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 모니터]에이피알, 1분기 적자 '한달만에' 다 메웠다한해 광고비 절반 투자, 1분기 영업손실…4월 이후 매출 1000억·흑자전환 성공
남준우 기자공개 2022-05-20 07:20:16
이 기사는 2022년 05월 17일 14:08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글로벌 D2C·미디어커머스 기업 에이피알(APR Corporation)이 1분기 적자를 한달 만에 메웠다.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광고비 등 판관비를 1분기에 집중적으로 쏟아부었지만 안정적인 실적 덕분에 4월 이후 곧바로 안정기에 접어들었다.금융당국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에이피알은 올 1분기 매출 763억원, 영업손실 1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619억원)은 23% 증가했다. 다만 43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적자전환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도 23억원에서 -8억8453만원으로 적자전환했다.

전년 동기간 대비 무려 34%가 성장한 235억원의 분기 매출을 기록했다. 특히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에 따른 주요 도시 봉쇄와 무역 이슈 여파에도 면세점 매출이 전년 동기간 대비 61% 성장했다.
뷰티 솔루션 브랜드 '메디큐브(medicube)'가 새롭게 런칭한 '메디큐브 에이지알(AGE-R)'의 인기도 매섭다. 3월에만 전년 동기간 대비 244% 성장한 82억원의 자사몰 매출을 기록했다. 4월 매출도 190억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대 월간 매출 신기록을 세웠다.
인지도와 판매에 있어 안정권에 들어선 뷰티 디바이스는 미주, 아시아·오세아니아, 유럽 등지에 판매 가능 지역과 제품을 넓히고 있다. 4월 하순 판매를 시작한 일본에서는 초도물량 3000개가 이틀 만에 완판되는 등 10일 만에 7500대가 팔렸다.
영업손실을 기록했지만 하반기 더 큰 그림을 위한 '계획적 손실'의 측면이 강하다.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에이피알이 1분기에 지출한 판관비는 568억원이다. 전년 동기(411억원) 대비 38%나 증가했다. 작년 한해치 판관비(1732억원)의 3분의 1을 썼다.
2022년도 TV광고 연간 집행 계획 금액의 절반이 1분기에 집중적으로 집행됐다. 1분기에 사용된 광고선전비는 267억원으로 작년 1년치 광고비(714억원)의 약 40%에 달하며 직전 분기보다는 약 80억원 증가했다. 메디큐브 에이지알 뷰티 디바이스의 성공적인 시장 안착을 위해 고가 모델로 분류되는 배우 김희선을 선택하는 등 전략적인 판단을 했다.
이외의 비용은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특히 불필요 자산 혹은 수익성이 떨어지는 판매 채널 등을 정리하면서 재무제표상 '기타비용' 항목이 3배 가까이 감소했다. 반면에 기타수익은 7배 가량 증가했다.
관계자에 따르면 에이피알은 4월에 이미 매출 300억원 돌파하며 2분기 매출 목표치였던 1000억원을 일찌감치 달성했다. 동시에 흑자 전환에도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종적으로는 2022년 매출 4700억원 달성이 목표다.
실적 고공행진 속에서 에이피알을 향한 투자사들의 관심도 커지고 있다. 현재 국내외 여러 투자사들이 에이피알의 행보와 실적에 주목하고 있는 가운데 4곳의 투자사는 이미 에이피알 측에 관심을 표명했다.
한 투자사는 ‘백기사’ 역할까지 자처했다. 백기사는 적대적 인수합병(M&A) 시도 등에서 보유 지분을 바탕으로 공격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IPO 전 해외 투자사 한 곳도 투자 질의서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딜
-
- [IPO 그 후]알비더블유, FI발 '오버행' 이슈 끝났다
- [특례상장 주관사 성적표]나노씨엠에스, 안정적 매출...'해외 잭팟'은 불발
- 박용만 회장의 벨스트리트파트너스, 사업확장 본격화하나
- 에코비트, 여수 폐기물 소각업체 '동명테크' 인수
- '조찬희 대표 체제 1년' 존재감 커진 메릴린치
- '예비 유니콘' 그린랩스, 본업 아닌 금융업 진출 노림수는
- 카드 많은 글로벌 PEF, '일진머티리얼즈 M&A' 판 흔드나
- VIG파트너스, 스마트스코어에 1800억 투자
- [IPO 모니터]공모 출격 쏘카, 하반기 첫 조단위 대어 등극하나
- 프리 IPO 하지 않은 쏘카 '신의 한수' 됐다
남준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특례상장 주관사 성적표]나노씨엠에스, 안정적 매출...'해외 잭팟'은 불발
- 직상장 실패 라이콤, 스팩 합병으로 '선회'
- [Rating Watch]SK렌터카, 등급 상향에도 공모채 발행 '쉽지않네'
- 하나금투, 470억 대형 스팩 만든다
- [Rating Watch]'A급 강등' 강릉에코파워, 조달비용 상승 '가시화'
- [IPO 그 후]브랜드엑스 이수연 대표, 꾸준한 자사주 매입 '책임경영'
- [2022 정기 신용평가]'명암' 뚜렷한 신용카드사, 핵심은 '이자비용 관리'
- [특례상장 주관사 성적표]소부장기업 샘씨엔에스, '성장 로드맵' 적중했다
- [스팩 발기인 분석]키움증권, '한투 출신' IPO 핵심인력 총투입
- [IPO 모니터]세븐브로이, 원활한 '현금흐름' 수월한 몸짓 불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