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클라비스운용, NPL 2호 설정 매듭…지방은행 출자 참여 기존 계획보다 증액된 2200억 '조성 마무리'
이지은 기자공개 2025-05-15 14:48:17
이 기사는 2025년 05월 12일 14시2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케이클라비스자산운용이 220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NPL) 2호 펀드 조성을 마무리했다. 지난해 11월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지방은행 자산건전성 제고를 위해 조성하는 NPL 펀드 위탁운용사로 선정된 케이클라비스자산운용은 지방은행들로부터 펀드레이징을 받기 위해 움직임에 나서왔다.1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케이클라비스자산운용은 '케이클라비스NPL시너지일반사모투자신탁 제2호' 조성을 마무리했다. 규모는 2200억원이다. 당초 목표로 했던 설정액보다 높은 수준으로 펀드레이징을 끝마친 모습이다. 당초 케이클라비스자산운용은 상반기 내 1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었다.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아이엠뱅크(iM뱅크) 등 4개 지방은행과 MG새마을금고중앙회가 출자자로 나선 것으로 파악된다. 해당 펀드는 지방은행의 건전성 저하로 NPL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조성됐다. 이에 따라 5대 지방은행 중 한 곳 이상을 포함해 민간 투자자로부터 500억원 이상을 추가 모집하고자 했다.
케이클라비스자산운용은 금번에 조성한 NPL 펀드를 바탕으로 지방은행 NPL 공개 입찰에 참여해 투자 대상을 물색 중이다.
금융업계에 따르면 최근 지방은행의 고정이하 여신비율(전체 대출에서 부실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부산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지난해 1분기 0.44%에서 올해 1분기 1.1%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방은행들이 적극적인 상·매각으로 NPL을 매각하고 있음에도 건전성이 저하되는 데 우려가 제기되는 상황이다.
케이클라비스자산운용은 NPL 1호 펀드 투자 회수에도 나서고 있다. 지난해 캠코와 새마을금고중앙회 출자를 받아 조성한 3000억원 규모 펀드다. 지난해 말 펀드 자금을 대부분 소진한 이후 담보 자산 매각을 통한 투자금 회수를 위해 마케팅 작업에 나서고 있다는 설명이다. 일부 NPL 자산은 회수가 이뤄진 상태다.
케이클라비스자산운용은 미래에셋자산운용 부회장을 역임한 구재상 회장이 2013년 설립한 회사다. 예교지성회계법인 출신인 김선민 본부장이 NPL 펀드를 운용하는 특수금융본부를 이끌고 있다. 최근 NPL 시장이 확대되는 가운데 사세 확장에 본격 나서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금번 NPL 2호 펀드의 투자가 마무리되면 특수금융본부의 관련 펀드 잔고는 6000억원대로 증가할 것으로 보여진다. 지난해 말 NPL 1호 펀드 소진이 마무리되던 당시 해당 본부의 AUM은 4000억원대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모태펀드 태동 20년]정책자금 통로 다변화, 씽크탱크 역할 필요
- 'SG·한투PE 자금 상환' 신영, 300억 펀딩 속도
- 스톤브릿지벤처, 2500억 이상 신규 펀딩 나선다
- [야놀자를 움직이는 사람들]글로벌 트래블테크 야놀자, AI로 여행산업 '새판 짠다'
- [VC 투자기업]'AWS 등록' 뷰런테크놀로지, B2B 매출 확대 드라이브
- 아론, '20억 목표' 프리시리즈A 시동
- [thebell interview]박재현 눈21 대표 “방치형 앱테크 시장 포문”
- 한국공대기술지주, '스타트업 발굴' 70억 펀드 결성
- 예보 4조 채권 위탁운용사에 대형사 6곳 뽑았다
- 기지개 켜는 푸른파트너스운용, 대체투자본부 신설
이지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NH증권, LA서 역이민 수요 확인…계좌 개설 성과
- 중동 갈등 고조에 방산·원유 ETF 수익률 '훨훨'
- DB운용, 5000억 대체투자 블라인드 펀드 조성 검토
- 코리아에셋 '피규어AI' 펀딩 나선다…NH증권 모집 불발
- 한화증권, 기관전용 부동산 PEF 조성 검토 나섰다
- NH증권의 해외주식 플랫폼 강화 묘수 '파트너십'
- [Market Watch]공모 BW 찍는 엘앤에프…2차전지 전망에 갈리는 투심
- ELS 추가 출시 나선 메리츠증권, 청약 초반 50억 몰렸다
- 삼성증권 '프라이빗 딜소싱팀' 해체…VVIP 상품 향방은
- [Tax 라운지]사모운용사 세무조사 확대 주춤?…MBK 조사 '가늠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