 있는 PEF 운용사들은 먼저 한국판 뉴딜에 걸맞는 테마를 선점하기 위한 작업에 들어간 모습이다.사실 펀드의 성격에 대해 여전히 궁금증을 가진 사람도 적지않다. '뉴딜(New Deal)'이라는 말은 미국 작가 마크 트웨인이 처음 쓴 말이다. 1890년대 남북전쟁 이후 시대상을 그리면서 '경제와 사회의 구조를 바꿔 새판을 짜야 한다'는 의미로 처음 사용했다. 대공황을 겪은 미국 경제를 살리기 위해 프랭클린 루스벨트가 이에 착안해 뉴딜정책을 시행하며 세간에 알려졌다. 때문에 정부가 뉴딜펀드를 계획한 것은 경제구조를 바꿔 새로운 기회를 도모하겠다는 의미로 읽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책형 뉴딜펀드가 포괄하는 테마가 워낙 다양하다보니 우려감도 적지 않다. 기존에 PEF 운용사들에게 출자되어온 구조혁신펀드나 성장지원펀드와 큰 차이가 없을지도 모른다는 걱정이 그것이다. 뉴딜펀드 출자를 위한 기존 펀드의 드라이파우더 소진 규정도 없어 '일단 받고 보자'라는 안일한 분위기가 형성될까 우려하는 시각도 존재한다.
현재 출자자 측이 밝힌 뉴딜의 인정분야는 총 6가지로 △D.N.A. △미래차·그린모빌리티 △친환경·녹색산업 △뉴딜 서비스 △SOC·물류 디지털화 △스마트제조·스마트팜 등으로 나뉜다. 분야별로 주목적 투자처에 대한 구획이 정리돼 있긴 하지만 바이오산업과 환경산업은 물론 IT기술에 기반한 다수의 신산업들이 투자대상에 포괄된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뉴딜펀드 출자가 자칫 눈먼 돈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일정부분 수긍이 간다.
결국 투자의 성패는 전문성으로 귀결된다. 뉴딜펀드가 신산업에 마중물 역할을 하고, 더 나아가 대한민국 경제 성장에 밑거름이 되기 위해서는 운용사별로 주력 테마에 얼마나 깊은 전문성과 인력을 갖췄는지가 중요하다.
정책형 뉴딜펀드의 PEF 출자는 행복한 결말을 맞을 수 있을까. 펀드가 만들어지고 청산되기까지 앞으로 최장 10년의 기간이 남아 속단하기엔 이르지만 대규모 정책자금이 믿을 만한 곳에 맡겨져 제대로 운용되고 있는지는 계속 지켜볼 일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피플&오피니언
-
- [2021 Credit Forum]"자산유동화시장 격변기, 신용위험 변화 주시 필요"
- [2021 Credit Forum]“코로나 백신 나와도 위기, 금융사 잠재부실 주의해야”
- [2021 Credit Forum]"회사채 시장 확대 속 A급 약진 기대…ESG 중요도 증가"
- [공모주펀드 하우스 분석]양승후 KTB운용 이사 "승부처는 소외주 체리피킹"
- 김광수 은행연합회장 "공동 ESG표준안 필요"
- 최원석號 BC카드, '새술은 새부대에' 경영진 재구축
- 서정진의 은퇴는 아직 멀었다
- 넥스트지인베스트의 'M&A전략' 승부수
- 이문환 전 행장, 케이뱅크 TF장 맡는다
- 산은에 '대체'된 3자연합
최익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진그룹 경영권 분쟁]한진칼 주총 주주제안 침묵 3자연합 속내는
- 금호석화 캐스팅보트 NPS, 의결권자문사에 시선집중
- 투자유치 추진 그린카 두고 국내외 IB 물밑 경쟁
- 글로벌세아, 대한전선 인수전 참전 채비
- [두산그룹 구조조정]포터블파워사업부, 매물 재출회 가능성은
- 뉴딜펀드 조성나선 PEF, 매칭 수월할까
- [교보생명 FI 갈등]"대조양·삼바와 다르다" 회계업계 '차분'
- [한진그룹 경영권 분쟁]정중동 3자연합, 주주제안 카드 ‘만지작’
- [한진중공업 M&A]필리핀 금융기관, 동반매도권 동의에 무게
- 소수지분 투자 안전장치 고민하는 PE 업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