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2년 05월 18일 07:58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최근 부동산 운용사 관계자와 투자 전략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다. 연일 최고가를 경신하는 서울 지역 오피스와 코로나19의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으로 회복 징조가 보이는 리테일·호텔 자산에 대한 얘기를 하던 중 문득 올해 초 다수의 물류센터를 직접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들은 기억이 났다.물류센터 개발은 어떻게 되고 있는지 묻자 "사업성이 안 나와서 착공을 미뤘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갑작스러운 전략 변화에 새삼 놀랐다. 전세계적인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1년 전에 비해 공사비가 1.5~2배 가량 증가한 탓이다. 핵심 자재인 철근 가격은 지난해 대비 50% 넘게 올랐다.
개발 지연은 비단 이 운용사만의 일이 아니다. 신규 착공에 나서지 않는 분위기가 업계 전반으로 퍼져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타격이 더욱 컸다. 물류센터를 전문으로 짓는 건설사 관계자는 "공사 자체가 줄어 예전보다 자재 구매량도 줄었다"며 "규모의 경제 효과를 누리기 어려워져 더 비싼 값에 자재를 매입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물류센터 투자 시장은 코로나19를 계기로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팬데믹으로 인해 이커머스 거래 규모가 늘자 이를 지원하기 위한 물류센터의 매력이 높아졌다. 물류센터를 원하는 투자자는 많은데 공급이 적다 보니 2020년대 들어 직접 개발에 나서는 운용사가 늘었다. 선제적인 자산 확보 수단으로 주목을 받았다.
문제는 공사가 주춤해진 지금이다. 비대면 소비가 일상으로 자리 잡은 상황에서 물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데 개발비 부담으로 인해 올해 공급이 기존 예상치에 못 미칠 것이란 우려 섞인 예측이 나온다.
수요가 공급보다 많으면 곧 가격이 상승한다. 지금도 치열한 매입 경쟁 탓에 물류센터 가격이 크게 올라 기대수익률이 과거와 비교해 낮아진 상태다. 코로나19 전이던 2019년 6% 수준이던 물류센터 캡레이트(Cap Rate)는 올해 들어 3%대까지 하락하기도 했다.
결국 투자 포트폴리오에 물류센터를 담아야 하는 운용사 입장에선 미래의 가격 상승이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짓느냐, 마느냐. 이래저래 물류센터 개발을 바라보는 부동산 운용사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피플&오피니언
-
- IPO '고밸류 시대'의 종언
- 토스뱅크엔 은행원이 없다
- [2022 VC Forum]벤처투자 냉각 위기, '중간 회수시장' 활성화 정책 필요
- [2022 VC Forum]"VC 시장 활성화 세컨더리펀드·민간투자 확대 필요"
- [2022 VC Forum]"정책지원 필요 중점 분야 선별, 모태펀드 역할 확대"
- [2022 VC Forum]"창업부터 사업화까지 완결형 패키지 정책 구축할 것"
- [2022 VC Forum]윤석열 정부 출범, 벤처투자 정책 방향은
- 대기업 '갑질'에도 눈치보는 PEF
- '스타 CFO' 출현을 기다리며
- [IB 프로파일]'섬세한 IPO 전략가' 최신호 한국증권 본부장
이정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제주 우리들CC, 매물로 나왔다
- SK디앤디, 태영건설과 지식산업센터 개발 '맞손'
- 키움운용, '3500억' 롯데몰 광명점 인수 마무리
- 엠플러스운용, 안성 죽산물류센터 매각 돌입
- [SK에코플랜트 자회사 대해부]삼강엠앤티, '부유식' 해상풍력 시장 선점 이끈다
- [SK에코플랜트 자회사 대해부]블룸SK퓨얼셀, 연료전지 시장 선도하는 기술력
- [디벨로퍼 열전]루시아홀딩스, 도산대로서 완판 '루시아벨트 꿈 이룬다'
- [SK에코플랜트 자회사 대해부]'기대주' 테스,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의 성장 잠재력
- SK에코플랜트, RCPS 모집 완료…프리IPO 첫 '결실'
- [SK에코플랜트 자회사 대해부]환경시설관리㈜, 영업이익보다 돋보인 '에비타'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