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젠 매각 단가, 2016년 상장 밸류보다 낮아 김영부 대표, 경희대 1호 벤처와 23년 동행 마침표
심아란 기자공개 2022-11-28 08:50:18
이 기사는 2022년 11월 24일 07:06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김영부 대표가 팬젠과 23년 동행을 종료한다. 김 대표는 팬젠이 1999년 경희대 1호 벤처로 출범할 당시부터 조력자로 나섰으며 2010년 재창업 이후 현재까지 최대주주 자리를 지켜왔다. 이번에 크리스탈지노믹스에 경영권을 넘기면서 출자금을 회수하지만 팬젠의 매각가는 상장 밸류보다 낮게 책정됐다.팬젠은 최대주주인 김영부 대표와 특수관계인들이 보유주식 일부와 경영권을 크리스탈지노믹스에 양도한다고 22일 밝혔다. 보통주 구주 거래가는 1주당 1만1000원으로 최근 1개월 종가 대비 54% 할증된 가격이다.
구주 매각가를 고려한 팬젠의 지분가치(Equity value)는 1175억원으로 책정됐다. 2016년 기술특례제도로 코스닥에 입성할 당시 밸류가 1267억원이던 점을 감안하면 7% 낮은 수치다.
올해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체결된 M&A는 총 12건 가운데 창업자의 구주가 거래된 딜은 팬젠을 제외하면 총 5건이다. 이들 다섯 곳의 매각 지분가치가 상장 밸류 대비 평균 634% 높게 책정된 점을 고려하면 팬젠은 상대적으로 저가에 팔린 상황이다. 2년 전부터 팬젠 M&A를 검토해 왔던 크리스탈지노믹스 입장에서는 팬젠 시가가 하락해 매수하기에 적기였던 셈이다. 팬젠 시총은 2년 전과 비교해 20% 가량 낮아진 상태다.
경기침체와 주가 하락 등에 영향을 받았지만 김영부 대표의 M&A 의지가 꾸준했다고 알려졌다. 팬젠은 김영부, 윤재승 각자 대표 두 사람이 회사를 이끌어 왔다. 창업자는 윤 대표로 경희대 유전공학과 교수로 재직하던 중 팬젠을 설립했다. 경희대 출신인 김 대표는 설립 초기부터 주주로 참여하면서 두 대표의 인연이 시작됐다.
기존 팬젠은 2010년에 분할을 통해 신설 법인으로 다시 출범했으며 이 과정에서 유상증자 신주를 인수한 김 대표가 1대주주로 올라섰다. 당시부터 재무관리 분야를 총괄하며 대표로 재직해 왔다.
김 대표는 과거 제일모직, 삼성전자, 보광그룹 등에서 재무와 회계 업무를 맡았던 경력을 살려 투자회사 와이비파트너스도 보유 중이다. 와이비파트너스 역시 팬젠의 주주이기도 하다. 초기 투자금은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김 대표는 특수관계인, 보유한 사업체 등이 보유한 팬젠 주식을 처분하면서 총 132억원을 현금화한다.
윤 대표도 보유 지분 일부를 크리스탈지노믹스에 매각해 49억원을 확보하지만 경영에는 지속적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2016년 팬젠의 코스닥 입성 이후에는 기술 상용화에 성공하며 수익 기반을 다져 왔다. 팬젠의 핵심 경쟁력은 CHO세포에 특화된 단백질 발현기술이다. 이를 통해 국내에서 만성 신부전 환자의 빈혈치료제인 바이오시밀러 '팬포틴' 제품화에 성공했다.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해외에서도 품목허가를 취득했다.
자체 GMP 생산시설을 일찌감치 마련해 팬포틴을 직접 생산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해 위탁생산(CMO) 사업도 병행하고 있다. 올해는 팬포틴 판매가 감소해 9월 말 별도기준 매출액은 5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 줄었다. 후속 파이프라인 개발이 지속되면서 영업적자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알펜시아리조트, 2024강원동계청소년올림픽 성공개최 '맞손'
- [Company Watch]JTC, 관리종목 탈피 '청신호', 흑자전환 ‘총력’
- GTF, 35개월만 월간 첫 흑자 "리오프닝에 실적 기대"
- [오너십&스톡]SK케미칼, 반전 묘수 꺼낼까
- 美 에너지사업 총괄하는 패스키, 유정준 부회장 역할 확대
- [동국제강을 움직이는 사람들]'럭셔리 스틸' 탄생 일등공신 박상훈 전무
- [승계 레버리지 분석]이우현 OCI 부회장은 최대주주가 될 수 있을까
- 포스코케미칼-삼성SDI의 만남, 협력관계 어디까지?
- [에코프로 인사이드]수직계열화의 '부메랑', 높은 내부거래 비중 눈길
- 현금 2조 확보 SKC, 해외 동박 생산기지 구축 본격화
심아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오스템임플란트, 이사회 피해 가는 외부 투자 '눈길'
- 오스템임플란트, 지배구조 허점은 '자회사 주주'
- [On the move]SK바이오팜, 신사업 통해 밸류업 해법 모색
- [투자 포트폴리오 리포트/유한양행]바이오 투자 IPO 난관, 엑시트 고민 커진 CFO
- [투자 포트폴리오 리포트/유한양행]파트너에 매도권·풋옵션 제공, 리스크 보완 역할 자처
- [레버리지&커버리지 분석]HK이노엔, 현금창출력 개선 시동…투자 부담 덜까
- [On the move]'CMO 갈증' SK바이오사이언스, 고객사 확보 '올인'
- [투자 포트폴리오 리포트/유한양행]감시 대신 '협력' 선호, 이사회 참여 비율 10%
- [투자 포트폴리오 리포트/유한양행]차입·조달 제로, '현금' 쓰는 보수적 기조 유지
- [투자 포트폴리오 리포트/유한양행]CFO 바뀌어도 투자 확대 꾸준, 공통점은 '분산'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