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릴 IPO]파인헬스케어 인수로 사업모델 '고도화' 나섰다지분교환 방식으로 자회사 편입…신현경 부대표도 지분 9% 보유
이정완 기자공개 2025-06-10 08:13:22
이 기사는 2025년 06월 05일 16시0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AI(인공지능) 플랫폼 기업 아크릴(Acryl)은 IPO(기업공개)를 앞두고 지난해 의료 AI 전문기업 파인헬스케어를 인수했다. AI 기술력이 필요했던 파인헬스케어와 AI 플랫폼 사업화 분야를 눈여겨 본 아크릴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진 결과였다.주식교환을 계기로 파인헬스케어가 아크릴의 완전 자회사로 편입되면서 사업 모델을 더욱 고도화할 기반이 마련됐다는 평이다. 특례 상장으로 증시 입성을 노리는 만큼 헬스케어 분야에서 성장성을 강조할 전망이다.
◇의료 특화 AI 플랫폼 개발 계기
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아크릴은 지난달 코스닥 상장을 위해 한국거래소에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했다. 대표주관사는 신한투자증권이다. 2023년 말 주관사를 선정한 뒤 상장을 준비해왔다. 기술특례 방식으로 상장을 추진 중이다.
KAIST(한국과학기술원) 전산학과에서 학·석·박사학위를 받은 박외진 대표이사가 2011년 창업한 아크릴은 일찌감치 AI 기술력을 인정 받았다. 기업이 원하는 방식으로 AI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머신러닝 모델 운영(MLOps, Machine Learning Operations) 플랫폼 조나단을 개발했다. 2018년 LG전자와 SK C&C가 박 대표의 역량을 인정해 전략적투자자(SI)로 참여하기도 했다.
아크릴은 설립 초기 감성 컴퓨팅에 집중했다. 이 무렵 대기업과 함께한 프로젝트에서도 대기업이 만든 로봇에 감정을 주입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역할을 맡기도 했다. 박 대표는 조나단의 사업 확대 가능성을 모색했고 2020년대 초반 파인헬스케어와 본격적인 협력을 시작했다.
파인헬스케어는 화상전문병원에서 30년간 경영관리 업무를 맡은 신현경 대표가 2020년 창업한 회사다. 신 대표는 화상전문병원에서 확보한 환자 데이터에 AI 기술을 접목시킨 헬스케어 사업을 구상했다. AI가 화상 진단하는 역할을 해 치료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도록 만드는 게 목표였다.
AI 기술을 갖춘 기업을 찾다가 박 대표를 알게 됐고 양측의 협업이 시작됐다. 아크릴이 조나단을 기반으로 의료 특화 AI 플랫폼 나디아를 개발하는 계기도 됐다. AI 의료정보시스템을 만들어 병원이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크릴은 나디아를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병원에 공급하는 성과도 거뒀다.
◇2023년까지 지분 30% 보유하다 인수
사업이 구체화되면서 아예 지분 관계로 이어졌다. 2023년 말 기준 아크릴이 파인헬스케어 지분 30%를 가지고 있었다. 아크릴은 지난해 IPO를 앞두고 파인헬스케어를 완전 자회사로 품기로 결정했다.
아크릴은 파인헬스케어 지분 전량을 확보하는 대가로 아크릴 신주 약 34만주를 발행했다. 파인헬스케어 지분 100%에 대한 장부가액은 20억원 수준이다. 파인헬스케어는 지난해 매출 9억원, 영업적자 1억원을 기록했다. 2023년에는 매출 18억원, 영업이익 4억원으로 흑자를 보이기도 했다.
주식교환 덕에 파인헬스케어를 이끌던 신현경 대표도 아크릴 주주가 됐다. 작년 말 기준 보통주 51만주를 확보해 지분율 9%를 나타냈다. 신 대표는 아크릴에서는 부대표를 맡고 있다. 여전히 개인 최대주주는 지분 22%를 가지고 있는 박외진 대표다.
아크릴 주주로는 티그리스인베스트먼트가 만든 티그리스투자조합58호(12.99%)를 비롯 SI로 투자한 LG전자(11.35%), SK㈜(5.47%) 등이 참여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은 134억원, 영업적자 24억원을 나타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딜
-
- KB증권, 한화오션 공모채 연속 대표주관…끈끈한 관계 유지
- [발행사분석]'순차입 5.5조' SK에코, 올해 두번째 공모채 발행
- 대신증권 주관 톱3 등극…코스닥 명가 자리매김
- [서울로보틱스 IPO]'빅딜' 버금가는 밸류에이션, 성장성 입증 관건
- [에스엔시스 IPO]단독 주관 꿰찬 신한증권, LG CNS 상장보다 더 번다
- [기업 유동화 전략]빡빡한 건설사 조달환경…현대건설도 유동화 택했다
- [베일벗는 삼양화학그룹]화학 계열사, 일제히 적자…수익성 주춤
- VIG파트너스, '쿤달' 더스킨팩토리 매각 시동
- 매각동의권 쥔 SKS PE, 블룸에너지 투자 이어간다
- 스톤브릿지캐피탈, '재무약정 위반' 바디프랜드 면제권 얻었다
이정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에스엔시스 IPO]단독 주관 꿰찬 신한증권, LG CNS 상장보다 더 번다
- [에스엔시스 IPO]IR 돌입 예정…중소형·선박 개조 '키워드'
- [에스팀 IPO]밸류에이션 출발점 400억…수익성 개선 '관건'
- [2025년 정기 신용평가 점검]거센 등급하향 압박…석화·건설 '회복 요원'
- [Korean Paper]10년만에 홍콩 찾은 수은, 한국물 '완탕본드' 이어질까
- [Korean Paper]국민은행 '보증' 롯데물산, KB증권에 힘실었다
- [에스팀 IPO]2대주주 SM엔터, 상장 도우미로 힘싣는다
- [에스팀 IPO]흑자 전환에 상장 도전…수익성 회복만 기다렸다
- [SK플라즈마 IPO]기업가치 출발점 5000억…실적 성장에 베팅
- [IB 풍향계]국내 주관사 추가 NH증권, 한국물 노하우 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