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건설, 모회사 대표 겸직 택한 이유 '합병' 신용구 한국테크놀로지 사장으로 의사결정권자 통일, 자회사 통합 속도 전망
이정완 기자공개 2022-05-12 07:47:24
이 기사는 2022년 05월 11일 14:06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용구 한국테크놀로지 대표이사가 손자회사인 대우조선해양건설 각자 대표로 선임됐다. 대우조선해양건설 주인이 바뀐 후 모회사 대표이사가 겸직을 하게 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건설업계에서는 이번 인사가 한국테크놀로지의 자회사 흡수합병 본격화를 위한 목적으로 보고 있다.
한국테크놀로지는 2019년 초 사모펀드 운용사 키스톤프라이빗에쿼티(PE)로부터 대우조선해양건설 최대주주인 특수목적법인(SPC) 디에스씨밸류하이1호 지분 50%를 매입했다. 2020년 말에는 스타모빌리티(옛 인터불스)로부터 나머지 지분을 사들였다. 디에스씨밸류하이1호는 2019년 지금의 한국인베스트먼트로 이름을 바꿨다.
한국테크놀로지는 2019년 대우조선해양건설 지분을 매입한 직후 첫 대표이사로 대우건설 출신 서복남 대표를 선임했다. 서 대표는 30여년 동안 토목 분야에서 일하며 토목사업본부장, 외주구매본부장 등을 역임한 바 있다.
이번 인사에서 장세웅 각자 대표를 선임하며 건설 전문가에게 대표를 맡기는 기조는 이어갔으나 모기업 대표의 경영 참여는 이례적이란 점이 눈에 띈다. 2005년 한국테크놀로지에 입사한 신 대표는 2018년 회사 공동 대표로 선임됐다.
대우조선해양건설 대표이사를 겸직하게 된 건 한국테크놀로지와 흡수합병을 원활하게 이끌기 위한 목적으로 풀이된다. 양사는 이미 합병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둔 상태다.
한국테크놀로지는 지난 3월 대우조선해양건설 최대주주인 한국인베스트먼트뱅크를 흡수합병하기로 했다. 한국테크놀로지는 한국인베스트먼트뱅크 지분 100%를 가지고 있어 소규모합병 방식을 택했다. 합병회사가 피합병회사 주주에게 발행하는 신주 총수가 합병회사 총발행주식의 10% 이하일 경우 적용하는 소규모합병은 주주총회를 거치지 않고도 가능하다.
한국테크놀로지는 이달 말 합병 후 다음달 2일 합병 등기를 마칠 예정이다. 대우조선해양건설을 직접 지배하게 되는 한국테크놀로지는 또 한 번 흡수합병을 계획 중이다. 합병 후 한국테크놀로지가 대우조선해양건설 지분 99%를 넘게 보유하게 돼 소규모합병이 가능해진다.
업계 관계자는 “코스닥 상장사인 한국테크놀로지 주주들이 대우조선해양건설과 흡수합병을 원하고 있다”며 “상대적으로 사업 규모가 큰 대우조선해양건설과 하나가 돼 건설 실적이 직접 주가에 반영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국테크놀로지 주주의 기대감에 부응하듯 대우조선해양건설은 외형 확장을 지속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은 3402억원으로 전년 3010억원 대비 13% 증가했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188억원으로 전년 235억원보다 20% 줄었다.
수주 증가세도 두드러진다. 지난해 말 기준 수주 계약잔액은 1조9742억원으로 2020년 말 1조2291억원 대비 61% 늘었다. 2019년 말 8144억원을 기록했던 것을 고려하면 2년 사이 수주잔고가 2배 넘게 증가한 셈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세계로 뻗어가는 포스코의 '기업시민'
- 초록뱀미디어, 가상인간 '루시' 전속 계약 체결
- 삼성전자 파운드리 키울 삼박자 '기술·투자·OSAT'
- 삼성디스플레이, BOE에 반격 시작하나…점유율 70% 회복
- 80조 '차 반도체' 잡아라…삼성 이어 LG도 기웃
- 두나무, 해외 진출 발판으로 '두나무글로벌' 활용한다
- 넷마블, 신규 편입 계열사 키워드 '블록체인·자체 IP'
- 삼성전자, 매출 86%가 해외계열사 거래...구조적 이유는
- [지배구조분석/카카오엔터프라이즈]'3조→2.5조'로 낮아진 기업가치 아쉬움
- 실탄 3000억 손에 쥔 대한전선, 투자금 어디에 쓸까
이정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제주 우리들CC, 매물로 나왔다
- SK디앤디, 태영건설과 지식산업센터 개발 '맞손'
- 키움운용, '3500억' 롯데몰 광명점 인수 마무리
- 엠플러스운용, 안성 죽산물류센터 매각 돌입
- [SK에코플랜트 자회사 대해부]삼강엠앤티, '부유식' 해상풍력 시장 선점 이끈다
- [SK에코플랜트 자회사 대해부]블룸SK퓨얼셀, 연료전지 시장 선도하는 기술력
- [디벨로퍼 열전]루시아홀딩스, 도산대로서 완판 '루시아벨트 꿈 이룬다'
- [SK에코플랜트 자회사 대해부]'기대주' 테스,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의 성장 잠재력
- SK에코플랜트, RCPS 모집 완료…프리IPO 첫 '결실'
- [SK에코플랜트 자회사 대해부]환경시설관리㈜, 영업이익보다 돋보인 '에비타'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