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ny Watch]'AI 검사설비' 트윔, 현금화 속도 내는 배경은1분기 기준 507억, 3개월만에 68% 증가…신사업·해외 진출 대비
정유현 기자공개 2022-05-20 08:10:21
이 기사는 2022년 05월 17일 13:19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인공지능 검사설비 전문기업 '트윔'이 역대 최고 수준으로 내부에 현금을 쌓아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각자대표체제를 도입하며 본격적인 사업 확장을 위한 밑그림을 그려둔 상태다. 해외 진출 및 신사업을 준비하고 있는 만큼 자체 자금 확보에 박차를 가하는 것으로 풀이된다.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트윔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올해 1분기 말 기준 507억9100만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말 302억원 수준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불과 3개월 만에 68% 늘어난 셈이다.
트윔은 현금 확보를 위해 금융기관에 예치해뒀던 자금을 대거 현금화했다. 작년 말 198억원이던 금융기관 예치금을 전부 현금화하면서 현금성 자산이 3개월만에 200억원가량 껑충 뛴 것이다. 코스닥 상장을 준비하던 기간인 2020년에도 한차례 금융기관 예치금을 현금화시켰고, 당시 현금성 자산은 100억원대로 증가한 바 있다.
현금성 자산 규모가 500억원을 넘긴 것은 2010년 설립 이래 처음인 것으로 파악된다. 처음 연결 감사보고서가 공개된 2016년의 현금성 자산 규모는 8억5900만원 수준이었다. 창업 후 8년간 흑자 행진을 지속했고 역대 최고 매출 및 순이익을 기록했던 2017년 222억원 수준이었다는 점을 감안해도 올해 1분기 보유 현금이 가장 많다.
영업활동을 통한 현금 유입뿐 아니라 단기 금융자산을 현금화 시키는 작업을 반복하며 역대 가장 많은 현금을 내부에 확보해 두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트윔의 재무 전략은 대규모 투자 지출을 대비하기 위한 사전 조치로 해석된다. 트윔은 2017년 최대 매출을 기록한 후 2018년부터 실적이 고꾸라지기 시작했다. 전방 산업인 디스플레이 시장 위축으로 주요 고객사인 톱텍의 경영 사정이 악화됐기 때문이다. 단일 고객사의 의존도가 높았던 트윔은 2018년 40억원대 순손실을 냈고 2년 연속 적자 상태가 지속됐다. 업황 악화로 준비 중이었던 기업공개(IPO)도 자진 철회를 했다.
고객사 다변화의 필요성을 느낀 트윔은 신기술 개발을 통해 매출 다변화에 성공했고 신사업 진출을 도모하기 시작했다. 2020년 매출액 182억원, 순이익 29억원을 기록하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디스플레이뿐 아니라 제약과 자동차, 식품 등으로 영역을 확장하면서 신규 프로젝트를 수주한 성과다. 인도 등 해외 지역에 법인을 설립하면서 해외 진출에도 적극 나섰다.
지난해 11월 코스닥 상장으로 조달한 자금을 AI 비전 검사설비 고도화 등에 투자하고 있고 제약, 타이어, 식품 등 제조업 전반으로 사업 영역을 넓히고 있다. 또한 일본, 중국, 대만 등 제조업 강국을 중심으로 해외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특히 고령화로 노동 인구가 감속하고 있는 일본 시장 진출을 노리고 있다. 현지 법인 설립을 통해 일본의 산업용 AI 분야에 진출하겠다는 포부다. 코로나19로 잠시 주춤했지만 엔데믹 기대감에 따라 해외 진출이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본격적인 투자 행보에 시동을 걸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삼성SDI 출신 정해주 대표를 영입하며 기존 정한섭 단독 대표이사 체제에서 정한섭-정해주 각자 대표이사 체제로 전환했다. 올해 본격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경영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이다.
트윔 관계자는 "공모자금과 은행에 예치해둔 자금을 현금화 한 것이 맞다"며 "2020년에도 만기 이슈 때문에 재예치를 하는 과정에 현금성 자산이 증가한 적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때문에 해외 진출이 막히며 해외 진출을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했지만 올해는 상황이 나아지며 점진적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대동을 움직이는 사람들]'35년 원맨' 강경규, 대동기어 매출 3000억 시대 열까
- 지마켓글로벌, 신세계 '멤버십·새벽배송' 시너지 시동
- 위기의 아모레, 제2도약 '맥킨지' 컨설팅 받았다
- '송출료 직격탄' 홈앤쇼핑, '영업·관리' 이원화 돌파구
- '팬데믹 타격' ㈜대교, '현금배당' 주주환원 이어간다
- [격변기 홈쇼핑 생존전략]CJ ENM, 커머스부문 ‘MD 차별화’ 사활 건다
- [삼양식품을 움직이는 사람들]'외풍에 단단해진 오너십' 김정수 부회장, 수출기업 개혁 전도사로
- [현장 인 스토리]'사업 다각화' 고민 하이즈항공, 해외 M&A 검토
- [건설사 프롭테크 전략 돋보기]현대건설, 주택사업 'A to Z'에 신기술 적용
- [격전지 리모델링 시장]HDC현산, '수직증측' 기술력 증명할까
정유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대주주 지분 5% '매커스', 자사주 활용법 '촉각'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반도체 기술력 겸비 '매커스', 비메모리 타고 비상
- 대우조선해양건설-영남이공대, 산학협력 협약 체결
- [오너십 시프트]앰버캐피탈, 제이준코스메틱 인수 '완주' 할까
- 대우조선해양건설, 437억 케이블카 조성 공사 수주
- [오너십 시프트]앰버캐피탈, 제이준코스메틱 인수 '프리미엄 2배' 베팅
- [오너십 시프트]이도헬스케어, 6개월만에 제이준코스메틱 재매각 '왜'
- 한국테크놀로지, 한국인베스트먼트뱅크 합병 완료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종업원 지주사' 에이치시티, 창업 3인방 지배력 '견고'
- 경남제약스퀘어, B2E 유통플랫폼 '노머니마켓' 론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