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우리들CC, 매물로 나왔다 KPMG 매각주관사 선정, 다음달 입찰…리조트·메디컬센터 개발 가능한 유휴부지 보유
이정완 기자공개 2022-06-27 07:40:37
이 기사는 2022년 06월 23일 15:41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제주도에 위치한 우리들리조트CC가 매물로 나왔다. 코로나19 이후 골프 인구 증가로 인해 인수·합병(M&A)시장에서 골프장 가격이 지속 상승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매도자 측이 이를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들리조트CC는 추가 개발을 위한 인허가도 확보한 상태라 개발 잠재력도 갖췄다는 평이다.23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우리들리조트제주는 제주 우리들CC 골프장을 비롯해 개발 가능한 유휴부지 매각을 목적으로 삼정KPMG를 주관사로 선정했다. 다음달 입찰을 진행한 뒤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매각은 우리들CC를 운영하는 우리들리조트제주 지분 100%를 양수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매도자 측은 7월 내로 우협을 선정하고 연내 거래를 마칠 예정이다.
제주 서귀포시 상효동에 위치한 우리들CC는 2008년 18홀(North 코스 9홀, South 코스 9홀) 회원제 골프장으로 개장했다. 전체 사업부지는 약 40만평으로 골프장과 클럽하우스, 골프텔 28실 등으로 구성돼있다.
영업적자를 기록하던 우리들리조트제주는 2020년 대중제 전환 후 급격한 실적 상승을 나타냈다. 코로나19로 인해 해외 여행이 어려워지자 제주도를 찾는 골프 여행객이 늘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매출은 106억원으로 2020년 59억원 대비 80% 늘었고 영업이익은 16억원으로 전년 마이너스(-) 59억원에서 흑자 전환했다. 지난해 골프장 입장료 매출은 68억원으로 전년 34억원보다 2배 증가했다.

이 같은 골프장 호황세와 맞물려 비수도권 골프장도 매매 가격 상승세가 뚜렷하다. 지난해 지방 골프장 주요 거래 사례를 살펴보면 충북 진천 골프존카운티 화랑이 홀당 73억원, 강원 횡성 옥스필드가 홀당 72억원, 충북 제천 힐데스하임이 홀당 59억원 등에 거래된 바 있다. 코로나19 전 홀당 20~30억원 수준에 거래되던 지방 골프장이 이제 홀당 60~70억원에 거래되는 셈이다.
우리들CC는 최근 국내 골프장 거래 사상 최고가에 거래된 인천 송도 잭니클라우스GC와 설계자가 같다는 점에서 눈에 띈다. 세계적인 골프 코스 디자이너인 잭 니클라우스가 설계해 제주 지역에서 가장 다이내믹하고 도전적인 코스로 알려져 있다. 엄격한 코스 관리 덕에 KLPGA, KPGA 등 대회를 유치한 이력을 갖추고 있다. 송도 잭 니클라우스GC는 이달 초 홀당 160억원을 넘는 3000억원 초반에 포스코O&M에 매각됐는데 우리들CC 이 가격의 절반 수준에 거래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들CC를 운영하는 우리들리조트제주는 골프장과 별도로 개발 사업이 가능한 유휴부지 약 5400평을 보유하고 있다. 대규모 개발 사업 인허가를 이미 획득해 분양이 가능한 독채형 리조트, 메디컬센터, 공연장 시설을 지을 수 있다. 우리들CC가 위치한 한라산 중산간 지역은 최근 환경 보호를 이유로 개발 인허가가 어려운 상황이라 개발이 가능한 유휴부지가 갖는 가치도 높다는 평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신진에스엠, 슈퍼 개미 탓 성장동력 발굴 스텝 꼬였다
- 치열해진 'SLL·스튜디오드래곤', 엇갈린 매출·수익 향방
- 펄어비스, 법인세 환급으로 메운 인건비 부담
- [갤럭시언팩 2022]갤럭시워치5, 애플과 차별점은 "BMI측정 기능 장착"
- 지니뮤직, 음악사업 외 포트폴리오 확장 '박차'
- [갤럭시언팩 2022]노태문 사장 "폴더블폰, 삼성의 미래 게임체인저"
- [갤럭시언팩 2022]뉴욕 'Z플립4' 포문 연 최승은 삼성전자 CMO
- [ESG 모니터/위메이드]ESG위원회 설립 1년… ‘정보보안’ 중심 드라이브
- [사면의 경제학 2.0]리스트 오른 이재용 부회장, '복권'이 중요한 이유
- 네오위즈, 폴리곤과 '인텔라X' 만든다…네오핀과 투트랙
이정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드파인' 내세운 SK에코플랜트, 주택시장 새 지평 연다
- 일레븐건설, 1조 유엔사부지 개발 승인 임박
- 케이리츠투자운용, 음성 감곡 CJ물류센터 매각
- [건설사 시공능력 점검]새 주인 앞둔 쌍용건설, 시평 33위…재무개선 '관건'
- SK에코플랜트의 자회사 'TMI'
- [건설사 시공능력 점검]한신공영, 시평순위 주춤…선별수주 전략 선회
- 한화자산운용, '한화리츠' 출시…그룹 오피스 담는다
- [부동산 운용역과의 수다]"BDD 오피스 만개…차세대 권역 '성수'를 주목해라"
- [건설사 시공능력 점검]SK에코플랜트, '탈건설'에도 4년 만에 '9위' 재탈환
- [건설사 시공능력 점검]DL이앤씨, 3위 복귀했지만…공사 실적 원복 '아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