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회 분석]포스코건설, 다시 6인 체제…전중선 홀딩스 대표 합류이사회 CSO 첫 합류…홀딩스 측 지명 이사 '대표이사급' 격상
성상우 기자공개 2022-07-04 07:23:20
이 기사는 2022년 07월 01일 08:00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포스코건설 이사회가 6인 체제로 확대·개편됐다. 올해 초 일부 임원진 개편과 모회사의 지주사 전환 작업이 맞물리면서 이사회 규모 및 구성원에도 변화가 생겼다. 포스코에서 건너온 새 최고재무책임자(CFO)가 곧바로 이사회에 합류한 것이 특징이다. 주주사(포스코홀딩스)에서 파견하는 기타비상무이사가 본부장급에서 대표이사급으로 격상된 것 역시 눈여겨 볼 대목이다.가장 큰 변화는 사내이사진에서 최근 3년간 자리를 지킨 윤덕일 전 경영기획본부장(CFO)이 나가고 제은철 신임 CFO가 들어왔다는 점이다. 윤 본부장은 지주 분할 전 모회사인 포스코의 경영기획본부장으로 자리를 옮겼고 제 본부장도 마찬가지로 분할 전 포스코에서 옮겨왔다. 모회사와 자회사가 CFO급 재무파트 임원을 맞바꾼 격이다. 포스코의 상무~전무급 재무 임원이 포스코건설로 옮겨와 CFO를 맡은 뒤 다시 포스코(분할 전)의 재무 총괄급으로 영전해 가는 패턴이 반복된 셈이다.
포스코건설은 이사회가 개편될 때마다 사실상 CFO 역할을 하는 경영기획본부장은 매번 이사진에 포함시켜왔다. 주요 경영진 중에서도 재무 총괄 임원에 무게감을 두는 포스코건설의 경영 기조가 잘 드러나는 대목이다. 전임 윤덕일 본부장 역시 포스코 재무실장을 역임한 뒤 포스코건설로 옮겨와 곧바로 사내이사로 합류한 바 있다. 직전에 포스코 아시아법인(POSCO-Asia )장을 맡다가 건설로 옮겨 온 제 본부장 역시 마찬가지다.
이사진에 최고안전책임자(CSO)를 포함시킨 것도 눈에 띄는 행보다. 사내이사진을 기존 2명에서 3명으로 늘림으로써 이사회 규모 전체를 5명에서 6명 규모로 개편한 것 역시 CSO를 이사진에 넣기 위한 조치였다. 전체 사업 부문에 걸쳐 안전분야를 독립적으로 감독할 수 있는 권한과 동시에 이사회에도 참여해 주요 경영의사결정에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회사 측 의지로 풀이된다. 대부분의 건설사들이 중대재해처벌법 시행과 맞물려 CSO를 선임했지만 사내이사로까지 포함시킨 곳은 드물다.

새로 이사회에 합류하게 된 송치영 안전보건센터장은 지난해에 CSO로 선임됐다. 그의 재임기간 동안 안전 관련 조직은 지속적으로 확대·개편됐다. 인력 규모 즉면에선 전체 사업부문을 관할하는 '본부' 조직보다 작을 수 밖에 없지만 대표이사의 경영방침 등을 감안한 조직의 무게감을 고려하면 본부와 동급 수준의 지위라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이사회 전체 6석 중 3석을 차지하는 기타비상무이사직은 주주사 추천 인사들이 맡고 있다. 모회사 포스코홀딩스에서 한 자리를 맡고 사우디 국부펀드(PIF)에서 2명을 지명한다.
이같은 이사회 구조는 포스코건설이 사우디 PIF의 투자를 유치한 2015년부터 쭉 유지돼 왔다. 첫 투자가 이뤄진 2015년부터 PIF 측 지명을 받은 아흐메드 알 수베이(Ahmed A. Al-Subaey) 이사는 현재까지 자리를 유지 중이다. 나머지 한 자리엔 자코보 솔리스(JACOBO F. SOLIS) 이사가 지난해부터 합류했다.
포스코홀딩스 측이 지명한 기타비상무이사가 전중선 현 포스코홀딩스 대표로 바뀐 것 역시 눈여겨 볼 대목이다. 지난해까지 포스코 측은 전무~부사장급을 기타비상무이사로 포스코건설 이사회에 합류시켰다. 직전 기타비상무이사였던 이주태 이사가 포스코 구매투자본부장이었고 그 전임자인 유병옥 이사 역시 본부장급이었다. 한성희 현 대표 역시 과거 포스코 부사장 시절 포스코건설 기타비상무이사로 참여한 적이 있다.
올해 지주사 체제 전환과 동시에 포스코홀딩스 대표(사장)로 올라선 전 대표가 이사회에 직접 참여한다는 점은 의미가 남다르다는 분석이다. 지주사 체제 전환 이후 기업가치 제고 측면에서 각 자회사들 사업을 직접 점검하겠다는 포석으로 읽힌다. 전 대표는 지난해까지 부사장급으로 포스코 대표이사를 맡았다. 그 직전까진 전략기획본부장으로서 사실상의 CFO 역할과 컨트롤타워 수장 역할을 겸했다. 포스코 '재무통'이라고 할 수 있는 전 대표가 자회사 이사회를 직접 챙긴다는 점은 포스코건설로서도 남다른 무게감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SC엔지니어링 "셀론텍, 외형 성장의 원동력 '카티졸'"
- LX세미콘, 실적 호조에도 늘어난 운전자본 부담
- 삼성SDI, 수원 이어 독일·미국에도…R&D 3각거점 확보
- 후발주자 네이버클라우드, 준비된 플레이어...탁월한 성장 비결은
- 버킷스튜디오, 주가상승의 역설
- 에이프로젠, 최대주주 자리 걸고 'R&D 자금 조달'
- 에이프로젠, 1년간 지배구조 개편으로 M&A 포석
- 메카로, 반도체 '소재' 떼어내고 '부품'사업 승부수
- [Company Watch]제너셈, 한미반도체 특허소송 부담 털었다
- [Company Watch]감자 후 유증, 장재진 회장의 승부수 통했다
성상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건설사 시공능력 점검]대우산업개발, 5년새 23계단 상승 '70위대' 안착
- '박삼구 공백' 박세창 승계 절차 급물살 탈까
- 신규택지 15만호 '콤팩트 시티'로…키 잡은 LH
- [건설사 시공능력 점검]부영주택, 30위권 밖 후퇴…공사매출 감소 탓
- [건설사 시공능력 점검]KCC건설, 30위권 재진입…실적·재무 모두 개선
- LH 차기 사장 후보군, 김경환·심교언 교수 이목 집중
- [지속가능경영 리뷰]포스코건설, 최대 관심사 '기후변화' 부상
- [건설리포트]코오롱글로벌, 분할 앞두고 건설부문 성장세 '주춤'
- [건설사 시공능력 점검]금호건설, 5년만에 20위권 진입…재건 구상 '순항'
- 박세창과 이규호의 '엇갈린' 후계자 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