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3 비상계엄 후폭풍]한국물 마무리에 '안도'…월스트리트도 '동향 파악''계엄선포일' 외평채로 올해 발행 마감…내년 초 발행사는 ‘노심초사’
이정완 기자공개 2024-12-05 10:25:58
이 기사는 2024년 12월 04일 15:13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물 유통금리 동향 보고해주세요"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자 미국 뉴욕에 위치한 글로벌 투자은행(IB)도 촉각을 곤두세웠다. 홍콩이나 싱가포르를 거치지 않고 한국 지점에 유통금리 현황을 직접 물었다. 미국 시장 마감 후 아시아 시장 개장시간에 맞춰 재차 동향 파악에 한창이다.
계엄 해제에 한국물 시장은 예상보다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우연의 일치인지 계엄 선포일에 기획재정부가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 프라이싱을 마치면서 올해 연말까지 발행에 끼칠 직접적인 타격은 덜하다. 하지만 새해를 맞아 등판을 준비하는 발행사는 노심초사하며 시장 흐름을 살피고 있다.
◇계엄령에도 은행 해외법인, 사모 조달 '계획대로'
4일 IB업계에 따르면 홍콩 시장 개장 후 한국물 투자자의 투매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유통금리가 급격히 상승하는 일도 없었다. 국회의 계엄 해제 요구에 따라 4일 오전 4시 30분 6시간 만에 계엄 사태가 종료되면서 예상보다 시장에 끼치는 타격이 적었다.
금융감독원도 4일 오전 1시 30분 이복현 원장 부재로 긴급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열었다. 계엄선포 직후 해외 금융시장에서 한국물이 일부 변동성을 보였으나 시장 변동성은 제한적으로 파악했다. 특히 KB국민은행 뉴욕지점은 양도성예금증서(CD) 3개월물 1억불을 가격 변동 없이 정상적으로 발행했다. 사모 형태로 투자자를 확보해 계획대로 조달이 이뤄졌다고 전해진다.
공교롭게도 윤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한 3일 오전 기획재정부는 호주에서 사상 첫 호주달러 표시 외평채 프라이싱을 실시했다. 26억호주달러가 넘는 주문이 쌓여 5년물로 4억5000만호주달러 조달을 확정했다. 금리 조건도 호주 스와프금리(ASW)에 55bp를 더한 값으로 정해져 역대 최저 외평채 가산금리였던 지난 6월 미국 국채금리(T)+24bp보다 낮은 수준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호주 투자자가 최종 발행이 완료되기 전까지 계엄 사태에 대해 물어볼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외평채 납입일은 오는 10일이다. 기획재정부는 발행 후 중앙은행, 국부펀드 같은 우량 SSA(Soverign, Supranational and Agencies)를 확보했다고 자평했지만 이들 입장에선 갑작스럽게 부정적인 사건이 생긴 셈이다.
대한민국 정부가 한국물 시장 문을 닫은 뒤 연말까지 발행을 계획하는 곳은 없다. 12월에는 해외 기관투자자도 북클로징(회계장부 결산)을 맞아 투자가 뜸해지기 때문에 발행도 주춤하다. 미국 투자자는 11월 추수감사절 이후 휴식기에 돌입하는 분위기다.
IB업계 관계자는 "연말에 발행을 계획한 곳이 없어 그나마 다행"이라며 "하마터면 발행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칠 뻔했다"고 말했다.
◇국가 신용도 등급전망 '하향조정' 우려도
이번 사태를 계기로 글로벌 신용평가사가 대한민국 국가 신용도를 조정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등급을 한 노치 낮추는 수준까지는 아니겠지만 등급전망 하향조정은 충분히 가능하다는 시나리오다.
이렇게 되면 'AA급' 신용도에도 영향이 있을 수 있다. 무디스는 국가 신용도를 2015년부터 'Aa2', S&P는 2016년부터 'AA'로 평가하고 있다. 피치는 2012년 'AA-' 등급을 매긴 뒤 이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물 업계 관계자는 "해외 신용평가사는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리스크나 정치적 불확실성을 주의 깊게 살펴 평가에 반영한다"며 "비상계엄 사태로 인한 후폭풍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반대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사태를 근거로 등급전망에 변화가 없을 것이란 의견도 있다. 이제 탄핵 정국 돌입이 유력한데 2016년 박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발의된 후에도 등급전망에 변화가 없었다는 이야기다.
등급전망 하향조정을 비롯 국가 신용도에 대한 우려가 생기면 당장 내년 초 한국물 발행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 한국물 금리 벤치마크 형성을 위해 국책은행인 수출입은행이 새해 발행을 준비 중인데 만약 금리 조건이 전보다 높게 결정된다면 이후 등장할 공기업과 민간기업도 조달 금리 상승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IB업계 관계자는 "가뜩이나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당선 후 금리 불확실성이 커졌는데 비상계엄 사태로 인해 엎친 데 덮친 격이 됐다"며 "내년 조달을 계획하는 발행사의 고민이 더 깊어졌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딜
-
- [서울보증보험 IPO]미국 국채금리 폭등 데자뷔, 높아진 공모 장벽
- 한국전력, 한국물 RFP 배포 기준에 IB '볼멘소리'
- [Korean Paper]주금공, 수은 이후 한국물 후속주자로 등판
- [Deal Story]동원산업 수요예측 흥행, AAA급 금리로 조달 가능
- [Deal Story]SK하이닉스, 우려 극복…회사채 투자수요 ‘2조’ 육박
- [Deal Story]'BBB' 크레딧 한진, 올해 첫 공모채 완판
- [Deal Story]'올해 첫 자본성증권' KB금융, 추가청약 통해 '완판'
- [Deal Story]8배 수요 오일허브코리아여수 증액없이 발행
- [Deal Story]LG유플러스, 유효수요 '3조' 이정표 재현
- '지지부진' 카카오모빌리티 매각, 소수지분 구조로 선회하나
이정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국전력, 한국물 RFP 배포 기준에 IB '볼멘소리'
- [Korean Paper]주금공, 수은 이후 한국물 후속주자로 등판
- [Market Watch]한국물 키우는 토종 IB, 관건은 '세일즈 인력'
- [LG CNS IPO]공모가 상단 유력…빅딜 주인공 등극 '눈앞'
- 한국전력, 올해 한국물 주관사 선정 나섰다
- [CFO 워치]장정훈 신한증권 부사장, '1년물' CP 활용법 이어간다
- [Korean Paper]달라진 SSA 투심…산업은행 딜에도 영향 미칠까
- [Korean Paper]계엄 우려에도…수출입은행, 금리 더 낮췄다
- DB금투, 스팩으로 올해 '마수걸이' 예심청구
- 한국물 첫 주자 수은, 투자자 선택지 확대 '총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