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솔바이오사이언스, 100억 투자 유치…넥스트 물질 박차 기술수출 확장 계약의 힘, E1K 등 후속물질 개발 및 기술수출 성과 총력
김진호 기자공개 2024-12-12 16:30:11
이 기사는 2024년 12월 12일 16시2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펩타이드 기반 신약개발사 엔솔바이오사이언스가 신규 투자 100억원을 유치했다. 올해 누적 투자금은 140억원에 이른다. 자체 파이프라인에 대한 추가 기술수출 협의가 활발하게 이뤄지면서 확보한 자금을 파이프라인의 가치 제고에 적극 활용한다는 방침이다.엔솔바이오사이언스는 12일 경영컨설팅사 스마트앤그로스의 형인우 대표를 대상으로 제3자배정 유상증자로 100억원 규모의 보통주 118만637주를 발행키로 결정했다. 주금 납입일은 내년 1월 24일이다.
이번 유상증자는 연구개발 및 운영자금 조달 목적이다. 마그나인베스트먼트, 삼호그린인베스트먼트등으로부터 40억원의 투자를 유치한 것을 포함하면 올해 누적 투자금은 총 140억원이다.
최근 완료한 기술수출 계약이 신규 투자 유치로 이어지고 있다. 엔솔바이오사이언스는 7월 미국 파트너사 스파인바이오파마에 퇴행성디스크질환 치료제 'P2K'에 대한 적응증을 확대하는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P2K'는 엔솔바이오사이언스가 유한양행에 2009년 기술이전한 파이프라인이다. 유한양행과 엔솔바이오사이언스가 공동으로 전임상 및 임상연구를 진행하고 이후 유한양행이 스파인바이오파마에 2018년 2억1815만달러 규모로 기술이전했다. 유한양행이 취하는 모든 금액의 25%를 엔솔바이오사이언스가 수령하는 조건이었다.
이에 더해 해당 파이프라인의 적응증을 골관절염과 섬유증, 종양 등으로 확대하기 위해 추가 계약을 맺었다. 유한양행이 아닌 엔솔바이오사이언스가 주체로 스파인바이오파마와 계약을 확장한 것이 눈여겨 볼 지점이다.
현재 P2K에 대한 미국 내 퇴행성디스크 환자 대상 임상 3상이 진행되고 있다. 내년 1분기 중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고된다.
엔솔바이오사이언스는 8월 1차 선급금 14억원을 수령했다. 스파인바이오파마가 임상 3상 결과 보고서를 미국식품의약국(FDA)에 제출하면 2차 선급금으로 55억원을 추가 수령하게 된다. 신약 허가까지 획득하면 수령할 수 있는 총액은 2153억원에 달한다.
엔솔바이오사이언스는 올해 유치한 자금으로 추가 파이프라인에 대한 밸류업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P2K에 이은 차세대 파이프라인은 골관절염치료제 E1K다.
해당 물질은 생체 유래 아미노산 5개로 구성된 펩타이드다. 통증을 경감하며 연골을 재생하는 이중 작용기전을 보유하고 있다. 국내 임상 3상 진입을 준비하고 있다. 이 물질 역시 빅파마와 기술수출 논의가 진행 중이다.
이밖에도 엔솔바이오사이언스는 면역항암제병용항암제 ‘C1K(임상 1b/2a상 준비)’, 알츠하이머병치료제 ‘M1K(임상 1상 준비)’, 경구용 비만치료제 ‘H1K’(비임상),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A1K'(비임상) 등도 보유하고 있다.
김해진 엔솔바이오 대표는 "자사 파이프라인에 기술수출이나 임상개발 진전 가능성에 힘입어 어려운 환경에서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며 "우리 파이프라인의 가치를 더 높이는데 힘써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갤럭시 언팩 2025]'엔비디아' 출신이 확신한 '무한' XR 경쟁력
- 지주사 전환 취소 빙그레, 초조했던 '2개월'
- 고려아연, '영풍 빼고' MBK에 화해 제스처...반응은 '냉랭'
- [2025 신풍제약 재도약]유제만 대표 "체질개선 시기 지나 이제는 결실의 시간"
- [Red & Blue]갑자기 거래량 뛴 밸로프, 본업 성장 기대감 지속될까
- [i-point]채비, SaaS형 운영시스템·모바일 앱 '차징허브' 론칭
- [i-point]빛과전자, 해외 시장 공략 본격화
- [i-point]에스넷그룹, 제2기 '네트워크 엔지니어 양성 과정’ 성료
- [i-point]노을, 아세안 최대 시장 태국서 AI 의료기기 인허가 획득
- [현대백화점 비전 2030 중간점검]신수종 점찍은 뷰티·헬스케어사업, 전망은
김진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올해 보여줄 것 많다' 제놀루션 오너가 자신감 '자사주 매입'
- 주가하락 국면 '소통행보' 티움바이오, 소액주주 대상 첫 IR
- [Policy Radar]상장폐지 시총요건 300억, 헬스·바이오 18곳 적신호
- [Policy Radar]저성과 기업 상폐에 속도, 바이오텍 시총 관리 관건
- '펩트론·지투지·인벤티지랩' DDS, 비만약 투약 개선 블루칩
- [thebell note]봄을 기대하는 '압타머' 개발사
- 테라젠이텍스, 주관사 선정도 못한 메드팩토 매각 '안갯속'
- 디앤디파마텍의 뉴랄리 '파트너십', 진단제 개발비 줄인다
- [2025 제약바이오 모멘텀 점검]메드팩토, 최대주주 매각 상관없이 '신약·진단' 본궤도 원년
- [2025 제약바이오 모멘텀 점검]루닛, '볼파라' 업고 글로벌 강화…루닛스코프 확장도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