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민영화]예보의 여유, 물량 축소 매도 이유 '더 비싸게 팔겠다'6번째 가격 입찰자 포함 시 예정 물량 오버에 '컷'…주가 오름세 고려
김현정 기자공개 2021-11-23 07:55:14
이 기사는 2021년 11월 22일 16:32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우리금융지주 지분 매각전에서 예금보험공사가 당초 계획보다 적은 물량을 팔았다. 총 5곳의 투자자들이 낙찰자로 선정된 가운데 6번째로 높은 가격을 쓴 입찰자까지 포함시키면 계획했던 매도 물량(10%)보다 많아져서 9.3%를 적정수량으로 끊어냈다는 후문이다.주가 '업사이드'가 예상되는 만큼 남은 물량은 향후 더 높은 가격에 처분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예보의 여유가 엿보인 '딜'이 됐다.

이번 낙찰자 선정에 앞서 시장에서는 예보가 기존 계획보다 더 많은 물량을 처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인수전을 진행하면서 생각보다 많은 시장 수요가 확인됐기 때문이다. 공자위와 예보는 당초 10% 총매각물량으로 밝혔는데 여기에 '+α' 지분을 매각할 가능성이 지속 제기돼왔다.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실제 매각 물량은 오히려 그보다 적은 9.3%였다. 가격 순으로 입찰자들을 나열했을 때 '6번째'로 높은 가격을 써낸 입찰자까지 포함시키면 매도물량이 많아져 5번째에서 마지막 입찰자를 끊어내면서 비롯된 결과로 전해졌다. 6번째 입찰자는 인수 희망물량 4%를 써냈다는 후문이다.
예보 지분 매각 관계자는 “후보자들 모두 금융지주회사법상 국내 금융산업의 바람직한 발전방향이라는 원칙에 어긋나지 않기 때문에 ‘가격요소’를 중점적으로 심사했다”며 “가격 순으로 세웠을 때 6번째 입찰자가 많은 물량을 써냈기 때문에 해당 투자자까지 포함하게 되면 지분이 물량이 많아져서 총 5개 신규 주주로 마감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거래 결과를 보면 과거 매각 때와 달리 예보에 ‘여유’가 엿보인다. 원금회수 주가가 1만2056원인만큼 사실상 6번째 입찰자를 포함시켜도 공적자금 회수에는 무리가 없다. 회수가액으로 추산해봤을 때 이번 낙찰자들의 평균 낙찰가액은 1만3258원이다. 6번째 낙찰자가 9261원만 써냈어도 이번 지분 매각으로 손익분기를 맞추는 데는 무리가 없다.
예보는 지금 ‘많이’ 팔기보다 추후 더 ‘비싸게’ 팔기를 택한 셈이다. 이제 회수율이 96.6%에 이른 만큼 민영화 3대 원칙 가운데 ‘빠른 민영화’보다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에 보다 초점을 맞추기에 이르렀다는 평이다. 공적자금 회수 시 금융지주회사법 상 민영화 3대 원칙은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빠른 민영화 △국내 금융산업의 바람직한 발전방향 등이다.
같은 관계자는 “예보가 지분 매각한다는 계획을 발표하고 나서 최근 석달간 우리지주 주가가 많이 올랐다”며 “향후 잔여지분 5.8%를 처분할 때는 사실상 완전민영화이기 때문에 더 오를 여력이 있다고 보는데 굳이 지금 가격에 지분 대부분을 팔아버릴 이유는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현대캐피탈, 리스 영업 확대 지속…할부금융 ‘주춤’
- 미래에셋생명, 4년만에 채권 재분류…2조 규모 만기 보유로
- 증시침체에 울었다...교보증권, 영업이익 '반토막'
- [산은 구조조정 포트폴리오 점검]'출구 막힌' 대우조선 매각 작업, 남은 시나리오는
- [60년 산림조합의 변신]고정금리 대출 증가가 가져 온 두가지 효과
- KB, 부코핀은행 인적자원 수혈…IT 고도화 총력
- ABL생명, 가입고객 대상 'ABL치매케어서비스'
- [여전사경영분석]M캐피탈, 기업금융 영업 속도 조절…내실 경영 집중
- 토스뱅크, CSO로 OTT 전문가 김지웅 리더 영입
- [산은 구조조정 포트폴리오 점검]‘빅딜’의 그늘…퇴로가 없다
김현정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우리금융 '실행적' ESG, 캄보디아 산림 훼손 막는다
- 금감원, 우리은행 DLF 2심 패소에도 상고 결정한 까닭
- [Deal Story]신한은행, 인천시금고 선정 비결…차세대 시스템 '해결사'
- 이번엔 서울 구금고 유치전, 너도나도 '확대 의지'
- 1000조 국민연금 '주거래' 잡아라…6대 은행 '촉각'
- ‘이변은 없었다’...신한은행 인천시금고 수성
- 시중은행 인천시금고 입찰, '집중과 선택' 보인다
- 서울보증보험 IPO 추진을 둘러싼 금융위의 우려
- KB금융, 그룹 통합 소매신용평가모델 업그레이드
- [케이뱅크를 움직이는 사람들]30년 경력 베테랑 뱅커, 살림꾼 이풍우 CF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