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2년 05월 26일 07:55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현대중공업그룹의 조선 중간지주사 한국조선해양은 올해를 기점으로 순수지주사에서 사업지주사로의 전환을 본격화한다. LNG나 수소, 자율주행 등 친환경 디지털 선박 관련 기자재 분야에서 신사업을 발굴해 수익을 내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오너3세 정기선 사장이 대표이사에 올라 한국조선해양의 변신을 지휘한다.눈길이 가는 지점은 한국조선해양이 직접 기자재 생산을 하지 않고 라이선서(Licensor)로서 기술 로열티를 받는 데 머무르려 한다는 것이다. 생산은 국내 기자재업체들이 맡는다. 이런 방식에 무언가 이유가 있는 것일까. 한국조선해양 관계자의 설명은 간단했다. “지금까지 기자재업체들과 같이 왔습니다. 앞으로도 같이 가는 거죠.”
일반적으로 배 1척을 건조할 때 조선사가 30%를, 기자재업체 및 협력회사가 나머지 70%를 담당한다고 한다. 한국조선해양이 신사업에서 동반성장을 내세우는 것은 기업의 사회공헌이나 ESG 같은 거창한 가치 때문이 아니라는 말이다. 그냥 조선업계의 생존 방식이 그렇다. 조선사와 거래하는 기자재업체가 장기적 생존성을 확보할 수 없다면 조선사도 결국은 공멸한다.
한국조선해양이라는 사명(社名)은 한국의 대표 조선사로 성장하겠다는 식의 ‘기원’을 담은 것이 아니다. 한국조선해양은 글로벌 수주잔량 점유율 1위(자회사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합산 기준) 조선사다. 이미 한국 조선업의 대표라고 봐도 틀리지 않다.
한국 대표 조선사로서 한국조선해양은 한국 조선업 생태계를 떠받치는 사명(使命)이 있다. 정 사장에 앞서 한국조선해양의 대표이사를 맡았던 권오갑 현대중공업그룹 회장은 취임사에서 “우리나라 조선업 전체 생태계를 지킴으로서 우리 조선업의 미래를 책임지는 역할, 그것이 우리 한국조선해양의 사명”이라고 말했다.
한국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국내 대형 조선3사가 직접 거느린 사내협력사들을 제외하면 국내 기자재업체들 대부분은 3사와 모두 거래한다. 한국조선해양 신사업의 성패는 한국조선해양 한 회사의 미래를 넘어 한국 조선해양 생태계의 미래를 흔들 만큼의 영향력이 충분히 있다.
때문에 정 사장이 그룹 지주사 HD현대의 대표이사뿐만 아니라 조선 중간지주사 한국조선해양의 대표이사까지 겸임하는 것에서 무언가가 느껴진다. 단순히 그룹 경영권을 물려받는 것을 넘어 한국 조선업의 대표라는 사명(社名)과 한국 조선업 생태계를 지키는 사명(使命)의 무게도 함께 짊어질 준비가 됐다고 말하는 것만 같다.
친환경 디지털 선박의 기자재시장은 콩스버그나 바르질라 등 유럽 선진 기자재업체들의 텃밭이다. 한국조선해양은 이들의 지배력을 뚫고 시장에서 입지를 다질 수 있을까. 정 사장이 사명의 무게를 잘 짊어질 수 있을지를 지켜보고 싶어진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에디슨이노 "600억 CB 납입 차질 없다"
- [Korean Paper]한국가스공사, 글로벌본드 '북빌딩' 연기
- [IPO 그 후]알비더블유, FI발 '오버행' 이슈 끝났다
- 네오네시아, 매출 1조 찍고 2024년 IPO 목표
- [특례상장 주관사 성적표]나노씨엠에스, 안정적 매출...'해외 잭팟'은 불발
- 대한항공, 'A 등급' 복귀는 아시아나 인수 이후로
- 삼척블루파워, 나신평마저 등급 강등…ESG '직격탄'
- 가상자산 '한지붕 여러 협의체'…축소된 협회 영향력
- KT, 물류 영역 확장…'모빌리티 밸류체인' 구축 첫발
- 이수페타시스, 글로벌 서버용 PCB 시장 재편에 성장 '탄력'
강용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현대중공업그룹을 움직이는 사람들]조선업 미래기술 책임진 김성준 한국조선해양 부사장
- [현대중공업그룹을 움직이는 사람들]김종철 HD현대 전무, 그룹 신사업의 '핵'
- [현대중공업그룹을 움직이는 사람들]지주사 살림 겸직 맡은 송명준 HD현대 부사장
- [현대중공업그룹을 움직이는 사람들]가삼현 한국조선해양 부회장, 그룹 ESG로 역할 확대
- [현대중공업그룹을 움직이는 사람들]조영철 현대제뉴인 사장, 건설기계 시너지 입증 과제
- [현대중공업그룹을 움직이는 사람들]오너 3대와 손발 맞춘 권오갑 HD현대 회장
- 삼성중공업, 부채비율 관리 숨통 트이나
- HSD엔진, 수주 잔고 확대...투자로 흑자 굳히기
- 국책은행은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우군으로 남을까
-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점검]현대중공업, 배당정책 수립 언제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