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그룹 헬스·바이오 '원점으로' 인사로 보인 쇄신의지 롯데헬스는 청산, 롯데바이오는 대표 교체…롱텀사업에 대한 단기성과 의지
한태희 기자공개 2024-11-29 08:40:18
이 기사는 2024년 11월 28일 16시4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롯데그룹이 신사업 주요축인 헬스케어와 바이오사업에 대해 시작한지 불과 2년만에 강력한 쇄신의지를 드러냈다. 오랜시간이 걸리는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곧바로 성과가 나지 않은데 따른 '신상필벌'을 보여줬다. 롯데헬스케어는 조기 종료 및 청산 수순을 밟고 있고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수장을 교체하는 강수를 뒀다.반면 작년 말 롯데바이오로직스에 합류한 그룹 후계자 신유열 전무는 1년만에 부사장으로 승진시켰다는 점에서 의구심이 제기된다.
◇롯데바이오 기반 닦은 대표 갑작스런 교체, 신임 대표 '미궁'
롯데그룹은 28일 정기임원인사를 내고 롯데바이오로직스의 대표이사 교체를 알렸다. 후임은 아직 미정이다. 항간에는 인물이 확정되지 않았다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보도자료를 통해 롯데그룹은 글로벌 바이오 전문가로 12월 11일자로 확정한다고 밝혔다.
이번 인사로 설립 이전부터 롯데지주에 합류해 롯데바이오로직스의 토대를 닦아온 이원직 대표는 사임하게 됐다. 이 대표의 사임은 직원들은 물론 그룹에서도 의아한 지점이다. 롯데바이오로직스 성과에 대해 여러 말들이 오가긴 했지만 현 대표를 교체할 대안이 마땅찮다는 얘기가 많았다.
그도 그럴 것이 롯데바이오로직스의 기반이 된 미국 시러큐스 공장은 BMS로부터 이 대표가 직접 거래하며 확보한 자산이다. 현재 해당 공장을 통해 2000억원대 매출을 올리고 있다.
롯데바이오로직스의 작년 매출은 2286억원으로 266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당기순이익은 567억원으로 순이익으로 전환했다. 올해 2분기부터는 영업활동현금흐름을 플러스로 전환하는 성과를 올리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대표 교체는 갑작스러운 행보다. 더욱이 어떤 인물이 새롭게 내정된지도 밝히지 않았다는 점에 업계 이목이 집중됐다.
이번 롯데바이오로직스 인사를 통해 롯데그룹이 신사업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가 드러난다는 분석도 나온다. 긴 호흡으로 봐야할 헬스케어와 바이오사업에 대한 분명한 성과를 요구하고 있는 셈이다.
롯데지주의 100% 자회사 롯데헬스케어는 현재 청산 수순을 밟고 있다. 올해 말까지 건강관리 플랫폼 캐즐의 앱 서비스를 종료한다. 롯데헬스케어 사무실도 롯데월드타워에서 빠지는 등 이미 정리 막바지 작업 중이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미국 자회사 등 자산이 있는데다 현재 송도에 메가 플랜트를 조성하고 있는데 따라 롯데헬스케어와는 다른 방식으로 쇄신을 추진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인사를 바꾸며 새로운 판로를 모색하는 차원이다.
현재 송도 메가플랜트는 1공장 건설을 진행하고 있다. 2025년 하반기 준공, 2026년 하반기까지 GMP 승인을 목표로 한다. 2030년까지 나머지 2개 플랜트도 건설할 예정이다.
롯데지주는 그룹 유동성 위기설 속에도 롯데바이오로직스에 채무 보증을 결정하며 바이오 사업은 이어간다는 의지는 드러냈다. 롯데바이오로직스가 체결한 대출 계약의 원금 9000억원을 비롯한 이자, 수수료 전액에 대한 자금보충을 롯데지주가 약정했다.
◇롯데바이오 소속 신유열 전무는 1년만에 부사장 승진 '엇갈린 인사'
롯데그룹의 헬스 바이오 사업의 쇄신분위기와는 다르게 후계자인 신유열 전무는 부사장으로 승진시키는 상반된 행보를 보였다. 신 부사장은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 및 롯데바이오로직스 글로벌전략실장을 겸직하고 있다.
신 부사장은 승진과 함께 새롭게 합류하는 대표이사와 호흡을 맞출 예정이다. 메가플랜트 건설에 맞춰 수주 확대 등 글로벌 시장 개척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메가플랜트 조성에 앞서 수주에 힘을 싣겠다는 의도도 감지된다. 그룹은 신임 대표이사로 영입될 인물에 대해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한 외부 전문가'라는 수식어로 소개했다. 그만큼 글로벌 빅파마와의 협업 및 수주에 힘을 실을 수 있는 네트워크를 가진 인물을 발탁했다는 얘기다.
업계 관계자는 "롯데그룹이 헬스 바이오 사업에 대해 너무 짧은 텀으로 보고 있는게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든다"며 "2년만에 사업을 철수하고 대표를 바꾸는 건 내외부적으로 큰 타격이 아닐 수 없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갤럭시 언팩 2025]삼성의 AI폰 진화 전략, '소비자 중심' 원칙 확고
- [갤럭시 언팩 2025]'엔비디아' 출신이 확신한 '무한' XR 경쟁력
- 지주사 전환 취소 빙그레, 초조했던 '2개월'
- 고려아연, '영풍 빼고' MBK에 화해 제스처...반응은 '냉랭'
- [2025 신풍제약 재도약]유제만 대표 "체질개선 시기 지나 이제는 결실의 시간"
- [Red & Blue]갑자기 거래량 뛴 밸로프, 본업 성장 기대감 지속될까
- [i-point]채비, SaaS형 운영시스템·모바일 앱 '차징허브' 론칭
- [i-point]빛과전자, 해외 시장 공략 본격화
- [i-point]에스넷그룹, 제2기 '네트워크 엔지니어 양성 과정’ 성료
- [i-point]노을, 아세안 최대 시장 태국서 AI 의료기기 인허가 획득
한태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영진약품, 5년만에 흑자 전환…이기수 대표 연임 '촉각'
- [thebell interview]인벤티지랩의 퀀텀점프, 주사제 GMP 구축 그리고 'LNP'
- [제약바이오 시총분석]케어젠, 몸값 2배 불린 청사진 '건기식·신약'에 쏠린 눈
- '생산역량 강화' 박셀바이오, JBRC 출신 류강 CSO 영입
- [클리니컬 리포트]테고사이언스, 회전근개 세포치료제 '동종' 개발 승부수
- '치매치료제' 큐어버스, 250억 시리즈B '오버부킹' 마무리
- [2025 제약바이오 모멘텀 점검]쓰리빌리언, '글로벌매출' 확장 원년…성장동력은 AI 신약
- [2025 제약바이오 모멘텀 점검]카카오헬스케어, 파스타 국내 안착…이제는 '글로벌·B2B'
- '셀트리온 파트너' 피노바이오, 기평 탈락…IPO 3수 무산
- '삼성 신약 파트너' 인투셀, 상장 예비심사 5개월만에 통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