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작법인 재무 점검]손 잡은 보람 있네…롯데GS화학, 본가와 달리 '순항'2년 연속 순이익률 10%대…GS칼텍스·롯데엠시시와 주로 거래
박기수 기자공개 2024-12-10 08:35:43
[편집자주]
생존을 위해 서로 투쟁하는 기업들도 이해관계만 맞으면 손을 잡는다. 치열하게 자리 싸움을 하던 경쟁사들이 손을 잡으면 때로 '1+1=2' 이상의 시너지 효과가 나기도 한다. 지분 투자를 통해 세워진 합작법인의 이야기다. 하나의 법인이지만 주요 주주들은 둘 이상이기에 합작법인의 재무 전략은 통상의 법인과 다른 경우가 많다. THE CFO는 업종별 주요 합작법인들의 경영과 재무의 현주소를 살펴본다. 더불어 합작법인을 움직이는 이사회도 들여다본다.
이 기사는 2024년 12월 06일 08시31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롯데케미칼과 GS에너지의 합작사 롯데GS화학이 2022년 상업 생산 시작 이후 순항하고 있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10%대 순이익률을 기록 중이다.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롯데GS화학은 올해 3분기 누적 매출과 순이익으로 각각 2757억원, 306억원을 기록했다. 순이익률은 11.1%다. 작년 연간 기준 롯데GS화학의 매출과 순이익은 각각 2865억원, 368억원으로 순이익률 12.9%를 기록했다.
롯데GS화학은 롯데케미칼과 GS에너지가 2020년 2월 합작해 세운 기업으로 지분율은 롯데케미칼 51%, GS에너지는 49%다. 법인 설립 후 2022년 7월부터 상업 생산에 들어가기 시작했다. 본격적인 실적은 2023년부터 나오기 시작헀다.
롯데GS화학은 C4 유분과 프로필렌·벤젠 등을 원료로 해 △부타디엔(13만톤) △TBA(Tertiary-Butyl Alcohol, 10만톤) △MTBE(2만톤) △BN-1(6만톤) △아세톤(21만5000톤) △페놀(35만톤) △비스페놀-A(BPA, 24만톤) 등을 생산한다.
이 제품들은 합성고무나 합성수지 등 다운스트림 제품의 원료로 쓰인다. 그러면서도 롯데케미칼의 기초화학 제품보다는 후공정이 들어간 제품이라 현 석유화학 불황기에 직격탄을 받는 제품군 범위에서는 조금 벗어나 있다.
부타디엔의 경우 합성고무와 합성수지의 원료로 사용된다. TBA의 경우 플라스틱인 MMA의 원료로 사용된다. 아세톤은 용제 및 BPA의 제조원료로, 페놀은 BPA, 페놀수지 등 다양한 화학물질의 원료로 사용된다. BPA는 폴리카보네이트와 에폭시의 원료로 사용된다.
합작사답게 주요 거래는 모회사들과 롯데그룹의 MMA 제조사인 롯데엠시시다. 작년의 경우 롯데GS화학은 GS칼텍스로부터 원료 등을 2011억원에 매입했다. 작년 매출원가가 2629억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대부분의 원료 수급을 GS칼텍스에서 하고 있는 셈이다. 올해 역시 GS칼텍스의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1891억원의 제품을 GS칼텍스로부터 매입했다.
매출도 모회사들에게 일부 의존하고 있다. 작년 매출 2865억원 중 1207억원이 롯데케미칼과 롯데엠시시, GS칼텍스 등 특수관계자 거래로부터 발생했다. 올해도 3분기 누적 롯데케미칼과 GS칼텍스에 각각 약 263억원, 554억원의 매출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롯데GS화학은 C4 유분과 프로필렌·벤젠 등을 원료로 해 △부타디엔(13만톤) △TBA(Tertiary-Butyl Alcohol, 10만톤) △MTBE(2만톤) △BN-1(6만톤) △아세톤(21만5000톤) △페놀(35만톤) △비스페놀-A(BPA, 24만톤) 등을 생산한다.
