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int]대동, 두산밥캣 미국법인 트랙터 OEM 계약 체결3600억 규모, 20~70마력대 중소형 제품 공급
김지원 기자공개 2024-12-09 12:33:56
이 기사는 2024년 12월 09일 12:33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미래농업 리딩 기업 대동은 두산밥캣 미국법인(Doosan Bobcat North America inc.)과 트랙터 OEM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공급 제품은 20~70마력대 중소형 트랙터와 파워트레인이며, 계약 금액은 3612억원이다. 지난해 대동 연결 매출의 약 25.2%에 달한다. 계약 기간은 2025년부터 2028년까지 4년이다.대동은 2018년 두산밥캣과 트랙터 공동 개발 계약을 시작으로 2019년 3036억원 규모의 20~60마력대 트랙터, 파워트레인 OEM 공급 계약, 2021년 700억원 규모의 다기통 디젤엔진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등 파트너십 관계를 이어가고 있다.
대동은 그룹이 77년간 농기계 사업을 영위하며 구축한 트랙터, 핵심 부품 경쟁력을 이번 계약 체결의 원동력으로 꼽았다. 대동은 △북미 티어(Tier)1 트랙터 제품 라인업 △수직계열화로 확보한 트랙터 핵심 부품인 엔진, 미션 경쟁력 △스마트 팩토리를 통해 향상된 제조 품질과 글로벌 생산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대동그룹은 대동과 두산밥캣과의 3600억원 트랙터 OEM 계약, 올해 대동기어가 수주한 현대자동차, 현대트랜시스 등에 공급하는 차량 전동화 부품 공급 1조4200억원의 계약 등을 합쳐 2024년에만 약 1조8000억원의 누적 수주를 달성했다.
관련해 △트랙터 생산 증대로 원부자재 구매 경쟁력 확보 △장기 공급으로 생산 역량 입증하며 글로벌 OEM 고객 추가 확보 △트랙터 미션, 엔진 부품을 공급하는 대동기어, 대동금속의 신사업 투자 여력 확대 △그룹 로봇, 모빌리티 사업에 필요한 전동화 기술 시너지 효과 등을 기대하고 있다.
대동 박준식 커스터머비즈(CustomerBiz)부문장은 "이번 계약으로 대동의 제품이 고객의 높은 요구 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성능과 품질 경쟁력 갖추고 있음을 다시 한번 보여줬다”며 “대동그룹은 전사적인 AI Transformation으로 제품 성능부터 생산, 품질, 부품 공급 관리 체계를 고도화해 농기계 사업 경쟁력을 높여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2025 카카오 리빌딩]문어발 잊어줘…새 동력 찾기 중심 '수익·이미지TF'
- [Company Watch]LGD, 작년 4분기 '흑자' 올해 기대·우려 '공존'
- SKT, AI 협업툴로 IT 대기업과 'B2B' 승부
- [코스닥 신사업 '옥석가리기']케이피에스, 디스플레이에서 제약바이오 전문사 변신
- [대진첨단소재 road to IPO]대형 고객사 따라 미국행, 공모자금 현지 공장 '올인'
- [코스닥 신사업 '옥석가리기']아티스트유나이티드, 광고·커머스 테크 분야 'AI 접목'
- [2025 제약바이오 모멘텀 점검]루닛, '볼파라' 업고 글로벌 강화…루닛스코프 확장도 주목
- [코스닥 상장사 매물 분석]'매각 본격화' 맥스트, 코스닥 큰손 '의기투합'
- [2025 제약바이오 모멘텀 점검]쓰리빌리언, '글로벌매출' 확장 원년…성장동력은 AI 신약
- [퀀텀점프 2025]AI 정비 마친 한컴, 수익화 '시동'
김지원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point]대동, 우크라이나에 트랙터 수출 본격 개시
- 금양인터내셔날, ‘펜폴즈 BIN 798 RWT 쉬라즈 스네이크 에디션’ 출시
- [Red & Blue]'미래 전장의 눈' 아이쓰리시스템, 비냉각형 센서 기대
- [i-point]'SAF 원료 첫 공급' DS단석, 바이오연료 영역 확장 본격화
- [KCC 비상경영 카드]R&D로 쌓아올린 기술력, 비상경영 탈출 열쇠될까
- [i-point]테크랩스, 솔트룩스·플루닛과 전략적 업무협약 체결
- [Red & Blue]조선업 슈퍼사이클 올라탄 성광벤드, 상승 랠리 지속
- [기술특례 새내기주 진단]KAI 품에 안긴 제노코, 유예기간 만료 '변수'
- [KCC 비상경영 카드]재무개선 열쇠, 결국 '모멘티브'가 쥐고 있다
- [KCC 비상경영 카드]모멘티브 인수비용 '만만찮네'...과제 '재무건전성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