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E 규제에 발목잡힌 아이텀, 넷마블 손잡고 살아날까 [코인사업자 리포트]①지난해 6월 업비트 상폐, 넷마블 인수 검토 소식 들리자 가격 급등
노윤주 기자공개 2022-01-06 13:48:34
[편집자주]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가상자산 열풍이 전 세계를 휩쓸면서 국내에서도 코인 산업의 생태계가 조성되고 있다. 문제는 국내 당국이 가상자산 공개(ICO)를 유사수신 행위로 간주함에 따라 해외를 통한 우회상장이나 거래소 공개(IEO) 등을 통해 일명 '잡코인'이 대거 거래소에 입성, 난립하고 있다는 점이다. 옥석 가리기가 중요해진 시점에서 더벨은 국내 코인사업자들의 면면을 살펴봤다.
이 기사는 2022년 01월 04일 16:33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개발사 아이텀게임즈가 업계 화두로 떠올랐다. 넷마블이 '플레이 투 언(P2E)' 일명 돈버는 게임을 출시하기 위해 아이텀 경영권을 인수한다는 소식이 들리면서다. 주요 거래소 상장폐지와 당국의 규제로 사업 방향이 흔들렸던 아이텀이 넷마블 지원을 받으면서 다시 살아날 수 있을지 이목이 집중된다.◇당국의 P2E 게임 규제, 아이텀 사업 2년간 난항
최근 아이텀이 발행한 동명의 가상화폐 '아이텀코인(ITAM)' 가격이 900% 이상 상승했다. 지난해 12월 초 20원에 불과했던 아이텀코인은 같은달 24일 최고 200원을 기록했다. 넷마블의 경영권 인수 소식이 알려진 직후다. 넷마블은 인수 확정이 아니고 아이텀은 여러 협상 대상 중 하나라고 일축했지만 코인 가격은 여전히 180원대를 상회하고 있다.
아이텀은 2019년부터 사업을 시작한 블록체인 기술 회사다. 여러 블록체인 기반 게임을 한곳에 모은 '블록체인 게임 스토어'를 구축하는 게 최초 계획이었다. 구글에 플레이스토어, 애플에 앱스토어가 있듯 블록체인 업계에는 아이텀스토어를 정착시킨다는 목표였다.

아이텀은 처음부터 P2E 게임이 산업 판도를 바꿀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규제가 발목을 잡으면서 사업을 키우지 못했다.
P2E는 게임을 하면서 재화를 얻고 이를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모델이다. 게임에서 코인을 얻고 이 코인을 거래소로 보내 현금화하는 구조다. 또는 게임 내 아이템을 타인에게 팔아서 현금화할 수도 있다.
국내 게임 출시를 관할하는 게임물관리위원회는 P2E 게임의 환금성 이슈를 문제 삼아 등급분류를 내주지 않고 있다. 이미 등급을 받아 운영 중인 게임이 P2E 모델을 적용할 경우 분류 취소 처분을 내리고 있다. 최근 '무돌코인'을 출시하면서 등급분류 취소 판정을 받은 게임 무한돌파삼국지가 대표 사례다.
규제로 인해 2년 가까이 산업이 커지지 못하면서 아이텀의 계획도 난항을 겪었다. P2E 게임 수가 예상만큼 많이 증가하지 않았다. 현재 아이텀스토어에서 소개하고 있는 P2E 게임 종류는 3년 전 베타버전 출시 때와 달라진 게 없다.
◇업비트 상폐로 급락한 코인 가격…넷마블 이슈로 9000% 상승
엎친데 덮친격으로 지난해 6월 아이텀코인은 업비트에서 상폐됐다. 상장한지 1년만이다. 당시 업비트는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 신고를 앞두고 이해관계가 상충되거나 내부상장 요건을 맞추지 못한 가상자산을 대량 상폐한 바 있다.
업비트는 아이텀의 블록체인 게임 사업 분야 성과가 미진하다고 평가했다. 또 블록체인 네트워크 활동이 활발하지 않고 글로벌 유동성에서도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고 상폐 이유를 밝혔다. 블록체인 게임에 대한 국내 규제 이슈도 상폐 요인이 된 것으로 알려졌다.
아이텀 측은 업비트가 제기한 의문에 대해 모두 소명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4월 100원을 넘겼던 아이텀코인 가격은 상폐 결정 후 98% 이상 하락해 2원대로 급락했다.
2원이던 아이텀코인의 현재 가격은 180원이다. 넷마블 이슈로 불과 6개월만에 9000% 넘게 상승했다. 업계서는 블록체인 게임 기업들의 가치가 점차 높아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대형 게임사들이 기술력을 가진 블록체인 게임 회사들과 계속 접촉 중"이라며 "P2E 모델을 적용한 미르4의 글로벌 버전이 주목 받으면서 시장 관심은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넥스턴바이오사이언스, 롤코리아 경영권 확보 완료
- 위세아이텍, '사업 경쟁력 강화' 각자 대표 체제 출범
- '렌탈 1위' 코웨이, 후발주자들과 격차 더 벌렸다
- 네이버, '페이머니 통장' 혁신금융서비스 신청 모색
- 중소형거래소도 뭉친다…개별 협의체 'KDA' 출격
- SK시그넷, 자회사 시그넷에너지 '유증자합병' 이유는
- 넷마블, 블록체인 우군 25곳…MBX 글로벌 확장 속도
- 드림어스컴퍼니, 주가하락에 CPS 전환 요원
- [증권사 글로벌사업 점검]KB증권, 현지 증권사 '통큰 인수'...KB 문화 이식
- [증권사 글로벌사업 점검]캄보디아 진출 16년 유안타, 현지화로 시장선점 '결실'
노윤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중소형거래소도 뭉친다…개별 협의체 'KDA' 출격
- '자체 앱' 승부수 띄운 그라운드X, 카톡 의존도 줄인다
- 가상자산 '한지붕 여러 협의체'…축소된 협회 영향력
- 디파이 위기 맞은 클레이튼, 메타버스로 노선 변경
- 코인거래소 목소리 통일한다…상장 경쟁 '잠시 멈춤'
- 두나무, 해외 진출 발판으로 '두나무글로벌' 활용한다
- 유가랩스, 메타버스 출시 예고 후 '주춤'…전화위복 노린다
- 유가랩스 'BAYC', 원숭이 NFT 신화는 지속 가능할까
-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 재부상...위메이드, 디파이 생태계 앞장
- 메타콩즈, 이더리움 위에서 재출발…글로벌 도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