이 제품들은 합성고무나 합성수지 등 다운스트림 제품의 원료로 쓰인다. 그러면서도 롯데케미칼의 기초화학 제품보다는 후공정이 들어간 제품이라 현 석유화학 불황기에 직격탄을 받는 제품군 범위에서는 조금 벗어나 있다.
부타디엔의 경우 합성고무와 합성수지의 원료로 사용된다. TBA의 경우 플라스틱인 MMA의 원료로 사용된다. 아세톤은 용제 및 BPA의 제조원료로, 페놀은 BPA, 페놀수지 등 다양한 화학물질의 원료로 사용된다. BPA는 폴리카보네이트와 에폭시의 원료로 사용된다.
합작사답게 주요 거래는 모회사들과 롯데그룹의 MMA 제조사인 롯데엠시시다. 작년의 경우 롯데GS화학은 GS칼텍스로부터 원료 등을 2011억원에 매입했다. 작년 매출원가가 2629억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대부분의 원료 수급을 GS칼텍스에서 하고 있는 셈이다. 올해 역시 GS칼텍스의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1891억원의 제품을 GS칼텍스로부터 매입했다.
매출도 모회사들에게 일부 의존하고 있다. 작년 매출 2865억원 중 1207억원이 롯데케미칼과 롯데엠시시, GS칼텍스 등 특수관계자 거래로부터 발생했다. 올해도 3분기 누적 롯데케미칼과 GS칼텍스에 각각 약 263억원, 554억원의 매출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2년 연속 우수한 실적을 거두면서 롯데GS화학은 재무구조도 안정적인 수준에서 관리되고 있다. 올해 3분기 말 기준 롯데GS화학의 부채총계와 자본총계는 각각 6557억원, 4420억원이다. 부채비율은 148.4%다.
롯데GS화학은 정종식 롯데케미칼 상무가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사내이사진으로는 한기옥 GS에너지 경영기획부문장과 전상배 전 GS칼텍스 특수감사팀장이 있다. 롯데 측에서는 롯데케미칼 최고재무책임자(CFO)인 성낙선 상무와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올레핀부문장인 정종식 상무가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세아제강지주의 변신]김철홍 전략담당 이사 "주주들, 하반기 해상풍력 성과확인"
- [thebell desk]무안공항 참사, 국토부 책임은 없을까
- [i-point]코스모신소재, 동종업계 유일 5년 연속 흑자
- [i-point]신테카바이오, AI 언어모델 기반 ‘LM-VS’ SaaS 런칭
- [Deal Story]한솔케미칼 4년만에 공모채 복귀전 '달라진 존재감'
- 금감원 부원장보, 증권사 CFO 호출…무슨 얘기 나눴나
- KB금융의 '호부호형'
- [Gallery Story]서정아트, 이태원 분점 추진 '갤러리 비즈니스 키우기'
- [갤럭시 언팩 프리뷰]삼성의 폼팩터 혁신, XR 기기 출격 주목
- [갤럭시 언팩 프리뷰]글로벌 1위 키워드 'AI·라인업 확대'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2025년 10대 그룹 재무 점검]굳건한 삼성바이오로직스, 실적·재무·수주 '3박자'
- [theBoard League Table]LIG넥스원, K-방산 '빅4' 중 이사회 평가 1위
- [theBoard League Table]자산 '13조' KCC, 거버넌스 평가는 중위권
- [2025년 10대 그룹 재무 점검]삼성SDI, 심상찮은 재무구조…투자 늘려도 되나
- [theBoard League Table]SK하이닉스, 거버넌스 '톱20' 안착…경영성과 '아쉬워'
- [2025년 10대 그룹 재무 점검]순현금 87조 삼성전자, 해소되지 않는 불확실성
- [ROE 분석]한화솔루션, ROE -20% 육박…뼈아픈 태양광 부진
- '부채비율' 삼성전자 27% vs 애플 310%, 재무구조 함의는
- [ROE 분석]현대글로비스, 부동의 ROE 두 자릿수…주주 성과 강자 입증
- [ROE 분석]HMM, 해운업 불황 우려 불식…ROE 또 '두 자릿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