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콕스, 블리스터 포장 사업으로 매출 다각화 블리스팩과 공동 사업 계약, 설비·공급권 확보
신상윤 기자공개 2022-05-20 16:48:54
이 기사는 2022년 05월 20일 16:37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코스닥 상장사 메디콕스는 20일 블리스터(Blister) 포장 전문기업 '블리스팩'과 공동 사업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진단시약과 화장품 등에 특화된 블리스터 포장 사업으로 매출 다각화에 나서겠다는 전략이다.블리스터 포장은 제품 전면 부분에 플라스틱 시트를 성형해 내용물 충전 후 필름으로 덮어 밀봉하는 방식이다. 강도가 있는 성형 포장부에 내용물이나 제품을 내재시키는 만큼 보호 효과 및 변질 방지 등에 뛰어나다. 기존 플라스틱 포장과 비교하면 단가 상승도 없어 가격 경쟁력도 있다.

블리스팩은 2002년 설립돼 국내 최초로 화장품용 블리스터 포장 장비와 생산 시스템을 개발한 곳이다. 아모레퍼시픽 출신 안종원 대표가 경영을 맡고 있다. 특히 동결 건조 생산라인 구축 등 높은 수분 차단력까지 갖춰 식품이나 의약품에 쓰였던 포장 노하우를 화장품까지 확대 적용했다.
메디콕스 관계자는 "제약 및 의료품에 블리스터 포장 방식을 적용하면 안정성 확보와 소비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며 "블리스팩이 제조 및 생산하는 모든 제품의 공급권을 확보한 만큼 경쟁력 있는 시장에서 실적을 견인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수분 차단력이 뛰어난 블리스터는 제품의 유통기간도 늘려 제품 유통 측면에서도 긍정적"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세계로 뻗어가는 포스코의 '기업시민'
- 초록뱀미디어, 가상인간 '루시' 전속 계약 체결
- 삼성전자 파운드리 키울 삼박자 '기술·투자·OSAT'
- 삼성디스플레이, BOE에 반격 시작하나…점유율 70% 회복
- 80조 '차 반도체' 잡아라…삼성 이어 LG도 기웃
- 두나무, 해외 진출 발판으로 '두나무글로벌' 활용한다
- 넷마블, 신규 편입 계열사 키워드 '블록체인·자체 IP'
- 삼성전자, 매출 86%가 해외계열사 거래...구조적 이유는
- [지배구조분석/카카오엔터프라이즈]'3조→2.5조'로 낮아진 기업가치 아쉬움
- 실탄 3000억 손에 쥔 대한전선, 투자금 어디에 쓸까
신상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THQ 새 주인 '휴림로봇', FI 엑시트 구조까지 마련
- 국보 "美 레드힐, 600억대 라이선스·로열티 현금 확보"
- [에쿼티스퍼스트 포커싱]변동성 큰 한국 시장, 틈새 노린 '델타 헤징' 전략
- 국보 "MOA '썬로이' 태국 뷰티 시장 진출"
- [에쿼티스퍼스트 포커싱]끊이질 않는 오너가 발길, 2년새 3700억 오갔다
- 에스엘바이오닉스, 사업목적 재정비 '기업가치 제고'
- 에스엘바이오닉스, 5대1 액면분할 '주주가치 제고'
- 메디콕스 "메콕스큐어메드, '멕벤투' 임상 1상 개시"
- 보그인터내셔날, 골프 클럽 시장 진출
- 케이에스피 모기업 '금강공업', 삼미금속 M&A 우회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