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케이젠, 엔케이맥스 인수 완료…상장유지 여부 관건 유상증자 후 65%대 지분 확보, 다음 달 기업심사위원회 개최 예정
한태희 기자공개 2025-06-20 08:26:15
이 기사는 2025년 06월 19일 14시5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엔케이젠바이오텍(이하 엔케이젠)이 스토킹 호스(stalking horse) 방식으로 추진하던 엔케이맥스 인수 절차를 마무리했다. 코스닥 상장사 엔케이맥스는 현재 거래 정지된 상태다. 다음 달 열리는 기업심사위원회에서 상장폐지 여부 등이 확정된다.엔케이맥스는 19일 공시를 통해 서울회생법원으로부터 회생계획을 인가받았다고 밝혔다. 인수자의 잔금 납입 완료 후 회생계획안이 이달 18일 관계인집회에서 가결됐다.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243조 제1항에서 정한 요건을 갖췄다고 인정받았다.
변제재원은 매각주간사 용역수수료 등을 제외한 189억원이다. 원금과 개시 전 이자의 46.7821%는 출자전환, 53.2179%는 현금으로 일시 변제된다. 출자전환 대상 채권은 회사가 새로 발행하는 신주로 대신 지급되며 해당 채권은 변제된 것으로 처리된다.
다만 출자전환과 주식병합, 유상증자에 따른 기존 주주의 지분 희석은 불가피하다. 기존 보통주 8551만8831주는 4.75:1로 병합돼 감자 효과가 발생한다. 1주 미만의 단주는 무상 소각되며 액면가 500원 기준 발행되는 신주 4640만주가 추가 유입된다.
엔케이맥스는 제3자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한 엔케이젠으로부터 총 232억 원의 자본금을 확보한다. 신주는 보호예수 대상으로 상장일로부터 6개월간 의무 예치된다. 유상증자 후 엔케이젠이 확보할 지분율은 전체의 65% 수준으로 추산된다.
코스닥 상장사 엔케이맥스는 작년 대주주의 주식담보대출 반대매매 등 일련의 사태에 이어 유동성 위기를 거치면서 거래가 정지됐다. 이후 회생 절차에 돌입했고 스토킹 호스 방식을 통한 대주주 교체 작업을 진행해왔다.
엔케이젠은 작년 11월 우협 선정 후 엔케이맥스와 신주 4640만주를 230억 원에 인수하는 조건부 투자계약을 체결했다. 계약금 형식으로 10%를 먼저 납입했고 작년 말 서울회생법인으로부터 최종 인수예정자 허가를 받았다.
그러나 회생계획안 제출 후 관계인집회 기일을 두 차례나 연기했다. 인수 대상자인 엔케이젠 측 잔금 납입 일정이 미뤄지면서다. 나스닥 상장폐지라는 악재도 겹치며 인수가 지연됐으나 이달 18일 열린 관계인집회 기일 전 잔금 납입을 완료했다.
인수 절차가 마무리됐지만 상장 유지 여부는 확정되지 않았다. 엔케이맥스는 지난달 2일 감사의견 비적정과 관련해 개선계획 이행내역서를 제출했으나 감사의견이 변경된 2023사업연도 감사보고서, 감사의견이 적정인 2024사업연도 감사보고서를 내지 못했다.
한국거래소는 다음 달 3일 기업심사위원회를 개최하고 엔케이맥스의 상장폐지 여부를 심의 및 의결할 예정이다. 기업심사위원회를 통해 상장폐지 사유에 한정하지 않고 기업의 계속성과 투명성, 경영 정상화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게 된다.
폴 송 엔케이젠 대표는 더벨에 "(엔케이맥수 인수 후) 여러 좋은 계획들을 추진 중"이라며 "몇 달 내 이를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i-point]32억 투자받은 네온테크, 산불감시 AI 드론 개발 시동
- [IR Briefing]엔알비 "OSC 로드맵 발맞춤, 최초 사례로 시장 선점"
- [한화의 CFO]윤안식 한화솔루션 CFO, '태양광 사업' 안착 후 재무안정 고심
- [i-point]큐브엔터 '나우즈', 글로벌 차트 존재감 입증
- [Sanction Radar]알테오젠 마지막 퍼즐 '생산' 트럼프에 중단된 오리온 협업
- [보안산업+블록체인 콜라보]안랩, B2B 플랫폼 사업으로 스테이블코인 사업 진출
- [i-point]신성이엔지, 223억 규모 정부과제 주관 선정
- [포스코의 CFO]정대형 포스코퓨처엠 전무, 투자 지속-재무개선 병행 과제
- [i-point]엑스플러스, 200억대 투자 통해 B2C 전환 시동
- 더블유게임즈, M&A 카드로 주주불만 잠재우나
한태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인투셀, 에이비엘 L/O 결별 '특허' 발목…전방위적 영향
- [K-바이오 CGM 진출 전략]골리앗 '애보트·덱스콤' 시장 양분…'특허·FTO' 분석 핵심
- [2025 상반기 제약바이오 마켓리뷰]한산했던 M&A '뷰티' 활약, 매출·법차손 '생존결단'도 눈길
- 해외 유통사에 1000억 쓴 에스디바이오, '키미오랩' 또 인수
- [JPI헬스케어 IPO]FI 일괄 매각 제한 확약에도 '6개월 오버행' 이슈 잔존
- '대웅 자회사' 대웅개발, 의료 디벨로퍼 출신 대표 선임
- 씨젠의 M&A '트윈타워' 전략, 전략기획실 임원 영입
- [K-바이오텍 열전]핀테라퓨틱스 상장 도전기, 컴퍼니빌더부터 IPO까지
- [영상]'삼성·인바디 참가' ERA, 신장학 '지식의 장' 열렸다
- [바이오텍 유증·메자닌 승부수]보로노이, CB 콜옵션 확대 '셀다운' 리스크 최소화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