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경영분석]카카오페이손보, 외형 확장 순항…킥스비율 급락 과제장기보험 등 상품 라인업 확대로 수입보험료 증가…적자 지속에 자본확충 필요성↑
김영은 기자공개 2025-06-09 12:57:26
이 기사는 2025년 06월 05일 07시4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카카오페이손해보험의 외형 확대 전략이 순항하고 있다. 시그니처 상품인 해외여행자보험에 더해 지난해 공격으로 상품 라인업을 확대하며 수입보험료가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지속적인 수익 창출원으로 꼽히는 장기보험의 수입 비중도 크게 올랐다.지속되는 적자로 지급여력(K-ICS, 킥스)비율이 빠르게 하락하고 있는 점은 고민거리다. 카카오페이손보는 누적 결손금이 쌓이며 킥스비율의 분자에 해당하는 가용자본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추후 규제 변화로 요구자본도 증가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선제적인 자본 확충이 필요한 시점이다.
◇포트폴리오 다각화 전략 통했다…수입보험료 2.2배↑, 장기보험 비중 7%
경영공시 자료에 따르면 카카오페이손보는 1분기 137억원 순손실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116억원 손실) 대비 적자폭이 확대됐다. 전반적으로 비용 투입이 확대됐다. 보험수익은 같은 기간 60억원에서 123억원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지만 보험서비스비용이 163억원에서 43.6% 오른 234억원을 기록하며 보험손실은 122억원을 기록했다.
투자손실 폭도 커졌다. 1분기 투자손실은 15억원으로 전년 동기(4억원) 대비 악화했다. 투자수익이 9억원에서 4억원으로 줄어든 반면 투자비용은 13억원에서 20억원으로 늘어났다. 카카오페이손보는 562억원의 운용자산 중 현금 및 예금으로 526억원을 운용하고 그 외 채권, 유가증권 등 별도의 운용은 하지 않고 있다.
카카오페이손보는 빠른 흑자전환 달성 보다는 매출 확대 전략에 매진하고 있다. 2022년 10월 영업을 개시해 출범한 지 3년이 채 되지 않은 신생 보험사인 만큼 빠르게 상품 포트폴리오를 확대 등 몸집을 키우는 데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말 기준 카카오페이손보는 레저 및 라이프, B2B 부문의 보험 상품을 신규 출시하며 상품 라인업을 확대했다.
사용자 관점에서 설계한 보험 상품의 개발로 매출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1분기 카카오페이손보의 수입보험료는 121억원으로 전년 동기(56억원)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특종보험이 113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93%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출시한 운전자보험, 어린이보험 등 장기보험 수입보험료는 8억5200만원으로 전체 비중의 7%로 올랐다.
◇결손금 커지며 킥스비율 한 분기 만에 126%포인트 하락
킥스비율이 빠르게 하락하고 있는 점은 과제다. 카카오페이손보의 1분기 킥스비율은 283.15%로 전분기(409.63%) 대비 126%포인트가량 하락했다. 지난해 3분기(667.44%)와 비교하면 6개월 만에 비율이 절반 이상 급락했다. 아직 감독 당국의 권고치 150%를 훨씬 웃도는 수준이지만 지급여력 감소 속도가 가파르다는 분석이다.

최근 지급여력비율이 하락한 건 가용자본이 큰폭 하락했기 때문이다. 1분기 지급여력금액은 421억원으로 전분기(543억원) 대비 22.5% 감소했다. 지속되는 적자로 결손금이 증가하며 기본자본이 줄었다. 1분기 결손금은 1315억원으로 전분기(1178억원) 대비 악화했다. 요구자본은 149억원으로 전분기(133억원) 대비 12% 증가했다.
상황이 이렇자 업계에서는 카카오페이손보가 연내 유상증자 등 자본확충에 나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금과 같이 외형 확장 전략을 지속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자본 투입이 반드시 필요하다.
영업 개시 5년 이후에는 규제 변화로 요구자본이 급격히 증가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현재 카카오페이손보는 신생보험사인 점을 감안해 보험위험액을 산출할 때 기본위험계수를 사용하고 있으나 2027년말부터는 본래 규정대로 최근 3년간 평균 합산비율을 사용해야 한다. 지난해말 기준 카카오페이손보의 합산비율은 214%로 손익분기점(100%)를 훨씬 밑돌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카드론 규제 후폭풍]카드론 막히자 다시 뜨는 할부금융… 리스크 부담
- [은행권 가계대출 규제 파장]부산은행, 주담대 중심 성장 전략 '변화 기로'
- [저축은행 수익구조 점검]OK저축, 투자 성과에 가려진 수익성 둔화…내실 성장 과제
- [저축은행 매물 분석]'적기시정조치' 안국저축은행에 쏠리는 관심
- [중소 보험사 펀더멘털 점검]AIA생명, 효과 줄어든 보장성 강화
- [은행권 가계대출 규제 파장]카카오뱅크, 예견된 성장 둔화…포트폴리오 다각화 과제
- [금융사 상생금융 2.0]신한금융, 금융부담 완화 방점 찍은 '업(Up) 프로젝트'
- [생명보험사는 지금]통합 3년차 KB라이프, 아직은 아쉬운 성적표
- [중소 보험사 펀더멘털 점검]하나생명, 수익성 반등 동력 CSM
- [금융사 상생금융 2.0]조단위 넘어선 상생금융, 더 크고 다양해진다
김영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은행권 가계대출 규제 파장]카카오뱅크, 예견된 성장 둔화…포트폴리오 다각화 과제
- [thebell note]100년 보험사가 생기려면
- [보험사 해약환급금준비금 나비효과]제도 완화 나섰지만…기본자본 체력 저하 '모순'
- [농협은행을 움직이는 사람들]소비자보호 시스템 넘어 문화 만드는 이강영 부행장
- [농협은행을 움직이는 사람들]IB·글로벌 유기적 결합 속도내는 이청훈 부행장
- '집값 vs 관세' 상충되는 위기 엄습…고민 깊은 한국은행
- [이사회 분석/농협은행]비상임이사 공석, 조합장 출신이 채웠다
- [농협은행을 움직이는 사람들]지주·은행 RWA 관리 중추 양재영 CRO
- [Peer Match Up/DB손보 vs 메리츠화재]같은 전문경영인 체제, 다른 CEO 존재감
- [Peer Match Up/DB손보 vs 메리츠화재]글로벌 뻗어가는 DB, 국내 집중하는 메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