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LIG넥스원, 페루 해군 공략 의미는 '팀코리아'로 수출지역 확대…중남미 시장 교두보 전망
허인혜 기자공개 2024-11-28 16:24:41
이 기사는 2024년 11월 27일 07시4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HD현대중공업과 LIG넥스원이 협업해 페루의 해상 방산시장을 본격적으로 두드렸다. HD현대가 페루의 국영 시마(SIMA)조선소와 잠수함 공동 개발에 나서는 한편 이미 건조 계약을 맺은 함정 4척을 공동생산할 계획이다. LIG넥스원은 HD현대가 납품하는 함정의 핵심장비를 공급하기로 했다.페루 해군과의 계약은 앞으로 수십년간 HD현대 등 국내 방산기업의 매출 일부를 책임질 전망이다. 페루 시장 진출은 페루뿐 아니라 중남미 시장의 교두보로서의 활용도도 높다는 분석이다.
방산업계에 따르면 LIG넥스원은 페루 해군에 지휘통제, 전자전, 통신장비를 아우르는 600억원 규모의 함정용 종합 솔루션을 공급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LIG넥스원은 페루 해군이 운용할 3400톤급 호위함과 2200톤급 원해경비함에 탑재할 핵심장비 공급계약을 HD현대중공업과 체결했다.
LIG넥스원은 "함정용 전자전 장비는 대함 유도탄 탐색기를 포함, 통상적으로 레이더가 운용되는 범위를 넘어 밀리미터 대역까지 대응이 가능하다"며 "통신 정보 탐지 및 수집, 분석도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계약은 HD현대중공업과 LIG넥스원이 협력해 따냈다. HD현대중공업이 함정 건조를, LIG넥스원이 핵심장비와 시스템 등을 담당하면서 수상함용 핵심장비 패키지를 제안할 수 있게 됐다. 패키지 제안이 경쟁력을 인정받으면서 계약이 성사됐다.
페루 해군과의 계약은 장기적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LIG넥스원은 HD현대중공업과 페루 국영 시마(SIMA)조선소의 인도 계획에 따라 2029년까지 전투체계, 전자전, 데이터링크 등의 함정용 장비를 공급하게 된다. LIG넥스원은 앞서 2012년 콜롬비아에 함대함 유도무기 '해성'을 수출하며 중남미 시장에 진출했다.
HD현대중공업은 4월 시마 조선소와 6406억원 규모의 함정 4척에 대한 현지 건조 공동생산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와 함께 향후 15년간 페루 정부 및 해군과 전략적 파트너로서 후속 함정 사업에 대해서도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도 확보했다.
방산업계는 페루 시장을 교두보삼아 중남미 시장 진출을 확대할 계획이다. 페루는 남미 국가 중 칠레와 함꼐 우리와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어 중남미 시장 진출의 문으로 여겨진다. 중남미 함정 시장은 2030년 약 34억달러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육·해·공으로 넓혀보면 국내 기업들의 최근 페루 방산시장 진출이 두드러진다. 현대로템은 올해 5월 페루의 차륜형 장갑차 공급사업을 수주해 중남미 시장에 처음으로 나섰다. K2 전차와 계열전차, 차륜형 장갑차 등을 공급할 것으로 전망된다. 해상에서는 HD현대중공업과 LIG넥스원을 포함해 해군·조선소 현대화에서도 기회를 찾고 있다.
상공은 일찌감치 국내 기업이 페루에 진출한 분야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2012년 KT-1P 훈련기 도입 계약을 페루와 맺은 바 있다. 2015년부터 페루 공군이 활용했다. 신뢰관계를 토대로 KAI는 이달 페루의 국영 항공 전문기업인 세만(SEMAN)과 KF-21 부품 현지 공동 생산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갤럭시 언팩 2025]'엔비디아' 출신이 확신한 '무한' XR 경쟁력
- 지주사 전환 취소 빙그레, 초조했던 '2개월'
- 고려아연, '영풍 빼고' MBK에 화해 제스처...반응은 '냉랭'
- [2025 신풍제약 재도약]유제만 대표 "체질개선 시기 지나 이제는 결실의 시간"
- [Red & Blue]갑자기 거래량 뛴 밸로프, 본업 성장 기대감 지속될까
- [i-point]채비, SaaS형 운영시스템·모바일 앱 '차징허브' 론칭
- [i-point]빛과전자, 해외 시장 공략 본격화
- [i-point]에스넷그룹, 제2기 '네트워크 엔지니어 양성 과정’ 성료
- [i-point]노을, 아세안 최대 시장 태국서 AI 의료기기 인허가 획득
- [현대백화점 비전 2030 중간점검]신수종 점찍은 뷰티·헬스케어사업, 전망은
허인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ompany Watch]HD한조양, 미 본토 투자 '신중한' 배경은
- [두산스코다파워 체코 IPO]타이밍 '굿'...대형수주 앞둔 유럽 공략 '재원 마련'
- [두산스코다파워 체코 IPO]내달 초 레이스 마무리…'프라임마켓' 마지막 관문
- [Company Watch]HD현대마린엔진, 그룹·중국·업황 효과 '동시에'
- [Red & Blue]'업황 올라탄' HD현대重, 고마진·특수선 '동력' 남았다
- [Company Watch]특수선 목표 '확 높인' HD현대重, 달성 가능성은
- [thebell note]㈜두산의 코리아 디스카운트 극복기
- [2025 승부수]법정공방 극복 HD현대...권오갑 회장, '법과 원칙' 강조
- [Red & Blue]지주사 디스카운트는 없다...역대 최고가 쓴 ㈜두산
- [두산그룹 뉴 비전]밥캣은 왜 신사업 키우기보다 '인수'를 택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