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바이오 재편]인적분할에 담긴 과세 고민, '적격분할 요건' 주목일정 요건 충족해야 이연 적용…"회계법인 통해 검토"
이지은 기자공개 2025-05-22 18:36:40
이 기사는 2025년 05월 22일 18시2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단순·인적분할 방식으로 중간지주사인 삼성에피스홀딩스 설립에 나선다. 바이오 사업부문을 지주사 체제로 재구조화 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가운데, 분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세무 이슈가 주목을 받고 있다.22일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자회사 관리 및 신규 투자를 맡아 온 사업 부문을 분할해 '삼성에피스홀딩스'를 설립하고 향후 바이오시밀러 기업인 삼성바이오에피스를 완전 자회사로 편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기존 주주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주식과 삼성에피스홀딩스 주식을 0.65 대 0.35 비율로 교부받는다. 신설되는 삼성에피스홀딩스는 순수 지주회사가 된다. 업계에 따르면 금번 인적분할은 NH투자증권이 주관사를 맡아 진행한 것으로 파악된다.

인적분할을 할 경우 △분할법인 △분할신설법인 △분할법인의 주주 △분할신설법인의 주주와 관련한 과세문제가 발생한다. 가령 분할법인(삼성바이오로직스)은 이전 자산의 양도가액과 장부가액의 차액에 대해 법인세를 부담해야 하고 분할신설법인(삼성에피스홀딩스)은 이전 받은 자산의 시가와 양도가액의 차액에 대해 법인세를 부담해야 한다.
그러나 세법 제46조에서 규정하는 '적격분할 요건'을 충족하면 과세특례를 받을 수 있다.
△사업목적성(분할 당시 5년 이상 사업을 계속하던 법인이 분할하고 분할하는 사업부문의 자산과 부채를 포괄 승계할 것) △지분의 연속성(분할로 발생하는 신주를 기존 주주들이 같은 비율로 교부받고 분할등기 사업연도 종료까지 주식을 보유할 것) △사업의 계속성(분할 후 승계받은 사업을 법정기간 동안 계속할 것) △고용의 계속성(분할되는 사업부문 근로자의 80% 이상 고용을 승계할 것) 등이 세법상 기재돼 있다.
적격인적분할의 경우 장부가액승계방식에 의해 과세이연이 이뤄지게 된다. 분할법인의 장부가액을 분할신설법인의 취득가액으로 그대로 승계하면서 분할 시점이 아닌 분할신설법인이 양도받은 사업부문의 자산을 처분할 때 세금이 부과된다.
물적분할은 사업부문 등 자산을 양도하고 신설법인의 주식을 분할법인이 취득하게 되는데 이때 취득한 주식은 양도한 자산의 시가로 잡아야 하는 탓에 양도차익이 발생한다. 다만 물적분할 또한 적격분할 요건을 충족한다면 양도차익 만큼의 금액을 압축기장충당금으로 손금에 산입해 과세를 이연할 수 있도록 돼 있다는 설명이다.
의제배당 또한 고려할 사항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주주로서 삼성에피스홀딩스 주식을 받게되는 주주들은 분할등기일이 속하는 과세기간에 의제배당소득에 대한 과세가 이뤄질 수 있다. 받은 주식의 시가에서 기존 주식의 장부가액을 뺀 의제배당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한다. 다만 이 또한 적격분할에 해당할 경우 교부받은 삼성에피스홀딩스 주식의 시가를 기존 주식의 장부가액으로 인정해주기 때문에 의제배당으로 과세되지 않는다.
한 세무업계 관계자는 "세법에서 정하고 있는 적격분할 요건을 충족하면 세금 부담이 크지 않은데 만약 비적격이라면 세금이 상당히 부과된다"며 "이에 따라 인적분할이나 물적분할을 앞두고 있는 기업들은 일단 적격 요건을 맞춰야 세금 유출을 막기 때문에 회계법인 등을 통해 적격 요건을 사전에 검토해가며 분할을 신중하게 추진한다"고 말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금번 인적분할 결단에 대해 단순히 바이오의약품 위탁 개발·생산(CDMO) 사업과 바이오시밀러(복제약) 사업을 분리하기 위함이라고 강조했다. 일부 증권사 리서치센터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인적분할을 한 이후 주주인 삼성물산과 삼성전자가 보유하고 있던 지분을 삼성에피스홀딩스에 현물출자할 가능성이 적지않다고 의견을 내기도 했지만 사업적 목적이 큰 것으로 시장에선 이해하는 모양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로완 슈퍼브레인, 치매신약 '레켐비'와 연구…첫 병용사례
- 브릿지바이오 경영권 미국 PE로, 암호화폐 사업 피보팅
- [R&D 새 판 짜는 티움바이오]3년 내 3건 본임상 목표, SK플라즈마 변신에 쏠리는 눈
- [제약바이오 현장 in]HLB제넥스 '지에프퍼멘텍' 활용법 "미래동력은 신약"
- [thebell note]바이오 시장에 남은 코로나 흔적
- [지투지바이오 특허전략]"글로벌 '에버그리닝' 집중 분석, 다케다 통해 얻은 교훈"
- [thebell interview]에이아이트릭스, 바이탈케어 외부검증 의미 "범용성 확인"
- 아보메드 '윌슨병' 치료제 15억 규모 국책과제 선정
- 디앤디파마텍, DD01 '후기임상' 파트너 필요 "연내 목표"
- [삼성전기는 지금]새로운 캐시카우 'FC-BGA', AI 가속기용 수주 관건
이지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NH증권, LA서 역이민 수요 확인…계좌 개설 성과
- 중동 갈등 고조에 방산·원유 ETF 수익률 '훨훨'
- DB운용, 5000억 대체투자 블라인드 펀드 조성 검토
- 코리아에셋 '피규어AI' 펀딩 나선다…NH증권 모집 불발
- 한화증권, 기관전용 부동산 PEF 조성 검토 나섰다
- NH증권의 해외주식 플랫폼 강화 묘수 '파트너십'
- [Market Watch]공모 BW 찍는 엘앤에프…2차전지 전망에 갈리는 투심
- ELS 추가 출시 나선 메리츠증권, 청약 초반 50억 몰렸다
- 삼성증권 '프라이빗 딜소싱팀' 해체…VVIP 상품 향방은
- [Tax 라운지]사모운용사 세무조사 확대 주춤?…MBK 조사 '가늠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