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시간에 투자할 시기…美 기술주 주목" 이영환 대신증권 청담센터장 "금리 사이클 인식이 먼저"
이돈섭 기자공개 2022-05-24 08:19:37
대신증권 청담WM센터는 1조원 규모의 고객자금을 굴리고 있다. 자산 규모 100억원 안팎 자산가들이 센터를 찾고 있다. 이 곳을 이끌고 있는 인물은 이영환 센터장이다. 2008년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프라이빗뱅커(PB) 꿈을 키운 그는 2009년 대신증권 PB로 입사, 압구정WM센터와 도곡WM센터 등을 거쳤다.
이 센터장은 지점에서 쌓아온 노하우를 살려 2016년부터 '마스터즈랩'을 운용하고 있다. 한국과 미국 업종 대표주에 투자해 알파수익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운용하고 있는데, 지난해까지 연 10% 수준 수익률을 기록하면서 투자자들 입소문을 탔다. 최근 국내외 증시 부진 여파로 주춤하는 듯 하지만 상승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다.

이 센터장이 주목하는 섹터는 미국 기술주와 국내 미디어주다. 미국 기술주는 알파벳과 애플 등 빅테크 종목들과 테슬라, 앤비디아 등 2군 종목을 모두 아우른다. 우크라이나 전쟁과 금리인상 이슈 등 여파로 최근 미국 증시도 크게 출렁이지만 기술 주도권이 여전하다는 점에서 영속가능 기업 투자는 여전히 유효할 것으로 봤다.
그는 현재 균형환율 범위를 1100~1150원 정도로 판단하고 있다. 23일 현재 1270원에 육박하는 원 달러 환율은 예상 범위를 상당폭 웃돌고 있는 셈이다. 향후 미국 기술주 투자 수익률을 감안했을 때 여전히 시장에 나가봄직 하다는 것이 이 센터장의 의견이다. 반영할 악재들도 이젠 남아있지 않은 것도 호재라고 생각한다.
이 센터장은 "올해는 미국 연준 테이퍼링에 따른 유동성 축소만으로 예년 상황과 상당히 다르다"며 "박스권 내 트레이딩이 불가피한 상황이기 때문에 롱텀 플레이는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국면을 잘 관찰하면서 수익을 꾸준히 쌓는 것이 중요한 만큼 고점과 저점을 모두 경험해본 노하우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국내 미디어 시장에 거는 기대도 크다. 최근 미디어주는 리오프닝 효과로 올라섰다가 기업 실적 부진으로 조정을 받은 상태다. 향후 성장 가능성을 두루 고려했을 때 지금이 투자 적기라는 것이 이 센터장의 판단이다. 그는 "현재는 다소 주춤하고 있지만 미디어 산업의 성장 가능성은 꾸준히 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센터장의 운용 전략은 '올라가면서 챙기는' 것이다. 주가 상승 국면에서 분산 투자를 통해 매수를 하다보니 수익률 자체는 비교적 높지 않을 수 있지만, 시장이 자칫 하락 국면으로 전환할 경우 방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시장 분석을 통해 국면을 파악하면서 승부수를 띄워야 할 시점에서 알파 수익을 노리는 운용 전략이다.
실제 이 센터장은 지난 12일 투자자들에게 보낸 레터에서 '기업의 성장 경로를 유지하는 한 지금은 시간에 투자해야 할 시기'라는 의견을 냈다. 시장이 움츠려든 상태이지만 조정장 역시 과거 코로나 국면과 같이 충분히 극복할 수 있기 때문에 단계적으로 국면이 전환될 것이라고 봤다.
이어 이 센터장은 시간에 대해 너무 조급하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금리 사이클을 유념하고 그에 맞춰 전략적인 플레이에 집중해야 한다는 뜻이다. 그는 "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퀄리티를 높여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금리 사이클을 충분히 인식하고 다소 느린 반등이라도 이해하고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우리금융 회장 DLF 행정소송 2심 선고 '22일'로 연기
- 여전사 CEO와 만난 금감원장, 편안함 속 ‘리스크 경고’
- KB부코핀, '부실자산' 털어낸다…굿뱅크 탈바꿈 '청신호'
- K-ICS 도입 목전…보험업계 ALM 중요성 대두
- 신한지주·은행, ESG 경영 통합컨트롤타워 출범
- 인터넷은행 대세된 6개월 적금…40년 규제가 족쇄
- [케이뱅크 IPO]FI 락업 6개월 설득…증시 불확실성은 투자자 부담
- '주총 끝낸' 코리아에셋…기동호 대표, 주주환원 속도
- 우리은행, 후순위채로 BIS비율 끌어올린다
- [신용정보업계 세대교체]업계 1위 '고려' 윤의국 회장 퇴임이 갖는 의미
이돈섭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타임폴리오운용, 신기사 설립…당국 승인
- 쿼드운용 롱숏, 변동장세 5% 수익률 '낭중지추'
- 꽁꽁 얼어붙은 투심…신규 헤지펀드 출시 연기 속출
- [인사이드 헤지펀드]메테우스운용, 판교 실리콘파크 투자 '드라이브'
- 'KB인생신탁' 뜯어보니…보수체계·시스템 매력
- 모루운용, 장인PE 2호 만기 연장…명진홀딩스 부진 탓
- 강원랜드, OCIO에 돈 더 푼다…'규모의 경제' 목표
- [운용사 OCIO 열전]일반 기업부터 제2금융권까지 가세…과제는 산더미
- [헤지펀드 판매사 지형도 분석]안다운용, KB증권 파트너십 강화…키워드 '롱숏펀드'
- [운용사 OCIO 열전]'빅2' 쌍두마차 시장 주도…미래에셋 출신 '낭중지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