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 그 후]브랜드엑스, 새해 첫 자사주 매입…책임경영 지속이수연 대표 73만198주 매수…호재 대비 저평가된 주가 매력 포인트
남준우 기자공개 2022-01-28 16:13:48
이 기사는 2022년 01월 28일 10:44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의 이수연 대표가 코스닥 상장 후 여덟 번째 자사주 매입을 실시했다. 상장 당시 밝힌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노력을 이어가며 책임경영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주력 브랜드인 젝시믹스의 인기 덕분에 2021년 사상 최대 실적 달성이 기대되나 주가는 저평가됐다는 분석이다. 다만 올해도 해외 진출 등 호재가 많은 만큼 주가 상승 모멘텀은 여전히 강하다.
◇이수연 대표, 상장 후 8번째 자사주 매수

이 대표의 이번 자사주 매입은 상장 후 여덟 번째에 해당한다. 작년에도 수 차례에 걸쳐 장내 매수를 시도했다. 이 대표가 작년에 자사주 매입에 들인 자금만 6억원이 넘는다.
이 대표와 더불어 강민준 대표도 2020년 8월 상장을 기점으로 꾸준하게 자사주를 매입하고 있다. 상장 직후 1만1000주를 취득한 데 이어 작년에도 6만5900주를 추가로 확보했다. 상장 후 자사주 매입에 출연한 사재만 약 9억원이 넘는다.
자사주 매입은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이 2020년 8월 상장 당시 밝힌 주주가치 제고 항목 가운데 하나다. 강 대표는 이익이 나면 자사주 매입, 무상증자, 배당 등을 단행해 주주 이익을 극대화하는 한편 '책임경영'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이겠다고 밝혔다.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관계자는 “기업가치와 주주가치를 높여 나가겠다는 의지에서 이번 장내 매수를 진행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책임경영을 위한 활동을 이어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중국 시장 진출 계획…실적 확대 기대
작년부터 본격적으로 수익성이 개선되기 시작하면서 주주 이익 환원에 속도를 내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은 작년 3분기 연결 기준으로 매출 1292억원, 영업이익 96억원을 기록했다. 수익성이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는 중이다.
실적 기대감 덕분에 주가도 우상향세를 기록 중이다.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의 2021년 연간 주가 상승률은 35.76%로 알려졌다. 다만 주가 성승세는 뚜렷하지만 여전히 저평가됐다는 평가다. 27일 종가 기준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의 주가는 주당 8280원이다.
삼성증권 박은경 애널리스트는 "가이던스 기준 2022 예상 PER(주가수익비율)이 7~8배 수준에서 거래되는 현재 주가를 감안하면 4분기 목표 실적 달성시 저평가 매력이 돋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2022년에도 호재가 많은 만큼 성장 가능성은 충분하다.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은 최근 중국 시장 진출을 발표했다. 중국 상하이에 현지 법인을 100% 자회사로 설립할 계획이다. 2019년 10월 일본에 이은 두번째 해외 진출이다.
최근 현금 곳간이 풍부해진 만큼 차입없이 해외에 진출한다. 늦어도 올 상반기 내에 중국 현지 법인 설립을 완료하고 본격적으로 사업 확장에 나설 계획이다.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은 2020년말까지 현금및현금성자산 규모가 92억원이었으나 작년 3분기말 기준 154억원으로 증가했다.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관계자는 "중국 법인은 올 상반기 중 설립될 예정"이라며 "정확한 실적은 아직 집계 전이라 밝힐 수 없지만 내부적인 기대감은 큰 상황"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1분기 흑자전환' CBI, 올 매출액 20% 성장 기대
- SM엔터 행동주의 얼라인, 이번엔 금융주 타깃
- 인선이엔티, 1분기 매출 569억...자회사 효과 '톡톡'
- 신동빈 장남 신유열, 롯데케미칼 '일본지사' 선택 배경은
- 스튜디오산타 M&A, 엠피니티컨소시엄 '우협' 선정
- 더네이처홀딩스, 워터스포츠 브랜드 '배럴' 경영권 인수
- 폴라리스세원, 선행 생산·외주화 효과 덕 웃었다
- 폴라리스오피스, 본업 성장에 힘입어 흑전 달성
- [삼성 모바일AP 도전기]파운드리 '겟올라' 미션…R&D 인력 확보 총력
- 삼성디플, 대형부문 공격적 캐파 확장 어려운 이유
남준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그들만의 리그 여전채 시장]증권사 '천수답' 수요, 부메랑으로 돌아오다
- [그들만의 리그 여전채 시장]고공비행 날개 꺾이자 여기저기 '아우성'
- 브랜드엑스, 안다르와 격차 벌리며 1위 '굳건'
- [IPO 모니터]태림페이퍼, 상장 철회…"향후 재추진"
- [IPO 모니터]에이피알, 작년 매출 절반 달성…프리 IPO 문의 쇄도
- [스팩 발기인 분석]하나금투, 높은 합병성공률 비결 '똘똘 뭉친' 맨파워
- 카카오페이증권, '리테일vs홀세일' 실적 엇갈렸다
- 경남은행, '깐부' 한양증권 덕봤다
- 태림페이퍼, 압도적 경쟁력·IPO로 초격차 기업 꿈꾼다
- 경남은행, 4년만에 신종자본증권 발행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