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2년 01월 03일 07:52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변화를 좇지 못하면 기회조차 없을 것이다." 최근 만난 한 대형 벤처캐피탈 대표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2년만에 기술이 광폭 발전해 생활, 세대 모두 10년이 훌쩍 지났버렸다고 반추했다. 투자자도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는 전략인 피보팅이 필요하다는 의미다.사회도 사람처럼 기억력이 작동한다. 이번 교훈으로 융복합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 패러다임에 가속도까지 붙었다.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하지 않으면 자본 증식의 기회조차 잡을 수 없는 시대가 오고 있다.
이미 변화의 속도에 발 빠르게 대응하는 기업이 있다. 메타버스를 활용해서다. 국내에 아예 사무실조차 없는 기업도 생겨났다. 흥미로운 것은 실물 '부동산'을 다루는 프롭테크 기업인 직방이 가장 먼저 가상 사무실 ‘메타폴리스’로 출근하는 시도를 했다. 가상 사무실과 병용하는 스타트업, 운용사, 대기업만 100여곳에 달한다.
올해부터 제도적 변화가 생겼다. 기업의 CVC운영이 한층 탄력을 받았다. 지주회사의 기업형 벤처캐피탈(CVC) 보유가 허용됐기 때문이다. GS, LG, SK, 현대중공업 등 10여곳이 출범을 예고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주도형 CVC의 시간은 아직 과거에 머물러있다. 기업 내에서 트렌드를 가장 선도해야 하는 임무를 띠고 있지만 여전히 혁신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투자 프로세스로 운영되고 있다.
스타트업 신(Scene)에서는 기대보다 우려의 목소리가 컸다. 이미 대기업의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경험해본 스타트업들은 CVC의 자금 집행 속도가 느리고 하도급, 외주 관행에 머물러있다고 지적했다. 또 투자 부서와 현업 부서 간 유기적 협력이 이뤄지지 않는 경우가 다반사다.
기술 탈취에 대한 우려도 컸다. 투자 유치를 위해 기술 사항을 잠재적 투자자에게 공개해야 하는데, CVC는 스타트업의 기술을 학습하고자 하는 전략적 동기가 강하기 때문이다. CVC와 스타트업이 연결고리는 있지만 시너지 창출을 위한 상호 조정은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CVC도 피보팅이 필요하다. 외부 요인인 제도는 마련됐다. CVC 설립의 자율성, 펀드의 외부자금 비중 확대 등이 이뤄졌다. 스타트업의 지적재산권 보호를 위해 '비밀유지 계약' 체결 제도도 보완됐다.
구글을 비롯한 성장한 글로벌 CVC의 특징은 조직의 민첩함, 효율성 핵심이다. 국내 CVC도 국내외 벤처투자 공간에서 경쟁력 있는 자본으로서 '기회'를 얻기 위해선 '변화'가 필연적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콘텐츠 유통 서비스' 패스트뷰, 100억 자금 유치
- 스마일게이트인베, 초기기업 투자펀드 결성 지원 '박차'
- 메타버스 겨냥하는 크릿벤처스, 300억 펀드 '출항'
- 우본, 코인베펀드 운용사 선정 돌입…비독립계 PE 경쟁 치열
- 국민연금, 올 국내 사모대체 출자액 3조 넘긴다
- "투자자 끼 분출, 큰장 선다" 강방천의 빅픽쳐
- 신한운용 아픈 유산 전주페이퍼, 효자로 거듭날까
- 통합 신한운용, 대표이사 인사권 대폭 강화
- 유진운용, 계열 자금 50억 OCIO펀드로 굴린다
- [키움인베스트먼트를 움직이는 사람들]기술 분석 강점인 전천후 바이오 심사역 강민수 이사
이종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LB인베스트먼트 Road to IPO]7개 유니콘 라인업, 역대급 엑시트 예고
- [LB인베스트먼트 Road to IPO]'S급 성적표' 성과보수 9년 연속, 유니콘 퀀텀 성장 파트너
- [LB인베스트먼트 Road to IPO]벤처투자 명가, 톱티어 VC 기틀 다진다
- 청담글로벌, IPO 성공 자신감 원천은 '실적'
- '치열한 접전' 산재보험기금 출자사업, 21곳 몰렸다
- [VC 투자기업]프롭테크 집토스, 임대주택 DB로 승부수 띄운다
- 유니온투자파트너스, 바이오·헬스케어 초기 투자 강화한다
- '바이오 모범생' 출현이 절실한 이유
- 쿼드벤처스, 김주희 이사 영입…AI·빅데이터 전문성 강화
- '코스닥 노크' 캡스톤파트너스, 주관사 'NH투자증권' 낙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