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5년 06월 13일 08시0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매년 최대 수주 실적을 경신하고 있는 삼성바이오로직스, 꾸준한 임상개발과 품목허가를 통해 바이오시밀러 제품군을 확대하고 있는 삼성바이오에피스. 삼성의 바이오는 신수종 사업을 넘어 미래를 이끄는 핵심 기지로 자리잡았다.그러나 의료계에서 '삼성'이란 브랜드는 여전히 낯설다. 이는 제조업을 기반으로 성장해 온 삼성 바이오 사업의 구조적 특성에 기인한다. 삼성 바이오는 지금까지 삼성바이오로직스 중심의 CDMO(위탁개발생산) 등 B2B 사업이 주력이었다.
삼성바이오에피스 주도로 개발해 상업화한 바이오시밀러도 주로 파트너사를 통해 유통해 온 만큼 의료진과 직접적인 접점을 만들기 어려웠다. 글로벌 시장에서 익숙한 '삼성'이란 이름은 의료 현장에선 아직 생소할 수밖에 없었다.
최근 들어 의료계에서도 삼성이란 브랜드의 의약품이 각인되기 시작해 눈길을 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최초의 해외 직판 모델을 적용한 솔리리스 바이오시밀러 '에피스클리'를 유럽 시장에 안착시켰다. 출시 후 2년간 점유율 1위를 지키고 있다.
이달 초 오스트리아에서 열린 유럽신장학회(ERA)에서 만난 안토니오 리토 삼성바이오에피스 유럽법인 마케팅 총괄은 "삼성이란 강력한 브랜드를 통해 제품을 알린 게 아니라 에피스클리라는 제품을 통해 '삼성' 브랜드를 시장에 알릴 수 있었다"고 말했다.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ERA 부스를 연 건 단순한 제품 홍보 목적이 아니었다. 에피스클리를 활용해 '삼성'이라는 브랜드를 의료계에 각인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학회에서 만든 접점으로 연구자 주도 임상 등 추가 협업으로 이어질 기회도 열어뒀다.
에피스클리의 성공 경험을 기반으로 기존 바이오시밀러 제품의 직판 확대 가능성도 검토 중이다. 먼 미래엔 개발 중인 신약의 상업화 및 마케팅 전략에도 활용될 수 있다. 리토 상무는 "에피스클리의 성공을 기반으로 직판을 늘릴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말했다.
최근 삼성그룹이 바이오 사업 체계 개편을 위한 중대한 결정을 내린 점도 주목할 만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단순 인적분할 방식으로 삼성에피스홀딩스를 신설하기로 결정했다. 삼성에피스홀딩스는 삼성바이오에피스 지분 100%를 승계한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홀로서기와 함께 '삼성'이란 브랜드도 의료계에 싹을 틔우기 시작했다. 삼성은 단순한 제조업을 넘어 브랜드가 기능하는 바이오 기업으로 변모하고 있다. 에피스클리를 통한 직판 경험은 그 첫 사례라는 점에 의미가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i-point]32억 투자받은 네온테크, 산불감시 AI 드론 개발 시동
- [IR Briefing]엔알비 "OSC 로드맵 발맞춤, 최초 사례로 시장 선점"
- [한화의 CFO]윤안식 한화솔루션 CFO, '태양광 사업' 안착 후 재무안정 고심
- [i-point]큐브엔터 '나우즈', 글로벌 차트 존재감 입증
- [Sanction Radar]알테오젠 마지막 퍼즐 '생산' 트럼프에 중단된 오리온 협업
- [보안산업+블록체인 콜라보]안랩, B2B 플랫폼 사업으로 스테이블코인 사업 진출
- [i-point]신성이엔지, 223억 규모 정부과제 주관 선정
- [포스코의 CFO]정대형 포스코퓨처엠 전무, 투자 지속-재무개선 병행 과제
- [i-point]엑스플러스, 200억대 투자 통해 B2C 전환 시동
- 더블유게임즈, M&A 카드로 주주불만 잠재우나
한태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인투셀, 에이비엘 L/O 결별 '특허' 발목…전방위적 영향
- [K-바이오 CGM 진출 전략]골리앗 '애보트·덱스콤' 시장 양분…'특허·FTO' 분석 핵심
- [2025 상반기 제약바이오 마켓리뷰]한산했던 M&A '뷰티' 활약, 매출·법차손 '생존결단'도 눈길
- 해외 유통사에 1000억 쓴 에스디바이오, '키미오랩' 또 인수
- [JPI헬스케어 IPO]FI 일괄 매각 제한 확약에도 '6개월 오버행' 이슈 잔존
- '대웅 자회사' 대웅개발, 의료 디벨로퍼 출신 대표 선임
- 씨젠의 M&A '트윈타워' 전략, 전략기획실 임원 영입
- [K-바이오텍 열전]핀테라퓨틱스 상장 도전기, 컴퍼니빌더부터 IPO까지
- [영상]'삼성·인바디 참가' ERA, 신장학 '지식의 장' 열렸다
- [바이오텍 유증·메자닌 승부수]보로노이, CB 콜옵션 확대 '셀다운' 리스크 최소화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