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단석, 연 30만톤 규모 HVO 원료 정제 공장 착공식 개최 내년 7월 완공, 8월 시생산 목표…제조원가 절감·공사비용 감소 효과 기대
서하나 기자공개 2023-09-14 10:05:12
이 기사는 2023년 09월 14일 10:04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글로벌 자원 순환 리딩 기업 DS단석(구 단석산업)이 14일 평택1공장 내 2세대 바이오 디젤인 HVO 원료 정제 공장 착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13일 진행된 착공식에는 한승욱 회장, 김종완 부사장을 비롯해 시화 본사 및 평택 임직원을 포함 약 7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평택1공장 이정현 부사장의 경과보고를 시작으로 착공식 및 안전 기원제 순으로 진행됐다.
HVO(Hydrotreated Vegetable Oil) 원료 정제 공장은 평택1공장 내 기존 사무동을 철거하고 증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총 투자규모 약 357억원, 내년 7월 완공, 8월 시생산을 목표로 한다. 이번 HVO 원료 정제 공장 증축을 통해 생산 가능한 전처리 원료는 연간 약 30만톤에 이른다.
HVO 원료 정제 공장은 평택1공장에서 운영하고 있는 기존의 바이오디젤 공장과 함께 운영될 예정이며 △제조 원가 절감 △공사 비용 감소 △인허가 용이 등 집적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DS단석이 이번 HVO 원료 정제 공장 증축에 나선 배경으로는 현재 진행중인 바이오디젤의 세대 교체를 꼽을 수 있다. 기존 1세대 바이오디젤(메탄올 촉매: FAME)은 식물성 유지 및 회수유가 주원료로 사용되며 원료 품질에 대한 민감도가 높고 일반 디젤 대비 품질이 낮다. 이에 비해 2세대 바이오디젤(수소 촉매: HVO)은 동물성 유지도 주원료로 확대 사용이 가능하며 원료 품질에 대한 민감도가 낮고 일반 디젤과 품질이 유사해 혼합이 용이하다.
DS단석은 글로벌 바이오디젤의 공급망 재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침으로 HVO 원료 정제 공장을 증설하게 됐다. 2세대 바이오디젤의 진화를 기반으로 바이오항공유(SAF)와 같은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도 진행하고 있어 향후 더 높은 이익을 실현한다는 방침이다.
DS단석 한승욱 회장은 "2세대 바이오디젤인 HVO 원료 공급용 정제 플랜트 착공식을 시작으로 오는 2026년 전처리 원료만이 아닌 HVO 자체 생산을 위한 50만톤 규모의 플랜트 착공의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1세대 바이오디젤 수출 역량을 기반으로 새로운 친환경 성장동력을 확보해 나가면서 대표적인 자원순환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굳혀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i-point]위지윅스튜디오, 이정재·정우성과 '와이더플래닛' 투자
- DS단석, 이르면 22일 코스피 입성한다
- '주주환원' 시노펙스, 주식배당 무상증자 결정
- 다이나믹디자인, 글로벌 타이어 피렐리 전략공급사 선정
- 더코디, 서울과기대 손잡고 'AI 에듀테크' 시장 진출
- [삼성 AI 로드맵]똑똑한 메모리 등장, 투자 공세 유지
- [AI 의료 기업 리포트]100억 매출 돌파 앞둔 뷰노, 못지킨 약속 달라진 전략
- [레디 포 6G]표준화 작업 앞장 SKT, 글로벌 6G 리더십 확보 몰두
- [라인게임즈 2.0 돋보기]어깨 무거운 '창세기전'…신임 경영진 첫 시험대
- 삼성전자 미래사업기획단, 추가 인력 충원에 쏠리는 이목
서하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DS단석, 이르면 22일 코스피 입성한다
- 다이나믹디자인, 글로벌 타이어 피렐리 전략공급사 선정
- 화승코퍼, KOMERI 양산 ‘친환경하이브리드' 기술 협력
- [Red & Blue/상한가]'구글' 새 주주로 맞이한 카페24, 주가 '폭주'
- [기술특례 코스닥 재점검]연구개발 자부심 컸던 아스타, 외형 성장 '고전'
- 아이티센, 아주대·우즈베키스탄 ICT 인재 양성·취업 '맞손'
- 아이티센, 최대주주 굿센 전환사채 44억 전환권 행사
- 1865, 셀렉티드 빈야드 카카오프렌즈 에디션 출시
- 대동 미래농업 세상브랜드 영상 및 웹툰 공개
- [기술특례 코스닥 재점검]AR 선두주자 맥스트, IPO 시점 추정치 대비 '현격한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