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증&디테일]'주요주주 이탈' 스코넥, 256억 조달 앞두고 '변수 발생'해피트리조합 구성원 탈퇴, 10% 물량 출회 가능성 '부각'
양귀남 기자공개 2025-06-16 12:33:29
[편집자주]
자본금은 기업의 위상과 크기를 가늠할 수 있는 대표 회계 지표다. 자기자금과 외부 자금의 비율로 재무건전성을 판단하기도 한다. 유상증자는 이 자본금을 늘리는 재무 활동이다. 누가, 얼마나, 어떤 방식으로 진행하느냐에 따라 기업의 근간이 바뀐다. 지배구조와 재무구조, 경영전략을 좌우하는 이벤트이기 때문이다. 더벨은 유상증자 추진 기업들의 투자위험 요소와 전략 내용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한다.
이 기사는 2025년 06월 16일 12시3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스코넥엔터테인먼트(이하 스코넥)에서 주요주주가 심상치 않은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최대주주의 우호 재무적 투자자(FI)로 분류되던 조합에서 핵심 주주가 이탈하면서 총 주식 수 대비 10%에 달하는 물량이 일시에 쏟아질 수 있게 됐다. 256억원에 달하는 유상증자를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흥행에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1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해피트리파트너스조합1호가 조합원 일부가 조합에서 탈퇴했다고 밝혔다. 당초 140만주를 보유하고 있었지만, 총 89만주가 이탈했다.
해피트리파트너스조합1호는 스코넥의 주요주주로 분류된다. 최근 최대주주 변경 과정에서 상당량의 지분을 인수했기 때문이다.

스코넥은 지난 3월 최대주주가 황대실 전 대표에서 유니콥 주식회사로 변경됐다. 총 300만주의 구주를 인수하는 계약에서 전략적 투자자(SI) 성격의 유니콥이 160만주를 인수하고 FI 성격의 해피트리파트너스조합1호가 140만주를 인수했다.
해피트리파트너스조합1호는 당초 와이즈프라퍼티스와 에이케이파트너스자산운용이 출자해 구성한 조합이다. 와이즈프라퍼티스가 64.29%, 에이케이파트너스자산운용이 35.71%를 출자했다.
최근 와이프라퍼티스가 스코넥에서 이탈한 모양새다. 와이즈프라퍼티스는 유니콥에게 자금을 대여하면서 사실상 스코넥 인수 구조에서 핵심적인 자금줄 역할을 해온 주체다. 와이즈프라퍼티스는 수원에 위치해 있는 법인으로 김재경 씨가 대표를 역임하고 있다.
와이즈프라퍼티스는 지난달 29일 출자지분에 대해 엘케이앤피네트웍스와 블루엠아이앤디에 조합원 지위를 양도했다. 결국 해당 주주들이 조합에서 이탈 하면서 해피트리파트너스조합1호의 지분율은 11.15%에서 3.97%까지 하락했다.
통상적인 조합 해산의 일환으로 볼 수 있지만, 스코넥의 경우 다르게 볼 필요가 있다. 스코넥은 최대주주 변경 이후 256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자금 조달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주주들을 대상으로 자금 조달을 진행한다는 점에서 주요 주주의 이탈은 영향이 클 수 있다.
게다가 조합에서 탈퇴한 주체들의 지분이 일시에 시장에 쏟아질 수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해피트리파트너스조합1호 지분까지 포함하면 총 주식 수 대비 10.91%에 달하는 지분이 당장 시장에 출회될 수 있다.
해피트리파트너스조합1호 지분이 5% 이하로 하락하면서 관련 지분 전체에 대해 추적이 사실상 불가능해진 상황이다. 유상증자를 진행하고 있는 와중에 오버행 리스크까지 불거지는 모양새다.
시장에서도 즉시 반응을 보였다. 스코넥의 주가는 지난 13일 하한가로 마감했다. 거래소에서도 스코넥 측에 조회공시를 요구했다. 시장에서는 해피트리파트너스조합1호로부터 떨어져 나온 주체가 일부 지분을 정리했을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스코넥은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한 자금을 XR 사업 확대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조달한 자금 중 40억원은 부동산 인수를 바탕으로 한 시설자금으로 활용하고 216억원 전부를 운영자금으로 활용한다.
지난달 개최한 기업설명회에서는 기존에 유지하던 XR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비전을 제시했다. XR과 VR 콘텐츠를 국방훈련, 교육, 게임 등으로 연결 시켜 수익성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스코넥 관계자는 "조합의 경우 FI 성격이기 때문에 조합 구성 변동에 대해서는 회사가 알지 못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i-point]32억 투자받은 네온테크, 산불감시 AI 드론 개발 시동
- [IR Briefing]엔알비 "OSC 로드맵 발맞춤, 최초 사례로 시장 선점"
- [한화의 CFO]윤안식 한화솔루션 CFO, '태양광 사업' 안착 후 재무안정 고심
- [i-point]큐브엔터 '나우즈', 글로벌 차트 존재감 입증
- [Sanction Radar]알테오젠 마지막 퍼즐 '생산' 트럼프에 중단된 오리온 협업
- [보안산업+블록체인 콜라보]안랩, B2B 플랫폼 사업으로 스테이블코인 사업 진출
- [i-point]신성이엔지, 223억 규모 정부과제 주관 선정
- [포스코의 CFO]정대형 포스코퓨처엠 전무, 투자 지속-재무개선 병행 과제
- [i-point]엑스플러스, 200억대 투자 통해 B2C 전환 시동
- 더블유게임즈, M&A 카드로 주주불만 잠재우나
양귀남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point]에이루트 자회사, 중국 제조사에 반도체 장비 독점 공급
- [지배구조 분석]에스앤더블류 승계 마무리 수순, 실리 챙긴 오너
- [지배구조 분석]퓨트로닉, 1년만에 우수AMS 대주주 등극…인수 가능성 '촉각'
- [코스닥 오버행 리스크 체크]'잠재물량 260%' 오늘이엔엠, CB 향방 '주목'
- [i-point]휴마시스 "셀트리온과 1심 소송 일부 승소"
- [지배구조 분석]오하임앤컴퍼니 매각 공식화, 창업주 엑시트 '채비'
- [코스닥 오버행 리스크 체크]'대주주 변경' 오늘이엔엠, 전주인 지분 시한폭탄 '변모'
- [코스닥 상장사 매물 분석]한주에이알티, 모회사 알에프텍 매각 무산 '유탄'
- [i-point]제이스코홀딩스, 바오리에너지와 니켈공급 본계약 체결
- [유증&디테일]'주가 제자리' 엑스큐어, 조달규모 31%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