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O 워치]나진호 한양증권 상무, 단기물로 '금리 충격' 고비 넘겼다CP·STB 등 단기물 조달 집중…금리급등 직후 운영규모 축소 '강수'
남준우 기자공개 2023-06-07 07:47:15
이 기사는 2023년 06월 01일 16:16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양증권은 2018년 임재택 대표 취임 전까지만 해도 자금 조달에 적극적인 하우스가 아니었다. 임 대표 취임 이후부터는 상황이 달라졌다. IB 사업을 중심으로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외부 자금에 대한 수요가 커지기 시작했다.CFO를 맡고 있는 나진호 경영기획본부장(상무)의 어깨가 무거워지기 시작했다. 단기금융 시장을 중심으로 상황에 따라 유연한 의사결정을 내리며 안정적인 운영을 추구하고 있다. 레고랜드 사태 등으로 금리가 급격하게 뛰었던 작년 하반기에는 운영 규모를 줄이는 강수를 두기도 했다.
◇단기물 중심 조달…CP·STB 발행한도 각각 3000억
한양증권은 2018년 3월 임 대표가 취임한 이후 폭발적인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한양증권의 자기자본은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약 2500억원 내외에서 크게 움직이지 않았다. 같은 기간 총자산은 5709억원에서 2조9184억원까지 증가했지만 차입부채를 늘린 영향이 컸다.
임 대표 취임 이후 자기자본을 획기적으로 늘리기 시작했다. 취임 첫해였던 2018년에는 2699억원이었다. 이후 2019년 2947억원, 2020년 3511억원 등 꾸준히 증가하더니 2021년에는 처음으로 4000억원을 돌파했다. 2022년말 기준으로는 4593억원을 기록했다.
취임 이후에만 약 70% 성장한 셈이다. 특히 IB와 부동산 금융 등을 중심으로 운영 규모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자금조달 업무를 담당하는 CFO의 책임도 막중해지고 있다. 한양증권 CFO는 나진호 상무가 맡고 있다.
2013년부터 10년 가까이 한양증권의 자금 조달 업무를 책임지고 있는 인물이다. 이전까지는 증거금이나 자기자본 등을 중심으로 사업을 운영해왔다. IB 중심으로 사업 규모가 확장되기 시작하면서 외부 조달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한양증권은 중소형 하우스인 만큼 회사채나 메자닌 등을 활용한 자금 조달에 적극적이지는 않다. 이보다는 단기금융 시장에 적극적으로 발을 담구고 있다. 2020년까지만 해도 기업어음(CP)과 전자단기사채(STB) 발행 한도는 각각 1000억원, 2000억원으로 설정했다. 2021년 3분기부터는 CP와 STB 발행한도를 각각 3000억원으로 높였다.
2018년 200억원에 불과했던 STB 발행액은 2022년말 기준으로 830억원으로 증가했다. 올 1분기말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 기록은 1280억원이다. CP 발행량도 2020년 750억원에 불과했으나 올 1분기말 기준으로는 2000억원에 달한다.

레고랜드 사태 등으로 단기금융 금리가 급격하게 올랐던 2022년 하반기에는 운영 규모를 축소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레고랜드 사태 직후인 2022년 11월부터 연말까지 한양증권의 CP 발행량은 전무하다.
단기물 발행 금리가 급격하게 오른 영향이다. A2 신용도를 보유한 한양증권은 단기물 중에서도 3개월물 등의 초단기물 중심으로 조달 행진을 이어갔다. 작년 하반기 A2 등급 단기물 금리는 이전보다 두 배 가량 뛰었다. 당시 A1급 CP 3개월물 금리는 2009년 1월 이후 약 13년 10개월만에 5%를 넘기기도 했다.
작년까지만해도 3~5%에 불과했던 한양증권의 CP 금리는 11월 이후 6~11%대까지 뛰기 시작했다. 이에 나 상무는 운용 규모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강수를 뒀다. 전자단기사채 역시 비슷한 수준으로 금리가 뛰었다.
운영 규모를 줄이면서 한양증권의 주 업무인 채권 트레이딩 규모도 덩달아 줄었다. 다만 올해 1월 이후부터 금리 인상 속도가 내려가면서 조달 규모를 다시 늘리고 있는 추세다. 1월 700억원의 CP를 발행했다. 올 1분기말 기준으로는 총 2000억원에 달한다. 2분기에도 두달 동안 800억원을 발행하며 발행 한도에 다다랐다.
한양증권 관계자는 "아직 회사 규모가 크지 않은 만큼 단기금융을 중심으로 조달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며 "금리가 급격하게 뛰었던 작년 11월에는 운영 규모를 줄이면서 대응했으며 최근 금리 안정세가 이어지는 상황 속에서는 다시 조달 규모를 늘리는 추세"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KB금융 리더십 시프트]송병철·신승협·서영호…재무라인 차기행보 주목
- [저축은행 재편 그 후]부실 상징 토마토…신한에서 '리딩뱅크 DNA' 이식
- 새마을금고, 개발도상국에 금융포용 모델 전파
- [심상찮은 카드사 비용 리스크]우리카드 이재일 상무 1년…'단기조달' 컨트롤 과제
- 우리은행, 중기 자금수요 풍부한 국가산단 노린다
- [주주 프렌드십 포커스]우리금융, 경쟁사와 '자사주 소각' 격차 벌어진 배경은
- [저축은행 재편 그 후]한투저축, 예성 품으며 서울 진출…알짜 계열사 성장
- 우리금융, 1차 타깃은 NH금융…연내 실적 역전 목표
- [KB금융 리더십 시프트]윤종규-양종희 뒤를 잇는 재무 라인은 누구
- 동양생명, '테니스' 마케팅 헬스케어 차별화 전략
남준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헬스케어 스타트업' 스카이랩스, 207억 시리즈C 펀딩 성공
- [뉴제네레이션 PE 포커스]세븐브릿지PE, 활발한 '중기투자'로 LP 눈도장
- [PE 포트폴리오 엿보기]웰투시인베, '지에스씨' PMI 본격 가동
- '시리즈A 펀딩' 로보에테크놀로지, 제2의 두산로보틱스 꿈꾼다
- [M&A가 만든 거부들]황해령 루트로닉 회장, 한앤코 손잡고 '글로벌 시장' 베팅
- '매각 주관사' 소시어스, 카프로 워크아웃 제안 이유는
- 한앤코-남양 법정분쟁 속 '잊혀진 사실'
- [PE 포트폴리오 엿보기]제이앤PE, 현대힘스 구주매출 물량 '심사숙고'
- [PE 포트폴리오 엿보기]'현대힘스 IPO 추진' 제이앤PE, 예상 밸류에이션은
- [PE 포트폴리오 엿보기]법인 나누는 모트롤, 소시어스·웰투시 엑시트 전략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