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C 회수 길 열린 툴젠, 밸류 '200억→9400억' 2014년 투자 시점 대비 몸값 40배 이상 수직 상승, 오버행 이슈 고려 엑시트 타이밍 저울질
이명관 기자공개 2021-11-19 07:48:55
이 기사는 2021년 11월 17일 16:22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툴젠이 기업공개(IPO)에 나서면서 이곳에 투자한 벤처캐피탈(VC)의 자금 회수도 가시화되고 있다.그간 툴젠의 기업공개가 번번히 무산되면서 VC는 엑시트 타이밍을 놓쳐왔다. 툴젠의 이번 상장 시도는 4번째다. IPO가 더디게 진행되면서 자금회수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엑시트 성과는 상당할 것으로 관측된다. 7년 전 모험자본이 유입됐을 때보다 툴젠의 기업가치가 수십배 이상 뛰었다.
17일 VC업계에 따르면 툴젠이 다음달 초 코스닥에 상장을 목표로 프로세스를 진행중이다. 기술특례 상장 방식이다. 상장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 맡고 있다.

특히 유통물량이 60%를 넘어서는 만큼 오버행 이슈가 부각될 가능성이 있어 VC간 눈치싸움이 이어질 가능성도 있는 상태다. 상장 후 유통가능 물량은 500만주로 전체의 64%에 해당된다. 오버행은 대량의 대기물량을 의미한다. 이 존재는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럼에도 VC들은 '중박' 이상의 엑시트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 모험자본이 투입된 2014년을 기점으로 이후 몸값이 크게 상승했기 때문이다. 투자유치 시기별로 상이하겠지만, 배수 이상의 멀티플 성과가 기대되고 있다.
VC의 자금이 툴젠에 유입된 시기는 7년 전인 2014년이다. 2014년 LB인베스트먼트로부터 30억원을 투자받았다. 이때 인정받은 툴젠의 기업가치는 200억원 수준이다. 2년 후인 2016년엔 KTB네트워크도 주주로 합류했다. 그리고 마지막 투자유치 시기는 2018년으로 IMM인베스트먼트를 비롯한 기존 VC가 300억원의 자금을 툴젠에 추가 투자했다.
현재 툴젠의 상장밸류가 최대 9400억원 수준으로 거론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7년 사이 무려 40배 이상 몸값이 상승한 모습이다. 툴젠은 희망 공모가 밴드로 10만~12만원으로 내걸었다. 공모 후 발행주시 총수를 고려한 예상 상장밸류는 7841억~9410억원 선이다.
툴젠은 1999년 유전자 교정 분야 권위자인 김진수 박사가 '유전자가위' 기술을 바탕으로 툴젠을 설립했다. 이후 2006년 1세대 유전자가위 '징크핑거', 2011년 2세대 유전자가위 '탈렌'을 잇따라 내놓으며 명성에 걸맞는 성과도 선보였다.
특히 유전자가위는 생명체의 유전자 중 질병을 일으키는 특정 부분을 잘라 제거하거나 재배열하는 생명공학 기술이다. 혈우병, 황반변성, 유전성 실명 같은 희귀 유전질환을 치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동식물 육종 개발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다만 이 같은 뛰어난 기술력에도 부실한 경영 속에 제대로 수익을 내지 못했다. 고질적인 적가 기조가 이어졌다.
이에 2001년 이후 2014년까지 단 한 푼의 외부 투자도 받지 못했다. 이에 자금은 바닥이 났다. 그 사이 유전자가위 기술은 3세대 '크리스퍼'로 넘어가고 있었다. '생명공학의 혁명'이라고까지 불리던 기술이다. 1, 2세대에 비해 DNA를 절단할 때 발생하는 오류가 비약적으로 줄었을 뿐 아니라 비용도 5000달러에서 30달러로 낮아지며 상품으로서의 가치고 상승했다.
그렇게 사장될 뻔한 툴젠의 유전자가위 기술은 2014년 LB인베스트먼트의 자금을 받아 기사회생했다. LB인베스트먼트는 툴젠의 유전자가위에 대한 잠재력을 눈여겨 보고 전격 투자에 나섰다. 이 자금을 초석으로 툴젠은 총 470억원의 자금을 수혈받아 현재의 구색을 갖출 수 있었다.
VC업계 관계자는 "이번이 4번째 상장 도전인데, 분위기가 좋은 상태"라며 "과거 대비 기업가치가 크게 상승한 만큼 의미 있는 수준의 엑시트 성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글로벌 퇴행성디스크 치료제 선두 경쟁 '지각변동'
- 코넥스, 기회를 잡아라
- [그들만의 리그 여전채 시장]여전사, 시장가격 반영의지 '제로'...금리 왜곡 부추겨
- [그들만의 리그 여전채 시장]채권 공급자 여전사 자산 건전성도 '흔들'
- 컴투스, C2X 메인넷 '테라→클레이튼' 교체할까
- LG의 마이크로LED 전략, 삼성과 다른 점은
- LG유플러스, 고객 이탈 막았지만…아쉬운 역성장
- 컴투스, 발목잡은 미디어사업…메타버스 청사진 '유지'
- [CFO 워치/코빗]김회석 CFO, NXC 이사회 합류…소통 '키맨' 역할
- '수익성 개선' 광림, 특장차 교체 수요 덕봤다
이명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토탈 솔루션 통신장비 '우리별' 투자유치 추진
- [VC 펀드분석]다올인베, 만기 도래 '국민연금 펀드' 청산 돌입
- [VC 투자기업]IPO 밸류 확정 가온칩스, VC 엑시트 청신호
- [VC 투자기업]유비쿼스인베, '지투파워' 2년만의 엑시트 멀티플 3배 상회
- 메쉬코리아,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손잡고 물류 디지털전환 선도
- [2022 모태 2차 정시출자]신생 로간벤처스, 연내 'AUM 700억' 가능할까
- [VC 투자기업]패션 공룡 '무신사' 밸류 어디까지 오를까
- [VC투자기업]'스팩합병' 핑거스토리, VC 투자 회수 잰걸음
- 한투파, 칩스앤미디어 VC투자부터 바이아웃까지 인연
- S&S인베스트먼트, 아주IB 출신 시니어 심사역 영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