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PE-큐캐피탈, '스타콜라보' 2년만 자금 회수 IRR 10% 달성, 기업구조혁신펀드 첫 회수 성과
임효정 기자공개 2022-01-27 09:48:01
이 기사는 2022년 01월 26일 10:34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우리프라이빗에쿼티(우리PE)와 큐캐피탈파트너스(큐캐피탈)가 스타콜라보를 두 자릿수 내부수익률(IRR)로 엑시트하는 데 성공했다. 2019년 기업구조혁신펀드를 결성해 투자한 첫 포트폴리오 기업으로 2년 만에 회수 성과를 이뤄냈다.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우리PE와 큐캐피탈은 이날 다산네트웍스에 스타콜라보 주식을 매각하는 주식양수도계약(SPA)을 체결한다. 매매 주식수는 60만8502주이며, 거래대금은 180억1308만원이다.
우리PE와 큐캐피탈이 스타콜라보에 투자한 시점은 2019년 말이다. 그 해 6월 한국성장금융의 1차년도 기업구조혁신 블라인드펀드 위탁운용사로 선정돼 1500억원 규모로 펀드를 결성했다. 스타콜라보는 당시 결성한 '우리-큐 기업재무안정 사모투자 합자회사'를 통해 담은 첫 포트폴리오였다.
당시 투자 금액은 150억원이다. 2년 만에 180억원을 회수하며 IRR 10%를 기록했다. 구조조정 펀드로 높은 수익률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하면 성공적인 엑시트를 이룬 셈이다.
스타콜라보는 2014년 스타와 중소기업을 매칭하는 스타매칭플랫폼 협력 사업으로 시작됐다. 자체 의류브랜드 개발과 타사 라이센싱 상품 판매·유통을 겸하며 사업을 해왔다. 하지만 재무상황이 악화됐고 2018년 수원지방법원에 회생절차를 신청했다.
이듬해 우리PE와 큐캐피탈은 전략적투자자인 다산네트웍스와 함께 스타콜라보에 투자를 단행했다. 채무변제를 통해 스타콜라보는 회생절차를 조기 종료하고 턴어라운드에 성공했다.
당시 다산네트웍스는 100% 자회사였던 에이블을 통해 투자했다. 에이블은 2020년 스타콜라보를 흡수합병했고, 존속법인의 상호를 스타콜라보로 변경했다. 2020년 말 기준 최대주주인 다산네트웍스가 보유한 지분율은 52.26%다. 재무적투자자로부터 주식을 매입하면 지분율은 95.24%로 오른다.
우리-큐 기업재무안정 사모투자 합자회사의 재원은 아직 소진되지 않은 상태다. 1550억원 규모 가운데 200억원 가량 재원이 남았다. 투자가 마무리되지 않았지만 펀드를 결성한지 3년이 안 된 시점에 엑시트 사례를 만들며 트랙레코드를 추가할 수 있게 됐다. 현재까지 해당 펀드를 통해 투자한 포트폴리오는 총 5개다. 스타콜라보 이외에 놀이의발견, 티엔에프글로벌, 두산건설, 로지스팟 등이 포함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모태펀드 '메타버스' 계정 출자사업 '정시→수시' 전환
- [thebell interview]김명환 BNH인베 대표 "고수익 유혹 경계로 리스크 최소화"
- [P2P 패자부활전]벼랑 끝 생존 47개사, 잠재 리스크 '여전'
- 밸류시스템운용 최대 실적, 본업 성과 돋보였다
- 아샘운용, 베트남+코벤 성과보수 실적 ‘쌍끌이’
- [LDI 규모의 경쟁 개막]생보사 뭉칫돈 들어온다…몸집 불리는 운용사들
- 수탁고 확대 나선 한앤파트너스, 일임 투자 진출
- 은행 직수탁 난항 부동산펀드, PBS ‘틈새공략’
- 신한아이타스, 예탁원 사무관리 인력 영입 추진
- [VC 투자기업]SV인베스트, 투자 7년만 엑시트 '듀링' 성적표는
임효정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카카오헤어샵' 와이어트, 매각 공식화…주관사에 EY한영
- 신엽 ERM 파트너 "반세기 업력, 국내 M&A서 입지 다진다"
- [Key of PMI] 김태원 화성코스메틱 대표"'볼트온 속도내 성장 모멘텀 확보"
- 앵커PE 컨소시엄, '기대와 아쉬움' JB금융 지분 1% 남겼다
- EY한영, '전략재무자문본부' 8명 파트너 승진한다
- 국민연금, 올 국내 사모대체 출자액 3조 넘긴다
- '7년 공들였는데' 앵커PE, 아쉬움 남는 'JB금융' 엑시트
- 딜로이트안진, 대기업 M&A자문 힘 싣는다
- VIG파트너스, 5년전 인수한 '오토플러스' 판다
- 어펄마캐피탈, 크레딧펀드에 하우스 색채 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