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B' 하플사이언스, 450억 밸류 책정 골관절염 신약 후보물질, 연내 미 FDA IND 신청 계획
서은내 기자공개 2021-01-22 07:41:36
이 기사는 2021년 01월 21일 07:29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하플사이언스가 시리즈B 펀딩에서 450억원의 밸류에이션을 인정받았다. 설립 후 반년 만에 100억원 규모 시리즈A 펀딩을 받은 지 1년 반 만의 자금 조달이다. 투자 전 기준 A 라운드 때와 비교하면 투자 가치가 약 4배로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20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하플사이언스는 최근 약 230억원의 시리즈B 투자 유치를 완료했다. 시리즈A에 참여했던 DSC인베스트먼트, 컴퍼니케이 등을 포함해 중소기업은행, 스틱벤처, 라이프코어파트너스, 메가인베스트먼트, 알바트로스인베스트먼트 등이 참여했다.
하플사이언스 시리즈B 라운드 투자유치는 지난 8월부터 나눠 진행됐다. 이 과정에서 투자 전 약 450억원의 밸류에이션이 책정된 것으로 파악됐다. 한 주당 신주발행금액은 4만3400원이며 이번 조달 자금 규모(230억원)을 감안하면 투자 후 기업가치는 약 700억원 수준으로 추산된다.
하플사이언스는 최학배 전 한국콜마 대표가 서울대 약대 동문인 김대경 중앙대 약대 교수와 함께 2018년 말 창업한 회사다. 최학배 김대경 두 공동대표가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설립 후 7개월 만에 시리즈A로 약 100억원의 자금을 조달한 바 있다.
하플사이언스는 노화를 질병으로 인식해 치료한다는 개념으로 '인류 삶의 패턴을 바꾸는데 기여한다'는 목표 아래 항노화 신약을 개발 중이다. 골관절염(OA), 만성폐쇄성 호흡기질환(COPD), 피부노화(Skin aging), 탈모에 대해 ‘HAPLN1(Hyaluronan And Proteoglycan Link Protein)’을 이용한 치료제 개발을 진행 중이다.
HAPLN1은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구성성분 중 하나인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과 아그리칸(aggregan)을 연결해주는 단백질로 결합조직의 기능을 정상화함으로써 질병을 치료하는 콘셉트이다.
현재 개발 과제 중 가장 앞선 파이프라인은 골관절염 치료제 후보물질 ‘HS-101’이다. 올해 말 미국 FDA에 임상시험계획(IND)을 신청할 계획이다. 이번에 투자받은 자금은 골관절염과 만성폐쇄성 호흡기질환 치료제 후보물질의 비임상, 임상시험계획(IND), 초기임상 진입까지 사용할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위지윅스튜디오, 사상 첫 '1000억 매출' 고지
- 브이티지엠피, 코스메틱 사업 선전 '독야청청'
- '150억 조달' 시노펙스, 투석기 등 신사업 속도낸다
- 엔지스테크, 전기차에 내비게이션 솔루션 탑재
- 미래에셋운용, 역삼 라온시큐어 본사 '우신빌딩' 매각 추진
- 계룡건설, 재무라인 세대교체…안석준 상무 선임
- 에비슨영·BNK운용, 영국 휴게소 8000억 우협선정
- 현대건설, 신규 사외이사 키워드 '분리선출·여성·로봇'
- [Company Watch]잇따른 대규모 투자 SK하이닉스, 믿는 구석은
- [코스닥 주총 돋보기]강임수 예스티 사장, 이사회 진입 임박 '영향력 확대'
서은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제약바이오 리더십 해부]잦은 C-레벨 교체, 밸류에이션에 긍정적일까
- [제약바이오 리더십 해부]M&A·분할·지분투자 자유자재…'확장형' 기업가들
- 서정진의 은퇴는 아직 멀었다
- 제넥신, 'GX-I7' 지역별 권리배분 전략 눈길
- 셀트리온, 렉키로나 약물경제성 높이기 고심
- [제약바이오 리더십 해부]창업 2세, 신약개발 조력자로…가업승계도 주목
- [Company Watch]메드팩토, 매출 0원 지속…벡토서팁 L/O 관건
- ‘면역항암제' 메디맵바이오, 180억 시리즈A 펀딩 완료
- [제약바이오 리더십 해부]'지분 크기=경영권 안정화' 공식 탈피한 리더들
- [제약바이오 리더십 해부]동국제약·삼천당제약·HLB…지분율 유지에 '방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