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바이포, AI 솔루션 '픽셀 2.0' 도전…'밸류업' 정조준 '픽셀 2.0' 베타 버전 운영…영상업계 전문가 뭉친 '팀 픽셀'도 가동
윤진현 기자공개 2024-10-17 14:48:46
이 기사는 2024년 10월 17일 10시4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포바이포가 콘텐츠 AI 솔루션인 '픽셀(Pixell)'의 사용자 저변을 확대하는 데 힘을 싣는다. 웹 접속 및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새로운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현재 픽셀 2.0 베타서비스도 운영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17일 픽셀 솔루션을 더 많은 산업 영역에서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확대를 계획 중에 있다고 포바이포가 밝혔다. 내년 초, 영상 콘텐츠 제작사, VFX 및 포스트 프로덕션 전문가를 주요 대상으로 한 정식 서비스 론칭을 준비하고 있다.
포바이포의 픽셀은 어떤 화질의 영상이든 클릭 한 번으로 4K 이상 초고화질로 업스케일링하는 딥러닝 AI기반 화질 고도화 솔루션이다. 사람이 직접 처리하는 작업 시간의 약 1,000분의 1에 불과한 처리속도(오프라인 리얼타임: 1분 길이 영상의 처리에 약 1분 미만 소요)와 초고화질 영상을 구현하면서도 데이터 전송량(비트레이트, Bitrate)은 약 50% 줄일 수 있다.
최근 OTT 웨이브(Wavve)에서 제공한 ‘내 이름은 김삼순’ 등 드라마 화질 업스케일링 작업에 활용되며 대중에게도 큰 관심을 모은 픽셀 솔루션은 그 동안 웨이브 사례와 같이 기업 간 계약(B2B)을 통해 특정 회선으로만 오픈 되는 API 형태 등으로 서비스해왔다.
포바이포가 특히 영상 제작 업계에 주목하는 이유는 픽셀 솔루션이 단순히 화질을 개선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기 때문이다. 4K, 8K 등 고화질 영상 콘텐츠의 VFX 및 후반작업 시 처리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여줄 수 있다.
콘텐츠의 해상도가 높아질수록 영상 후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한다. 픽셀은 영상 전문 영역에서 인정받은 뛰어난 업스케일링 성능으로 ‘2K 등 일반 해상도 렌더링 후 (4K 이상)화질 고도화’ 프로세스를 통해 실질적인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에 영상 업계 전문가로 이루어진 베타 테스터, '팀 픽셀(Team Pixell)'도 운영 중이다. 팀 픽셀은 영상제작 프로덕션, VFX 및 포스트 프로덕션 업계 전문가, 프리랜서 등 전문 기술 인력들로 구성됐다.
픽셀 서비스를 활용해 본인이 진행 중인 프로젝트 영상을 업스케일링하고, 초고화질 영상 렌더링 시간을 단축하는 등 실제 서비스를 경험한다. 이후 개선 사항을 점검, 제안하는 것이 주요 역할이다.
선발된 팀 픽셀 멤버들에게는 기업 및 개인 영상 제작 작업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화질 개선 솔루션 서비스 사용 권한을 무제한으로 제공한다. 게다가 각각의 제작 환경에 따른 맞춤형 밀착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양질의 의견 및 개선안을 제시한 참여자에게 향후 정식 론칭 시 할인 혜택 등도 제공할 계획이다
윤준호 포바이포 대표는 “픽셀 솔루션의 독보적인 업스케일링 성능이 VFX 및 포스트 프로덕션의 작업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여줄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며 “업계에서의 실제 활용 사례를 통해 개선 사항들을 더 꼼꼼히 파악하고 반영해 각각의 사용 환경에 최적화된 다양한 솔루션 서비스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펩트론 '루프원' 허가…'스마트데포·GMP' 역량 인정 의미
- 금호석화그룹, R&D 확대로 불황 '정면돌파'
- [KCC 밸류업 잠금해제]지배구조 핵심지표 준수율 86% ‘가시권’
- [KCC 밸류업 잠금해제]국내 최초 '성과 연동 배당제' 도입
- [KCC 밸류업 잠금해제]"ROE 왜곡" 인정, 배당으로 응답
- [저축은행 매물 분석]'관리 모드' HB저축, 영업 대신 대출채권 양수
- [중소 보험사 펀더멘털 점검]푸본현대생명, 미미한 CSM 상각
- [Sanction Radar]기업은행 임직원 가족 DB 등록 시작, 실효성은
- [저축은행 6·27 규제 영향 점검]중금리대출 강자 SBI저축도 여신자산 축소 '불가피'
- [저축은행의 온투업 동행]생존 벼랑 끝 온투업, 제도권 자금으로 숨통 트이나
윤진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부활 신호탄 쏜 유니클로]글로벌 표준화에 로컬 감성 더한 '유니클로 2.0' 시동
- [마이리얼트립 IPO]느긋한 IPO 준비? FI 계약 조건에서 찾은 단서
- [애경그룹 리밸런싱]애경그룹 구조조정에 'AK플라자' 조달 전략 선회
- [부활 신호탄 쏜 유니클로]'1조 탈환' 롯데그룹 내 위상 격상…핵심인사 헤쳐모여
- [부활 신호탄 쏜 유니클로]효율화 대신 확장 '드라이브'…하반기 10곳 출점 목표
- [thebell note]'고용의 외곽'에 선 개척자들
- [무신사 해외진출 전략]'K-패션 확장의 전제' 물류, 현지 연합으로 풀어낼까
- '전략실 개편' 삼양라운드스퀘어, 아워홈서 인력 수혈
- [마이리얼트립 IPO]M&A 택한 경쟁사들과 '다른 길'…1호 상장 거머쥘까
- [무신사 해외 진출 전략]글로벌 교두보 일본, 다음은 중국…국가별 차등 공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