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리스 '현대' 레거시, 아산 정주영은 무엇을 남겼나 김화진 서울대 법학대학원 교수, 아산 20주기 맞아 현대 후예들 재조명
유수진 기자공개 2021-02-05 17:11:43
이 기사는 2021년 02월 05일 17:10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경제의 거목' 아산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 20주기를 맞아 김화진 서울대 법학대학원 교수가 그의 유산 '현대(現代)'를 재조명한다. 글로벌 기업들의 소유·지배구조를 연구하는 저자가 자신만의 유니크한 시각으로 새로운 기업읽기를 선보인다. 신간 제목은 '아산 정주영 레거시'.이 책은 아산의 일대기를 다룬 전기나 현대의 성장과정이 담긴 역사책이 아니다. 아산이 일궈낸 사업의 과거와 현재, 미래에 초점을 맞춰 현대와 현대를 이루고 있는 사람들을 바라본다. 아산이 남긴 유·무형적 유산들은 여전히 한국사회 전반을 구성하고 지탱하며 이끌어가고 있다.
저자는 아산의 유산을 '기업으로서의 현대'로 한정하지 않는다.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명예회장으로 대표되는 범현대가(家)의 재계 활동과 별개로 정몽준 아산사회복지재단 이사장의 정계와 외교, 스포츠 관련 활동처럼 기업 밖의 유산도 존재한다는 것이다.
아산이 시작했거나 그 뜻을 이어받은 사회복지기관과 교육·연구기관들을 통해 사회 곳곳에서 유업과 유지가 전승되고 있다고 본다.
한 때 '현대그룹'이라는 울타리 안에 함께 있었지만 지금은 각자의 길을 걷고 있는 현대그룹와 현대차그룹, 현대중공업그룹 간 접점을 찾기도 한다. 소유·지배구조 관계가 사실상 전무하고 혈연관계도 없는 사람들 사이에서 공통점이 느껴진다는 것이다. 저자는 아산이 창업한 기업의 '후예들'이라는 측면에서 해답에 접근한다.
책은 총 3부로 구성된다. 제1부에서는 '현대의 탄생과 성장'을 다룬다. 현대의 성지인 서산에 방문한 기록을 시작으로 아산과 현대 성장의 약사를 담았다. 1971년 조선소 건립을 위해 영국 투자자와 만나 거북선이 그려진 500원 짜리 지폐를 보여주고 돈을 빌려온 '거북선 담판'부터 현대상선(현 HMM) 부침의 역사, 현대차의 탄생과 성장, 현대제철 M&A 등이 이어진다.
제2부는 현대그룹 계열 분리를 시작으로 한층 진화된 범현대가의 모습을 보여준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추진하는 '스마티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으로의 변신과 '스마트 조선' 시대를 여는 현대중공업, 최정밀화학기업으로 변신을 시도하는 KCC 등을 살핀다.
저자는 최근 현대차그룹이 모빌리티 중심의 도약을 꾀하고 있다는 점에서 아산의 안목에 감탄을 표한다. 앞서 아산은 1998년 회고록에서 "자동차 부품 공업은 세계의 황금 시장이다…자동차의 전자화는 장차 자동차 사업의 성패를 가늠할 궁극적 핵심 요소가 될 것이 분명하다"고 밝혔다. 그의 혜안이 20년 후인 오늘날과 딱 맞아떨어지는 셈이다.
마지막 제3부에서는 '현대를 넘어, 정주영이 꿈꾼 세상'을 조명한다. 기업인이 아닌 정치인이자 혁신가, 스포츠 활동가 등 현대 밖 리더로서 아산의 모습이다. 전세계에 대한민국 이름을 알린 88올림픽 유치와 2002년 월드컵의 기억, 소떼 방북과 금강산 관광 등을 다룬다. 제14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항상 나눔을 실천해 온 철학도 함께 담았다.
저자는 아산의 후예들에게 메시지를 던진다. "아산 리더십의 요체가 추진력과 헌신에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아산은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에도 영원히 가장 중요한 책임감과 정직성, 혁신을 보여줬다. 사회적 책임과 나눔의 철학은 세월이 흘러도 그 본질이 달라지지 않는다. 아산은 '기업은 인간을 위한 인간의 단체'라고도 했다. 아산의 후예들이 변화된 환경에서 그 덕목을 계승하는 것이 과제로 남는다."라고.
저자인 김화진 교수는 서울대학교 수학과, 독일 뮌헨대학 법학부, 미국 하버드대학 로스쿨에서 공부했다. 현재는 서울대 법학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회사법과 M&A, 투자은행, 기업지배구조를 연구하고 가르친다. 국내에서 정책법률을 연구하는 몇 안되는 법학자 중 한명이다.
스탠퍼드대 로스쿨과 텔아비브대 법대에서 강의했고 미시간대 로스쿨 글로벌 석좌교수, 뉴욕대 글로벌 법학교수를 역임했다. 저서로는 △소유와 경영 △사례로 보는 M&A의 역사와 전략 △한국기업의 지배구조와 혁신 △스탠퍼드가 하버드에 간 이유 등이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북미 질주하는 현대차]윤승규 기아 부사장 "IRA 폐지, 아직 장담 어렵다"
- [북미 질주하는 현대차]셀카와 주먹인사로 화답, 현대차 첫 외국인 CEO 무뇨스
- [북미 질주하는 현대차]무뇨스 현대차 사장 "미국 투자, 정책 변화 상관없이 지속"
- 수은 공급망 펀드 출자사업 'IMM·한투·코스톤·파라투스' 선정
- 마크 로완 아폴로 회장 "제조업 르네상스 도래, 사모 크레딧 성장 지속"
- [IR Briefing]벡트, 2030년 5000억 매출 목표
- [i-point]'기술 드라이브' 신성이엔지, 올해 특허 취득 11건
- "최고가 거래 싹쓸이, 트로피에셋 자문 역량 '압도적'"
- KCGI대체운용, 투자운용4본부 신설…사세 확장
- 이지스운용, 상장리츠 투자 '그린ON1호' 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