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생명, 제도 변경 영향에 보험손익 급감 1년 사이 손실부담계약 비용 480억 증가…CSM·RA 등 상각요인도 금액 소폭 줄어
강용규 기자공개 2025-05-20 12:58:51
이 기사는 2025년 05월 19일 15시2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동양생명의 순이익이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연령대별 손해율 제도 및 보험부채 할인율 현실화 제도의 강화로 인해 기존 계약의 손실부담계약 전환에 따른 비용이 급증하면서 보험부문 손익이 큰 타격을 입었다.미래 기대이익 지표인 보험계약마진(CSM) 역시 신계약 확보 금액이 감소하면서 잔액이 소폭 줄었다. 다만 CSM 전환효율이 낮은 종신보험 대신 효율이 높은 건강보험에 집중하는 영업전략을 통해 잔액 감소폭을 최소화한 것으로도 분석된다.
동양생명은 2025년 1분기 순이익 467억원을 거둬 전년 동기보다 41.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 부문별로는 투자손익이 401억원에서 504억원으로 25.6% 증가했지만 보험손익이 563억원에서 41억원으로 92.8% 급감해 전체 실적 악화의 원인이 됐다.
보험부문 실적의 정례적 요인들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CSM 상각액이 642억원에서 623억원으로 2.9%, 위험조정(RA) 상각액이 115억원에서 111억원으로 3.4%씩 각각 줄었고 예실차손익이 -80억원에서 -110억원으로 손실 규모가 커졌다.
다만 보험부문 손익을 끌어내린 핵심 요인은 그 외의 비정례적 요인, 특히 손실부담계약의 증대였다. 이는 기존 계약 중 원래는 이익이 창출되던 계약이 손실을 내는 계약으로 전환된 것을 말한다. 동양생명은 올 1분기 손실요소 전입에 따른 비용이 542억원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전년 동기보다 비용 부담이 774.2%(480억원) 불어난 것이다.
이는 외부 요인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파악된다. 동양생명 관계자는 "연령대별 손해율 제도 강화로 인해 160억원, 부채 할인율 제도 강화에 따른 변액수수료접근법(VFA) 조정 200억원 등이 손실요소에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말부터 보험사 계리적 가정 중 손해율과 관련해 연령대별로 손해율을 다르게 적용하는 더욱 세분화된 가정이 적용되고 있다. 게다가 올해부터는 장기선도금리가 기존 4.55%에서 4.3%로 낮아져 보험사의 부채 할인 금액도 축소 반영되고 있다.

CSM 잔액은 올 1분기 말 기준 2조6612억원으로 기시 대비 0.4% 줄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1.1% 줄어든 것으로 이 기간 신계약 CSM이 2043억원에서 1904억원으로 6.8% 감소했다. 다만 이것이 동양생명의 보험영업 부진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으로 분석된다.
동양생명은 보험사 영업의 지표인 월납환산보험료(APE)가 2024년 1분기 2418억원에서 올 1분기 1844억원으로 23.8% 감소했다. 반면 신계약 CSM 감소 폭이 6.8%로 확연히 작다. 이는 CSM 전환 효율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종신보험의 신계약 비중을 줄이고 효율성이 높은 건강보험의 신계약 비중을 늘린 덕분이다.
동양생명의 올 1분기 신계약 CSM 1904억원 중 종신보험 244억원으로 비중에 12.8%에 불과한 반면 건강보험은 1657억원으로 87%를 차지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종신보험 비중은 39.4%p(포인트) 줄어든 반면 건강보험 비중은 40.4% 늘어났다.
APE 대비 신계약 CSM의 배수, 즉 신계약 보험료의 CSM 전환 효율성을 살펴보면 동양생명의 종신보험은 지난해 1분기 64%에서 올 1분기 37%로 27%p(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건강보험은 127%에서 142%로 15%p 상승했다. 즉 동양생명은 효율성이 높은 건강보험에 집중해 종신보험의 CSM 전환효율 하락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동양생명은 자본적정성 지표인 지급여력비율이 올 1분기 말 127%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말 대비 28.5%p 하락한 것으로 역대 최저치일뿐만 아니라 감독 당국의 권고 기준인 150%를 하회하는 수준이다.
다만 동양생명은 앞서 5월 5억달러 규모의 외화 후순위채를 발행해 가용자본을 확충한 바 있다. 여기에 2억달러 규모의 공동재보험 출재를 통해 위험을 분산하고 장기자산 중심으로 자산 포트폴리오를 리밸런싱할 계획도 세워뒀다. 이를 통해 2분기 말 기준으로는 지급여력비율을 165%까지 끌어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공모주 시장 지각변동]주관사서 이어지는 볼멘소리 "책임 늘고 과실 줄었다"
- 경남은행-토스뱅크, 연내 공동대출 출시…리테일 확장 속도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성대규 체제' 내달 출범…이사회 진용 완성
- [저축은행경영분석]스마트저축, 남다른 리스크 관리 전략…내실성장 지속
- [큰 장 이어가는 NPL]유암코, NPL 시장 선두 출발…조달·매입 '1위'
- [Peer Match Up/KB vs 신한]성과 가른 영업 전략 '보장성 vs 저축성'
- [메리츠화재는 지금]김용범 DNA 이어가는 김중현 대표…보수도 업계 톱
- [금융지주 RWA 매니징 점검]KB금융, 은행 주단위 점검 체계로 '화룡점정'
- [저축은행 조달 전략 점검]SBI저축, '신뢰·플랫폼'이 이끈 독보적 조달 경쟁력
- 제4인뱅 예비인가 시점 안갯속…숨죽인 컨소시엄
강용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캐시플로 모니터]한화오션, OCF 플러스 전환…재무활동 의존도 완화는 과제
- [보험사 글로벌전략 비교]KB손보, 인니 성장세 속 '들쭉날쭉' 중국 고민
- [보험사 글로벌전략 비교]현대해상, 선진시장 사업 성장 속 주목받는 신흥시장
- KB라이프, 시니어사업 더 힘준다…자회사에 500억 투입
- [보험사 글로벌전략 비교]DB손보, 미국서 리스크 빈발…중요성 커지는 베트남
- [thebell note]MG손보 정리에 대한 불편함
- KDB생명, 자본구조개선 갈 길 먼데…실적·CSM 성과 동시 후퇴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아직 여유 있는데…한화생명, 신종자본증권 추가 발행 이유는
- 한화생명 GA들 실적 성장, 한금서 IPO 전략도 순항
- [보험사 글로벌 전략 비교]삼성화재, 싱가포르·영국이 이끄는 해외사업…올해 더 힘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