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시스 인수' 베인캐피탈, 멀티플 20배 베팅 EV 1조 가량 책정, 거래 발표 후 '주가 하락'
김경태 기자공개 2022-01-28 08:14:17
이 기사는 2022년 01월 27일 15:57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글로벌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인 베인캐피탈(Bain Capital)이 클래시스 기업가치(EV)를 약 1조원으로 산정해 지분 인수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거래 밸류에이션(EV/EBITDA)은 클래시스가 최근 거둔 상각전 영업이익(EBITDA)의 20배 안팎으로 추산된다. 베인캐피탈이 휴젤 인수 때처럼 고가 베팅에 나섰다는 평가가 나온다.27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베인캐피탈은 이날 오전 2시 클래시스 최대주주인 정성재 대표와 특수관계인이 보유한 주식 중 약 3941만주(60.84%)를 인수하는 주식매매계약(SPA)를 맺었다. 거래금액은 6699억원이다.
1주당 거래 금액은 1만7000원이다. 클래시스 발행주식 총수(6470만9168주)에 대입하면 지분가치(Equity Value)는 1조1000억원으로 집계된다.
클래시스의 보유 현금성자산과 차입금을 고려한 EV는 1조원 수준이다. 클래시스는 2017년까지는 현금보다 차입금이 더 많은 순차입금 상태였다. 다만 이듬해 말부터는 순현금 상태가 유지됐고 그 규모도 늘었다. 작년 9월말에는 685억원을 기록했다. 이를 고려한 클래시스의 EV는 1조305억원 가량이다.

클래시스는 최근 수년간 호실적을 이어왔다. 현금창출력을 나타내는 EBITDA는 증가세에 있었다. 작년 3분기 누적 연결 매출은 753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35.4% 늘었다. 영업이익은 403억원으로 27.2% 증가했다. EBITDA는 421억원으로 2020년 연간 EBITDA(427억원)에 육박했다.
2020년 EBITDA를 대입하면 에비타 멀티플 배수(EV/EBITDA)는 24배에 달한다. 다만 작년 EBITDA를 기준으로 하면 배수가 낮아진다. 지난해 3분기까지의 EBITDA를 단순히 3으로 나누면 한 분기 당 평균 140억원이다. 이를 더해 지난해 연간 EBITDA가 560억원이라 가정하면 멀티플 배수는 18배 수준이다.
일반적으로 인수합병(M&A)에서 멀티플 배수 10배 수준으로 거래가 이뤄진다. 다만 고밸류에이션이 책정되는 산업이 있다. 대표적으로 제약·바이오산업의 경우, 미래 성장 가능성을 이유로 높은 멀티플 배수가 형성된다.
실제 베인캐피탈은 국내에서 유사업종 기업에 투자할 때 고가에 인수한 바 있다. 2017년 휴젤을 인수할 때 2016년 EBITDA를 적용한 멀티플 배수는 22배 수준으로 평가됐다. 그 후 작년 GS그룹, IMM인베스트먼트, 중동 국부펀드 무바달라인베스트먼트 컨소시엄에 휴젤을 매각할 때는 2020년 EBITDA 적용시 30배가 넘는 멀티플이 적용됐다.
클래시스는 코스닥 상장사다. 베인캐피탈이 인수하는 주당 금액은 최근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보다 높기는 하지만 큰 격차는 아니다. 이번 1주당 거래금액 1만7000원은 클래시스의 26일 종가 1만5950원보다 6.6% 높다.
다만 이날 베인캐피탈의 클래시스 지분 인수 소식이 알려진 뒤 주가는 오히려 하락했다. 이날 종가는 1만5100원이다. 베인캐피탈이 인수한 1주당 금액은 이날 종가보다 13% 높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딜
-
- 더네이처홀딩스, 워터스포츠 브랜드 '배럴' 경영권 인수
- 노벨티노빌리티, 시리즈B 341억 조달
- [Korean Paper]한국도로공사, 5억달러 글로벌본드 발행 성공
- [Korean Paper]수출입은행, 국내 증권사 2곳 선정한 까닭은
- [IPO 모니터]넥스트칩, 8월초 상장 목표…밸류 최대 2500억
- 임동수 CBRE 대표 "전 분야 No.1 목표, 압도적 위상 이어간다"
- 명불허전 CBRE코리아, 연매출 1000억 고지 점령
- '끈끈한' KG·캑터스 인연, 쌍용차 딜 완주 가능성 높이나
- 인내의 에이블씨엔씨, 1분기 흑자전환…반등 시동거나
- 케이스톤파트너스, AI 기반 솔루션 개발사 '클라리파이' 투자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명불허전 CBRE코리아, 연매출 1000억 고지 점령
- '빅스텝 충격' 미래에셋그룹, IFC 에퀴티 셀다운 가능할까
- 미래에셋그룹의 IFC 인수 풀베팅 '이행보증금·2조 LOC'
- 한국계 프랑스 장관이 세운 '코렐리아캐피탈', 국내 상륙 본격화
- 큐로CC 매각, 대광건영 우선매수권 득실은
- 아워홈 매각 티저에 담긴 '기업가치 고평가' 의지
- 아워홈 주주 현황, '감사보고서·매각 티저' 왜 다를까
- "실사 못할 수 있다" 아워홈 매각 티저에 담긴 고백
- 야심찬 '한국 재진출' 블랙스톤, 알쏭달쏭 법인 활용법
- 깐깐한 KKR, 인천 물류센터 매각 '톱티어 자문사만 접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