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데믹 시대 대비하는 저축은행]애큐온저축은행, 또 지배구조 변화…커지는 불안정성①베어링PEA 6700억 리캡으로 자금 회수…최상위 지배구조 EQT파트너스로 변동 예정
이기욱 기자공개 2022-06-16 08:12:05
[편집자주]
저축은행 업계가 격변기를 앞두고 있다. 코로나19 사태가 종식 단계에 접어들면서 국내 금융시장의 환경도 코로나19 이전으로 점차 돌아가는 중이다. 풍부한 유동성에 힘입어 지난 2년동안 유례없는 호황을 누렸던 저축은행들 역시 엔데믹 시대에 맞는 경영·영업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엔데믹 시대를 준비하는 저축은행 업계를 진단해본다.
이 기사는 2022년 06월 15일 07:50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애큐온저축은행이 또 다시 지배구조 리스크에 휩싸일 전망이다. 과거 잦은 최대 주주 변경과 인수합병 등을 거쳤던 애큐온저축은행은 지난 3년동안 홍콩계 사모펀드 베어링PEA(Baring Private Equity Asia GP VII Limited) 지배 하에서 자산, 순익 성장을 이뤄냈다. 하지만 올해 최상위 지배기업인 베어링PEA의 매각이 결정됨에 따라 애큐온저축은행의 지배구조도 변동이 불가피하다.◇JC플라워 거쳐 베어링PEA로…2년새 자산 두 배 이상 성장
한솔상호저축은행, HK저축은행 등을 전신으로 하는 애큐온저축은행은 지난 2016년 현재의 최대 주주(100%)인 애큐온캐피탈에 인수됐다. 이전 최대 주주는 사모펀드 MBK파트너스가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 ‘에슐론’이었다.
인수 당시 애큐온캐피탈의 최대 주주는 미국계 사모펀드 운용사 JC플라워(JCF Ⅲ K Holdings LCC)였다. JC플라워는 2015년 8월 KT로부터 KT캐피탈을 인수한 후 사명을 애큐온캐피탈로 변경했다. 애큐온저축은행 입장에서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최상위 지배기업이 MBK파트너스에서 JC플라워로 바뀐 것이다.
JC플라워 체제는 그리 오래가지 못했다. JC플라워는 인수 4년 후인 2019년 8월 Agora L.P.에 애큐온캐피탈을 매각했다. Agora L.P.는 홍콩계 사모펀드 운용사 베어링PEA가 설립한 SPC다. 4년동안 애큐온캐피탈 및 애큐온저축은행의 순익이 회복되자 투자금 회수에 나선 것이다. 지난 2016년 97억원을 기록했던 애큐온저축은행의 당기순이익은 2019년 281억원으로 증가했다. 애큐온캐피탈의 순익(별도 기준) 역시 같은 기간 336억원에서 622억원으로 늘어났다.
애큐온저축은행은 베어링PEA 아래서 더욱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인수 이후 2년동안 코로나19 국면을 거치며 자산과 순익이 대폭 늘어났다. 2019년말 기준 2조3532억원이었던 애큐온저축은행의 총 자산은 지난해말 5조542억원으로 두 배 이상 늘어났다. 당기순이익도 같은 기간 281억원에서 621억원으로 121% 증가했다.
◇리캡·유상증자로 재매각설 잠잠…최상위 지배기업 변화 ‘변수’
애큐온저축은행의 급성장함에 따라 시장에서는 베어링PEA가 이익 실현을 위한 재매각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늘어났다. 실제로 베어링PEA는 올해 초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놓고 엑시트 방안을 고민한 것으로 전해졌다.
베어링PEA는 중간 회수 성격의 리캡(자본 재조정)을 선택했다. 리캡은 새롭게 받은 대출금으로 기존 차입금을 갚고 남는 돈을 배당에 활용해 투자금을 일정 부분 회수하는 전략이다. 베어링PEA는 지난 5월 한국투자증권, 신한금융투자 등의 주관으로 총 6700억원 규모의 리캡에 성공했다. 베어링PEA는 비슷한 시기에 420억원 규모의 애큐온캐피탈 유상증자도 단행했다. 중간 자금 회수와 추가 자금 투자가 한 번에 이뤄지자 매각설은 수면 아래로 가라 앉았다.
변수는 최상위 지배기업의 변동이다. 베어링PEA가 리캡과 애큐온캐피탈 유상증자를 결정하기 두 달 전인 3월 유럽 최대 규모 사모펀드 운용사 EQT파트너스는 베어링PEA 인수 계획을 공식화했다. 총 거래규모는 약 9조2000억원이며 연내 거래 종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
EQT파트너스가 베어링PEA 인수 후 당장 매각을 진행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경영진 및 이사회 변동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베어링PEA도 JC플라워로부터 애큐온캐피탈을 인수한 직후 애큐온저축은행 경영진과 이사회 구성원을 대거 교체했다.
이호근 현 애큐온저축은행 대표이사도 베어링PEA가 애큐온캐피탈을 인수한 2019년 8월 새롭게 선임됐으며 연다예 기타비상무이사, 이중무 기타비상무이사, 김춘경 사외이사, 이현석 사외이사, 김경석 사외이사 등도 모두 새롭게 이사진에 합류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퇴직연금협회, 사업자 출자로 연말 설립안 급부상
- [은행경영분석]소매금융 폐지한 씨티은행, 기업금융 '껑충'
- KB저축은행, 사외이사 교체…금융연구원 출신 비중 유지
- '한 업무에 5년 못 둔다' 은행 스페셜리스트 부재 우려
- 신협공제, 만기보유증권 늘리고 매도가능증권 줄였다
- 우리금융 '실행적' ESG, 캄보디아 산림 훼손 막는다
- KDB인프라, 김일권 상무 영입...'리스크 관리' 총괄
- [산은 구조조정 포트폴리오 점검]'1부문, 2본부, 1센터, 7실, 1국' 산업계 골리앗
- [Rating Watch]KB생명, 등급상향 '청신호' 켜졌다
- [알뜰폰 도전하는 토스]금융과 연계 아니라는데…핵심 경쟁력은
이기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KB저축은행, 사외이사 교체…금융연구원 출신 비중 유지
- [금융지주계열 저축은행 이사회 분석]BNK저축, 독립성 개선…학교 편중 해소 필요
- [금융지주계열 저축은행 이사회 분석]NH저축, 구성원 수 변화에도 농협 영향력 ‘굳건’
- [금융지주계열 저축은행 이사회 분석]IBK저축, 국책은행 계열의 특수성…안정성 개선해야
- 저축은행에서 꽃 피는 조용병의 ‘원(One) 신한’
- [은행경영분석]경남은행, 건전성 관리 ‘총력’…외형 확장에도 지표 개선
- [은행경영분석]부산은행, 기업대출 성장세 ‘뚜렷’…비용 효율성 개선
- 삼성카드, 본업 집중 전략으로 수익성 방어
- BNK금융, 반기 최대 실적…은행 수익 개선 효과
- 전북은행, 업계 최고 수익성…자산조정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