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 풍향계]코스모신소재, 늘어난 순차입금 '원재료 확보 차원'대량구매 나선 영향 "사업운영 차질없다"
박완준 기자공개 2024-11-29 07:28:22
[편집자주]
유동성은 기업 재무 전략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다. 유동성 진단 없이 투자·조달·상환 전략을 설명할 수 없다. 재무 전략에 맞춰 현금 유출과 유입을 조절해 유동성을 늘리기도 하고, 줄이기도 한다. THE CFO가 유동성과 현금흐름을 중심으로 기업의 전략을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11월 27일 14시02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코스모신소재는 이차전지 업계에서 유일하게 흑자를 거두고 있는 곳이다. 글로벌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 탓에 이차전지 주요 소재인 양극활물질 출하량은 전반적으로 줄어드는 추세다.최근 늘어난 순차입금은 원재료 확보를 위해 대량구매에 나선 영향으로 풀이된다. 코스모신소재는 사업운영에는 차질이 없다고 밝혔다.
◇양극재 사업 확대, 설비투자 규모 증가
올 3분기 말 기준 코스모신소재의 현금성자산은 지난해 말 대비 584억원 줄어든 19억원으로 집계됐다. 실적 부진에도 양극재 사업 규모가 커지면서 필수적으로 집행해야 할 설비투자 규모가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코스모신소재는 늘어난 영업이익에 발맞춰 공격적인 투자 전략을 꾀한 바 있다. 앞서 코스모신소재의 영업이익은 2021년 218억원, 2022년 325억원, 지난해 323억원을 기록하며 견조한 실적을 거뒀다. 이에 자본적지출(CAPEX)을 2021년 283억원에서 지난해 1035억원까지 끌어올렸다.
다만 올 3분기까지 누적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3.1% 줄어든 187억원을 거두는 데 그쳤다. 코스모신소재의 잉여현금흐름(FCF)은 마이너스(-) 1064억원을 거두며 전년 동기(-270억원) 대비 악화됐다. 이에 코스모신소재는 올 3분기 총차입금에서 현금성자산을 제외한 순차입금이 1000억원을 넘어섰다. 지난해 말 차입금보다 보유 현금이 많아 순차입금 마이너스(-) 41억원을 기록한 것과 상반된다.
코스모신소재의 유동비율은 116.5%로 집계됐다. 높다고 볼 수는 없지만 현금 및 현금성자산을 포함해 1년 내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자산(유동자산)이 단기차입금을 포함해 1년 내 갚아야 할 부채(유동부채)보다 1.16배 많다는 의미다.
코스모신소재 관계자는 "사업 운영에는 전혀 문제가 없어 우려할 사항은 아니다"고 말했다.
◇외부 자금 조달 가능성 '촉각'
코스모신소재는 현금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외부 자금 조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현금성자산이 1년 내 상환해야 하는 단기차입금과 유동성장기부채보다 부족한 탓이다. 다만 신용등급이 없는 탓에 회사채보다는 기존 차입처에서 추가로 돈을 빌리는 전략을 꾀할 가능성이 높다.
선호하는 외부 자금 조달 방식은 크게 두 가지다. 금융기관 대출과 전환사채(CB) 발행이다. 코스모신소재가 최근 10년간 발행한 사채는 모두 CB였다. 총 네 차례의 CB를 발행해 567억원을 조달했으며, 367억원을 생산시설 구축에 활용했다. 나머지 200억원은 차입금 상환 등 운영자금으로 사용했다.
낮은 이자율이 CB 발행의 장점으로 꼽힌다. 코스모신소재가 발행한 CB의 평균 표면이자율(연간 이자 지급률)은 1.375%로, 평균 만기 4년이다. 단순 계산 시 연간 이자비용은 약 8억원으로 추산된다. 코스모신소재의 금융기관 대출 가운데 가장 낮은 신한은행 대출 이자율이 3.84%인 점과 비교할 시 이자비용을 약 60% 줄인 것으로 파악된다.
금융기관을 통해 장기차입금을 늘리는 전략을 꾀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올 3분기 말 기준 1년 내 상환해야 하는 단기차입금과 유동성장기부채는 924억원으로, 총차입금의 9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반면 장기차입금은 96억원에 불과해 차입을 늘릴 여력을 갖추고 있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통상적으로 기업이 보유한 현금이 급격히 줄어들 시 유동성 확보를 위한 외부 자금 조달에 나선다"며 "꾸준한 투자가 필요한 이차전지 사업을 주력하는 배경도 자금 조달에 나서는 배경을 꼽힌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FDA 승인 따낸 고영 '뇌수술 로봇', 오너 2세 공로 '눈길'
- [혹한기 배터리 재무점검]삼성SDI CAPEX 원동력 '계열사 배당·차입'
- [컨콜 Q&A 리뷰]'신중한' 현대제철 "올해가 작년보다 낫다"
- [2025 신풍제약 재도약]피라맥스 끌고 신제품 밀고, 매출 24% 성장 목표 자신감
- [글로벌세아 편입 2년 쌍용건설]그룹 지원받아 '재무구조 개선' 지속될까
- [i-point]빛과전자, 미국 데이터센터 시장 영업 확대
- [i-point]제이엘케이, 2025 국제뇌졸중컨퍼런스 참가
- [i-point]유하푸른재단, 제 8기 장학생 선발·수여식 개최
- [i-point]대동그룹, 2024 핀업 디자인 어워드 3관왕 달성
- [i-point]라온시큐어 "설 명절 앞두고 피싱 기승“
박완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Red & Blue]'배당정책' 발표 앞둔 한국타이어, 반등기로 섰다
- [현대차그룹 글로벌 정면승부]완성차 시장 '지각변동'…목표는 '2강 체제'
- [현대차그룹 글로벌 정면승부]브랜드파워 입증 '미국·인도'...재공략 노리는 '중국·유럽'
- [현대차그룹 글로벌 정면승부]투자 늘리고 대관 강화…'정면돌파' 통할까
- [날개 펴는 현대오토에버]'엔비디아 효과' 본격화하나...주식시장이 먼저 '화답'
- [날개 펴는 현대오토에버]현금 늘고 차입금 줄고 '든든해진' 곳간
- [날개 펴는 현대오토에버]SI 업계 '기술혁신' 주도...굳건해진 '빅3' 지위
- [CAPEX 톺아보기]현대위아, 공작기계 매각자금 '열관리 사업'에 쓴다
- [유동성 풍향계]'최대실적' 현대트랜시스, 모빌리티 투자 '베팅'
- [유동성 풍향계]넥센타이어, 운전자본 첫 '1조' 돌파…부채 증가세 뚜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