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use Index]DS투자증권, 대주주 바뀌자 적자에도 '25억' 배당기존 무배당 기조에서 변화...대주주 'DS콜럼버스'가 배당금 모두 취득
윤진현 기자공개 2023-05-16 07:22:02
이 기사는 2023년 05월 09일 16:22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DS투자증권이 사상 처음으로 배당을 진행했다. 배당금은 DS투자증권의 지분 100%를 보유한 DS콜럼버스가 전액 취득한다. DS콜럼버스는 사모펀드(PEF)인 DS프라이빗에쿼티가 대주주 적격 승인 요건을 충족하고자 세운 일반 법인이다.사실상 PEF가 지배구조 상단에 위치하면서 DS투자증권의 무배당 기조에도 변화가 생긴 것으로 풀이된다. 2022년 DS투자증권이 적자로 전환하면서 배당 재원이 줄어든 상황이기에 이례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적자 전환으로 재원 줄었지만 첫 배당
증권업계에 따르면 DS투자증권이 2022년 결산 배당액을 보통주식 1주당 11.15원으로 결정했다. 이는 1주당 액면가액의 2.2%에 해당한다. 현금 배당 총액은 약 25억원이다. DS투자증권이 배당을 진행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DS투자증권 사상 첫 배당이 이뤄진 점은 이례적이다. DS투자증권은 2022년 연결기준 매출 1026억원, 영업적자 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1.6%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106.8% 감소했다. 당기순손실은 약 18억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공정가치측정금융상품 관련 손실이 크게 늘어난 영향이 컸다. 복합금융상품이나 수익증권, 펀드 항목의 가치가 2022년 695억원 가까이 떨어져 손익에서 차감됐다. 전년(428억원)과 비교해 약 270억원 늘어난 수준이다.
적자 전환의 여파로 배당 재원이 소폭 줄어든 상황이다. 2022년 연결기준 이익잉여금은 약 42억원으로 집계됐다. 당기순손실(18억원)을 반영하면서 전년(60억원) 대비 감소세를 보였다.
다만 DS투자증권은 그간 누적된 결손금의 영향으로 이익잉여금을 쌓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2019년 107억원, 2020년 21억원으로 연이어 결손금을 줄인 후, 2021년 처음으로 잉여금 60억원을 적립했다. 사실상 결손금을 털어낸 직후 배당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DS투자증권의 전신인 토러스투자증권이 2011년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배당을 진행했다. 당해 보통주 1주당 25원의 결산배당금을 지급했는데 배당금총액은 15억원 가량이었다. 이후 최근까지 배당 없이 성장에만 집중해왔다. 이러한 무배당 기조는 최근 사모펀드(PEF)가 지배기업으로 오른 후 바뀌었다.
앞서 2018년 말 토러스투자증권의 대주주가 DS네트웍스의 계열사인 디에스앤파트너로 바뀌며 사명도 변경했다. 이후 2020년 디에스앤파트너는 DS프라이빗에쿼티(PE)와 주식매매계약(SPA)를 맺고 DS투자증권의 지분을 양도했다.
DS PE는 장덕수 DS자산운용 회장이 운영하는 사모펀드 운용사로 알려졌다. DS PE는 금융위원회의 대주주 적격 승인 요건을 충족하고자 일반법인인 DS콜롬버스를 세웠다. 결국 2021년 1월 DS콜럼버스는 DS투자증권의 대주주로 등재됐다.
DS콜럼버스는 2022년 말 기준 DS투자증권의 지분 100%를 소유하고 있다. 대주주에 오른지 약 2년 만에 배당금 25억원을 전액 취득한다.
IB업계 관계자는 "DS투자증권의 지배구조 상단에 PEF가 자리잡은 후 본격적으로 배당에 나선 상황"이라며 "오랜 기간 배당을 진행하지 않았기에 재원이 충분했으나 최근 손실 규모를 키우며 부담이 커진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숨은 진주 SC제일은행]성장 원동력은 'SC' 브랜드 앞세운 '기업금융·WM'
- 진옥동의 싱크탱크…신한미래전략연구소장 교체
- [CFO 워치/우리은행]유도현 부행장, 자본비율 개선에 달린 기업금융 성패
- [CFO 워치]키움증권, ‘일괄신고’ 첫 발행 성공…차입만기 장기화 의지 ‘굳건’
- 경남은행 퇴직연금 상품 변경…계열 물량 '자진 해소'
- [thebell interview]"신영증권 두번째 VIP점포, 고액자산가 공략 가속도"
- [KB금융 리더십 시프트]송병철·신승협·서영호…재무라인 차기행보 주목
- [저축은행 재편 그 후]부실 상징 토마토…신한에서 '리딩뱅크 DNA' 이식
- 새마을금고, 개발도상국에 금융포용 모델 전파
- [심상찮은 카드사 비용 리스크]우리카드 이재일 상무 1년…'단기조달' 컨트롤 과제
윤진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B 풍향계]대주주 '등에 업은' 현대차증권, '모빌리티IPO 명가' 도전
- [Korean Paper]현대캐피탈아메리카, 달러채 빅딜 거뜬…IR '문전성시'
- [밀리의서재 IPO]'재수 조력자' 미래에셋증권, 흥행 위해 포기한 '두가지'
- [IPO 모니터]'PER 54배' 에이직랜드, 고밸류 논란 피한 방법은
- BNK금융 신종자본증권, 지방지주 한계 어떻게 넘었나
- [Korean Paper]현대캐피탈아메리카, 올해 세번째 글로벌본드 발행 착수
- [CFO 워치]BNK지주 강종훈 CFO, 자본성증권 재개로 '일거양득' 노린다
- [Korean Paper]'2년만의 복귀전' 남부발전, 3억달러 발행 성공
- [Korean Paper]한국물 시동 건 IBK은행, '젠더본드' 데뷔 나선다
- [CFO 워치]김남선 네이버 CFO, 은행차입 대신 '사무라이본드' 꺼낸 배경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