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엔에이치리서치, 120억 시리즈B 클로징 비임상 약물 유효성 평가 역량 강화·퇴행성 뇌질환 타깃 인지기능 증진제 개발
최은수 기자공개 2022-05-09 11:09:10
이 기사는 2022년 05월 06일 11:22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비엔에이치리서치가 2년만에 연 시리즈B 투자 라운드를 마무리 지었다. 조달자금은 인지기능증진제 전임상 등에 투입할 예정이다.비엔에이치리서치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진행한 시리즈B 라운드에서 120억원을 조달했다. UTC인베스트먼트, LSK인베스트, CKD창업투자, 어니스트벤처스, PNP인베스트, 위벤처스 등이 참여했다.
당초 작년 하반기 시리즈B 라운드를 열 당시에는 자금유치 규모를 200억원 안팎으로 설정했다. 그러나 조달금액은 목표 대비 줄었다. 이번 조달자금은 퇴행성뇌질환 치료제 파이프라인의 전임상 연구와 후속 파이프라인 개발에 사용한다.
비엔에이치리서치는 성인 대뇌피질의 신경(시냅스) 가소성을 재활성화 해 인지기능을 개선하는 기전의 약물을 개발하고 있다. 질환을 유발하는 단백질을 제거하는 기존 퇴행성 뇌질환 치료 기법과는 다른 기전이다. 시냅스의 가소성을 증가시키면 알츠하이머 등 퇴행성 뇌질환이 유발하는 인지기능 및 기억감퇴 또한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회사 측은 해당 기전으로 개발된 약물은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 등의 정신운동 장애 치료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고 설명한다. 이를 포함해 100여종 이상의 인지기능개선 질병을 대상으로 파이프라인을 확대할 방침이다.
비엔에이리서치는 대뇌피질 인지기능 분석을 위한 약물유효성 평가 플랫폼도 자체적으로 구축했다. 약물 유효성 평가는 신약 개발 R&D의 초기 단계인 비임상시험의 핵심 분야로 꼽힌다. 회사는 타깃이 정해져 있는 약물의 효능을 전기생리학적 실험방법 및 질병 모델 행동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비엔에이치리서치는 2016년 정승수 연세대 의대 교수가 설립한 회사다. 설립 후 약물 유효성 평가에서 경쟁력을 쌓아 온 것을 바탕으로 2019년 팁스 프로그램에 선정됐다.
2020년 55억원 규모 시리즈A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시리즈A에는 LSK인베스트먼트, 피앤피인베스트먼트, 알바트로스인베스트먼트, UTC인베스트먼트-KB증권 등이 참여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한국테크놀로지, 최대주주 20회차 CB 주식 전환
- 코리아센터 "몰테일, 해외 물류센터 간 직접 거래 증가"
- 카나리아바이오, 글로벌 임상 3상 환자 모집 50% 달성
- [증권사 부동산금융 전략 점검]대신증권, 하이엔드 주거·코어오피스 차별화 역점
- 도원동산개발 '디폴트', 동산동 사업지 공매로
- [LH는 달라졌나]투기 사태 혼란에도 '역대 최대 실적'
- [건설사 프롭테크 전략 돋보기]DL이앤씨, 생산성 높인 '스마트 디벨로퍼' 발돋움
- 현대건설, 높여 잡은 수주목표치…역대급 실적의 꿈
- DL그룹, 크레이튼 이사회 의장에 남용 고문 선임
- CBRE코리아, 차기 포트폴리오 핵심 '데이터센터'
최은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L&C바이오의 큐렉소 투자, 中 사업 시너지 도모
- 덱스레보, IMCAS 참가…'고우리' 브랜드 마케팅
- 헬릭스미스, 엔젠시스 환자 추가 모집 시 자금 여력은
- "국내·외 VC 눈여겨 보는 난임 시장, AI로 공략"
- '비마약성 진통제 2상 신청' 코미팜의 R&D 전략은
- 'AI 신약 플랫폼' 아론티어 시리즈B 마무리
- 강스템의 임상 계획 취하, 줄기세포업계 예의주시
- '헬릭스미스 스핀오프' 카텍셀, 첫 외부 자금 유치
- [제약바이오 시총분석]엔젠시스 중간평가 앞둔 헬릭스미스, 1년 만에 '톱20'
- [제약바이오 옥석가리기]에스바이오메딕스, 하지허혈 치료제로 코스닥 재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