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프트업, '신작 없는 성장' 전략 통할까 '스텔라블레이드' PC판 출시, '니케'와의 협업으로 신규 이용자 유입 도모
황선중 기자공개 2025-06-12 08:37:03
이 기사는 2025년 06월 11일 14시1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작 없이도 실적을 끌어올릴 수 있을까. 시프트업이 그 해답을 찾기 위한 전략적 실험에 나선다. 기존 인기작의 캐릭터와 세계관을 엮는 방식으로 신규 이용자를 유입시키겠다는 구상이다.11일 업계에 따르면 시프트업은 12일 두 개의 핵심 이벤트를 준비하고 있다. 하나는 콘솔게임 '스텔라블레이드' PC판 출시다. 지난해 4월 콘솔 플랫폼 출시 이후 1년 2개월 만에 PC 플랫폼으로 확대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승리의여신:니케'와 '스텔라블레이드' 캐릭터들을 공유하는 쌍방향 협업 콘텐츠(DLC)다.
두 게임은 시프트업 실적을 책임지는 대표작들이다. 1분기 매출(422억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승리의여신:니케' 76.5%(323억원), '스텔라블레이드' 16.6%(70억원)이었다. 문제는 두 게임 인기 지역이 뚜렷하게 갈린다는 점이다. '승리의여신:니케' 매출 대부분은 동양권에서, '스텔라블레이드' 매출 대부분은 서양권에서 비롯되고 있다.

그만큼 이번 두 이벤트는 단순한 팬서비스가 아니라 서로 다른 팬층을 엮어 매출을 올리려는 치밀한 전략에 가깝다. 우선 '스텔라블레이드' PC판은 다양한 신규 이용자를 확보할 수 있는 열쇠다. 이 게임은 서양권에서는 기대만큼의 매출이 나오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동양권에서는 비교적 아쉬운 성적표를 거뒀다.
원인은 명확했다. 콘솔 플랫폼인 플레이스테이션에만 독점적으로 출시된 탓이다. 콘솔게임이 보편적인 북미·유럽과 달리 동양권은 PC게임이나 모바일게임을 선호한다. 콘솔게임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얘기다. 하지만 PC판이 공개되면 플레이스테이션5를 보유하지 않은 이용자들로까지 저변을 확대할 수 있다.
이때 신규 이용자 유입을 극대화하는 수단이 바로 '승리의여신:니케'와의 협업 콘텐츠다. 이 게임은 '스텔라블레이드'와는 달리 국내·일본·중국에서 압도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만약 두 게임 협업이 적절히 이뤄진다면 '승리의여신:니케' 이용자가 '스텔라블레이드' PC판으로 유입되는 선순환이 나타날 수 있는 셈이다.
이를 위해 시프트업은 '승리의여신:니케'에 등장하는 2D 그래픽 미소녀 캐릭터를 3D 게임인 '스텔라블레이드'에 선보인다. 나아가 화려한 총싸움 전투도 액션게임인 '스텔라블레이드'에서도 즐길 수 있게끔 했다. 반대로 '스텔라블레이드'에 등장하는 3D 그래픽 미소녀 캐릭터도 '승리의여신:니케'에 등장시킬 예정이다.
두 게임의 협업은 단순히 두 게임 캐릭터를 공유하는 수준 이상이다. 김형태 대표는 최근 미디어간담회에서 "이번 협업의 방향성은 스토리 중심 경험 제공에 있고, 기술적 제약을 넘어서 이용자가 캐릭터와 세계관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끔 했다"라고 말했다. 유형석 디렉터는 "서로의 IP가 섞여 진한 감정과 서사가 담겼다"라고 설명했다.
이미 증권가에서는 기대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임희석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최근 연구보고서에서 "스텔라블레이드 PC판은 사전구매부터 돌풍을 일으킨 만큼 6월 내에 100만장 판매를 무난하게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2분기 실적 서프라이즈를 예상한다"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스텔라블레이드 PC판 판매량 예측은 섣불리 하기 힘들지만 플레이스테이션에서 출시된 것 이상의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면서 "장기적으로 스테디하게 팔려나가면서 우리가 기대한 수치 이상이 나올 것"이라고 자신했다. 기존 자산만으로 신작 부재라는 한계를 돌파해 보겠다는 시프트업의 고도의 전략이 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롯데케미칼, ESG 거버넌스 정교화...'공급망 리스크'도 관리
- '주주환원 확대' 현대엘리, 사옥 매각으로 재원 확보
- '내실경영'으로 다진 한진, 수익성 '청신호'
- 금호타이어, 정보보호위원회 신설…투자 '매년 확대'
- 하나마이크론, 인적분할 승인 '위임 절차 이상무'
- 인벤테라, 기평 통과 3개월만 예심 청구…'상업화' 자신감
- [i-point]엑스플러스, '시그널웨이브' 자회사 편입
- hy(한국야쿠르트), ‘잇츠온 능이버섯 삼계탕’ 완판
- [이사회 분석/한라캐스트]사외이사 과반 체제…독립성 확보 '만전'
- [thebell interview]"이사회는 기업 본연의 역할 충실케 돕는 것"
황선중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드라마 제작사 생존기]'삼식이삼촌' 슬링샷, 'CB 나비효과' 직면
- 스타쉽, 아이브 덕에 제2사옥 샀다
- '사법리스크 해소' 장현국 대표, 넥써쓰 '장애물 제거'
- [드라마 제작사 생존기]'카지노' 만든 아크미디어, 경영진 전면 교체
- AI로 갈아탄 원유니버스, 기술특례상장 재시동
- 넥슨, 5개월 만에 자사주 5000억 매입
- 더블유게임즈, M&A 카드로 주주불만 잠재우나
- [thebell interview]장현국 넥써쓰 대표 "스테이블코인 위해 페이업체 인수"
- 크래프톤 살렸던 넵튠, 이제는 크래프톤 품에
- [비상장 게임사 도전기]레드랩게임즈, 'K-게임'으로 세계 무대 도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