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사 연체율 점검] 마의 2% 달려가는 연체율…건전성 빨간불①신규 연체채권 2조 넘어서…손실흡수력은 점점 하락
김보겸 기자공개 2024-07-26 08:00:44
[편집자주]
카드사 연체율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3년간 연체율이 역대 최저 수준을 유지했지만 금리 상승과 자산가치 하락 여파가 나타나면서다. 카드사들이 부실채권을 대규모로 매각하면서 건전성 개선 노력에 나섰지만 연체율 상승을 막지 못하고 있다. 국내 카드사들의 연체율 현황을 점검한다.
이 기사는 2024년 07월 24일 07:42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내 카드사들의 연체율이 오르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연체율이 대폭 하락하며 3년간 역대 최저 수준을 유지했지만 카드사들이 다시금 대출을 늘리면서 코로나19 이전 수준보다 연체율이 큰 폭으로 높아졌다.카드사가 보유한 부실채권의 규모가 커진데다 손실을 흡수하는 능력인 대손충당금 적립비율은 낮아지고 있다. 이 와중에 카드사 실적은 나쁘지 않다. 이는 한계에 몰린 서민들이 급전을 찾아 카드론에 몰리면서 쌓아올린 불황형 호실적에 가깝다는 지적이다.
◇2조원 넘긴 고정이하여신…치솟는 연체율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1분기 국내 8개 카드회사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1.83%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3월 말(1.46%) 대비 약 26% 상승한 수치다. 2년 전(1.00%)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뛰는 등 연체율이 큰 폭으로 오르면서 건전성이 악화됐다. 통상 업계에서는 2%를 넘기면 위험 수치로 본다.
연체율 상승세는 2년 연속 지속되고 있다. 카드사 연체율은 코로나19로 대출자산 부실 우려가 높아지기 시작한 2020년 이후 3년째 역대 최저 수준을 유지했다. 2019년 1분기 8개사 평균 연체율은 1.51%에서 2020년 1.40%로 줄었고 2022년에는 1.00%로 떨어졌다. 하지만 2022년을 저점으로 다시금 치솟고 있다.
신규 연체채권도 3년째 늘고 있다. 2022년 1분기에는 1조1485억원이던 고정이하여신은 지난해 1조7008억원으로 48% 급등했다. 올 1분기에는 2조122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동기 대비 25% 늘었다. 고금리가 지속된 데다가 부동산 등 자산 가격이 하락한 영향이다.
카드사들이 건전성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연체율 상승세를 막지 못했다. 카드사들은 돈을 돌려받기 어렵다고 판단하면 매출채권을 부실채권으로 평가해 손실로 처리한다.
회계상 비용으로 잡히기 때문에 실적에는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실제 올해 3월까지 카드사들이 손실로 처리한 대손상각비 규모는 1조109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기간(9854억원)보다 12% 증가했다.
예상손실에 대한 흡수력도 떨어지고 있다. 고정이하여신 대비 대손충당금을 쌓은 비율이 낮아지고 있어서다. 올 1분기 8개 카드사의 대손충당금 적립비율 평균은 550.05%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714.71%) 대비 23% 하락한 수준이며 2년 전(960.15%) 대비로는 42% 떨어진 수준이다.
◇카드사 실적은 나아졌지만…"건전성 저하 압력 지속"
연체율이 급상승하는 와중에도 카드사 실적은 나아졌다. 올 1분기 8개사 당기순이익은 2조4502억원으로 전년 동기(2조3736억원) 대비 3% 늘었다. 본업인 신용판매에서는 고금리가 지속되며 조달비용이 커진 탓에 수익성이 낮아졌다. 하지만 서민들의 급전 창구인 현금서비스와 카드론 등 대출성 상품에서의 수익이 크게 늘어난 결과다.
전형적인 불황형 호실적을 거두는 모습이다. 카드사가 적극적으로 건전성 관리에 나서고 있지만 연체율이 좀처럼 잡히지 않는 건 바로 이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카드사들이 올 들어서만 1조원 넘게 대손상각하더라도 가계의 부채상환능력이 떨어진 탓에 연체율 상승을 막지 못했다는 것이다.
건전성 이슈가 한동안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성진 나이스신용평가 수석연구원은 "올 하반기 중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있지만 과거 대비 높아진 금리수준이 지속될 것"이라며 "이에 따라 제2금융권 및 다중채무자를 중심으로 건전성 저하 압력이 상당기간 지속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다만 금감원에서는 수치에 매몰될 필요는 없다는 의견도 나온다. 현재 연체율이 오르는 건 본업인 신용판매에 있어 양적 성장을 하는 데 한계가 있는 반면 연체액만 늘어나는 구조적 이유가 크다는 설명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업황이 개선되면서 카드사 자산 성장이 가능해지면 연체율도 자연스레 낮아질 수 있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소니드에이아이, KADEX 2024 특별전시관에 '브레인봇' 전시
- [영풍-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최대 2.5조 베팅' MBK, 6호펀드서 실탄 마련했다
- [i-point]시노펙스, 대한신장학회 20회 부울경 혈액투석 심포지엄 참가
- [영풍-고려아연 경영권 분쟁]'끝까지 간다' MBK-영풍, '83만' 동일 선상 다시 격돌
- [영풍-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치열해진 경영권 분쟁, 고려아연 재무 영향은
- [영풍-고려아연 경영권 분쟁]‘가격·법적 리스크’ 저울질, 기관투자자 선택은
- [빅블러 시대, 텔코와 금융의 만남]KT·신한금융, 사업 효용·글로벌 투자 연계력 강화 '방점'
- [i-point]노을, 아세안 AI 의료기기 시판 허가 획득
- [영풍-고려아연 경영권 분쟁]한국투자증권, 고려아연 백기사 '베인캐피탈' 돕는다
- [i-point]'미국 진출' 제이엘케이, 20% 무상증자 추진
김보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금융감독원 인사 풍향계]산적한 과제…금감원 역사상 첫 연임 원장 탄생하나
- [카드사 자금조달 점검]'회사채 올인' 벗어난 KB국민카드, 비중 60%대 첫 진입
- KT 최대주주 오른 현대차…술렁이는 BC카드
- [카드사 자금조달 점검]차입금 만기 분산한다…삼성카드의 '20·20·20·30' 전략
- [카드사 자금조달 점검]신한카드, 자산유동화 확대…조달 다각화로 부담 완화
- [금융권 보수 분석]베일 벗은 BC카드, 10년 전보다 성과평가 지표 다양화
- 금감원 임원 인사 마무리…국장 인사 연말 넘길까
- [thebell note]롯데카드 매각 눈높이 적절할까
- [금융지주 계열사 성과평가]정통 카드맨 CEO 계속될까…기로에 선 문동권 신한카드 사장
- [금융권 보수 분석]하나카드 CEO, 성과급 54%는 주식과 연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