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 인사 풍향계]신임 제주은행장에 이희수 신한저축은행 사장 '깜짝 인사'자회사 CEO 중 계열사 이동 유일…지주계열 저축은행 '부동의 1위' 성과 인정받았다
김영은 기자공개 2024-12-06 10:51:26
이 기사는 2024년 12월 05일 16시0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이희수 신한저축은행 사장이 제주은행장으로 깜짝 발탁됐다. 이 내정자는 지난 4년간 신한저축은행 CEO로 재임하며 지주 계열 저축은행 중 부동의 1위를 지켜냈다. 좋은 성과를 토대로 연임이 점쳐졌지만 제주은행으로의 이동은 예상치 못한 인사였다.내년 3월 취임 예정인 이 내정자는 곧바로 제주은행의 경영 계획 수립에 돌입한다. 지방은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돌파구를 찾아내는 게 핵심 과제로 주어질 전망이다. 제주은행은 지난해부터 은행의 수익성 및 건전성 악화로 순이익이 감소하는 추세다.
◇내년 3월 제주은행장 취임…"예상치 못한 인사"
5일 금융업권에 따르면 신한금융은 자회사최고경영자후보추천위원회(자추위)를 통해 이희수 신한저축은행 대표를 차기 제주은행장 후보로 추천했다. 이번 인사에서 기존 자회사 CEO 중 다른 계열사 CEO로 이동한 건 이 내정자가 유일하다. 박우혁 현 제주은행장은 내년 3월을 끝으로 3년 임기를 마무리한다.
이 내정자 또한 예상치 못한 깜짝 인사라는 입장이다. 이 내정자는 더벨과의 통화에서 "갑작스러운 인사에 놀랐다"며 "(그간의 성과를) 반영해서 결정하신 것 같다"라고 짧은 소감을 전했다. 신한금융은 이번 인사를 두고 "우수한 성과 및 내부통제 강화 등 역량을 입증한 자회사 CEO 의 연임을 추천했다"라고 말했다.
이 내정자는 4년간 신한저축은행 CEO로 재임하며 지주 계열 저축은행 순익 1위 자리를 수성하는데 성공했다. 지난해에는 지주 계열 중 유일하게 150억원의 흑자를 기록했고 올 3분기까지도 나홀로 흑자 기조가 유지되고 있다. 이 내정자는 2021년 1월 신한저축은행 사장으로 취임 후 세 차례 연임에 성공하며 4년간 저축은행을 이끌어왔다.
이번 신한금융 인사 키워드는 쇄신에 방점이 찍혔지만 이 내정자는 그간의 경영성과를 토대로 연임에 성공했다는 평가다. 앞서 신규 추천된 자회사 CEO 후보 중 상당수가 부행장을 거치지 않은 본부장급 인사들로 채워졌다. 이에 자연스레 68년생을 중심으로 세대교체도 이뤄졌다. 이 내정자는 정상혁 신한은행장과 같이 1964년생으로 나이가 가장 많은 자회사 CEO가 됐다.
◇제주은행 과제 산적…수익성·건전성 개선 필요
이 내정자는 조만간 제주은행의 경영 계획 수립에 돌입한다. 상장사인 제주은행은 주주총회에서 선임 절차를 거쳐야 해 통상 은행장의 임기가 3월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은행장 취임이 확정된 만큼 향후 경영을 위해 제주은행의 상황을 면밀히 들여다보고 경영 전략을 세워놓아야 한다.
우선 제주은행의 실적 개선에 대한 과제가 주어질 것으로 보인다. 제주은행은 지난해부터 순이익이 크게 감소했다. 지난해 제주은행의 별도 기준 당기순이익은 51억원으로 전년 동기(228억원) 대비 크게 감소했다. 은행의 수익성 악화 및 대손충당금 전입액 증가로 수익성이 크게 떨어졌다. 다만 올 3분기 순이익도 94억원으로 전년 동기(131억원) 대비 28.2% 감소했다.
부실 관리에도 주력해야 한다. 제주은행은 올해 접어들며 제주은행의 연체율 및 고정이하여신비율 1%대를 돌파했다. 상반기 두 건전성 지표 수치는 각각 1.36%, 1.42%로 전년말 대비 0.38%포인트, 0.44%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포트폴리오 비중을 늘렸던 기업대출 부문의 연체율이 전년말 대비 0.41%포인트 증가하며 건전성 악화를 견인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2025 금융 Forum]"저축은행·상호금융 감독정책, 건전성 지표 연계 강화"
- [2025 금융 Forum]"금융시스템 안정과 금융소비자 신뢰 제고에 집중"
- 부산은행, 케이뱅크와 맞손…수도권 전략 JB 따라간다
- 페퍼저축은행 이사회서 빠진 그룹 '창업자'
- [SBI캐피탈은 지금]출범 2년 만에 '플러스' 전환…비우호적 환경 속 선전 비결은
- [보험사 생크션 리스크]한화생명, 기관제재 가장 많아...잇단 감시강화 빛 볼까
- [중견·중소 보험사는 지금]IFRS17로 수혜 누린 흥국화재…당국 가이드라인 영향은
- [금융지주 경영승계 시스템 변화]우리금융, 계열사 CEO 검증 '석세션 프로그램' 실효성은
- iM캐피탈, '은행 출신' 이창우 전무 선임 배경은
- [보험사 생크션 리스크]교보생명, 줄어드는 제재...판매정책·감시강화 성과
김영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부산은행, 케이뱅크와 맞손…수도권 전략 JB 따라간다
- GA 내부통제 정조준…'책임 이원화·당국 제재 강화' 예고
- [보험사 생크션 리스크]삼성화재, 소비자보호 평가 업그레이드 배경은
-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의 리더십
- 황병우 DGB회장, 자사주 매입…부실 딛고 주가 '가속페달'
- [SC제일은행 뉴 리더십]모기업 기준에도 당국 제재 여전…내부통제 강화 필요
- [SC제일은행 뉴 리더십]2년 연속 순익 감소세...'사고 방지·건전성 관리' 과제
- [SC제일은행 뉴 리더십]ELS 사태 딛고 자산관리 정면승부…신탁 시너지 강화
- 한국은행, '환율 방어' 급한불 끈다…경기 침체 대응책은
- [SC제일은행 뉴 리더십]이광희 행장이 부른 변화…기업금융 3그룹 체제 돌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