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피탈사 생크션 리스크]M캐피탈, 대주주 변경 이후 줄어드는 제재 리스크효성캐피탈 3년 연속 당국 제재 받아…새마을금고 인수 이후 내부통제 강화 예상
김경찬 기자공개 2025-02-04 12:33:33
[편집자주]
캐피탈사 CEO들은 2025년 중점 과제로 내부통제 강화를 꼽았다. 캐피탈사는 타 업권 대비 금융사고나 제재 건수가 많지 않은 편이다. 그럼에도 금융당국은 업권에 대한 제재망을 강화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캐피탈사도 '생크션(Sanction) 리스크'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캐피탈사의 제재 현황을 살펴보고 내부통제 체계와 시스템 등을 점검해본다.
이 기사는 2025년 01월 24일 14시5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M캐피탈은 대주주 변경 이후 원활한 내부통제 작동이 이뤄지고 있다. 2021년 M캐피탈로 재탄생하면서 받은 제재는 단 한 건에 불과하다. 3년 연속 제재를 받았던 효성캐피탈 시절과 대조적인 행보다.M캐피탈은 또다른 변화를 앞두고 있다. 새마을금고중앙회가 인수하면서 새로운 대주주를 맞이하게 됐다. 최근 금융사고가 끊이지 않았던 새마을금고는 내부통제에 고삐를 죄고 있다. M캐피탈도 발맞춰 실질적인 내부통제체계 구축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효성캐피탈 전현직 대표 중징계 부과
M캐피탈 공시에 따르면 2010년 이후 총 5건의 제재를 받았다. 이중 4건은 전신인 효성캐피탈에서 받은 제재다. 효성캐피탈은 2017년부터 3년 연속 제재를 받으며 허술한 내부통제 시스템의 모습을 보여왔다. 그러나 M캐피탈로 리브랜딩한 이후로는 한 건의 제재를 받았다. 안정식 대표 체제에서 내부통제체계를 지속 강화하며 M캐피탈을 환골탈태 수준으로 변화시켰다.

효성캐피탈이 가장 강한 제재를 받았던 건 2014년이다. 대주주에 대한 신용공여를 제공하면서 이사회를 거치지 않고 의사록도 허위로 작성해 기관경고를 받았다. 부동산PF 대출도 부당 취급해 대출액 933억원 중 510억원의 부실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금융당국은 중과실로 판단하며 전현직 대표이사들에게 문책경고를 내렸다. 금융사 제재는 총 5단계며 기관경고부터 중징계로 분류된다. 문책경고 역시 중징계에 해당한다.
2017년에는 가장 많은 과징금이 부과됐다. 효성캐피탈은 여전사의 업무 취급 범위를 위반하면서 1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금감원에 따르면 효성캐피탈은 공모주 수요예측에서 배정받은 약 62억원 상당의 주식을 브이엠투자자문에게 양도했다. 이 과정에서 4억7200만원의 수수료 수익 등을 취득하면서 여전법상 업무 범위를 위반한 것으로 확인됐다.
◇안정식 대표, 내부통제 필요 조직 추가 구성 체계화
제재 리스크에 취약했던 효성캐피탈 시절과 달리 M캐피탈은 한발 빗겨나 있다고 볼 수 있다. 지난해 신용정보의 정확성 및 최신성 유지 위반으로 받은 제재가 유일하다. M캐피탈은 신규 취급한 자동차 운용리스 상품 40건에 대해 잔존가액 14억1700만원을 차감하지 않고 대출원금 33억9900만원을 등록했다. 리스이용자가 지급할 의무가 없는 잔존가액을 차감하지 않아 80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됐다.
이는 대주주 변경 이후 프로세스 개선 활동을 이어온 성과로 볼 수 있다. 안정식 대표는 내부통제에 필요한 조직을 구성하며 체계를 정교화했다. 기존 감사위원회에 대손심의위원회, 여신·투자심사위원회, 정보보호위원회 등을 추가로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내부통제 업무는 준법감시인이 총괄하며 내부통제정책을 지속 개선하고 있다.
최근에는 컴플라이언스 누수에 대한 내부통제 강화를 주문하고 있다. 금융업권 전반적으로 규제가 늘어나면서 리스크를 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M캐피탈은 전담부서인 준법감시부와 감사부를 통해 현업부서와의 인터뷰를 진행하며 발생 가능한 사안들을 사전에 차단하도록 했다. 간담회도 수시로 열어 임직원들의 윤리의식을 고취하며 프로세스를 지속 개선하고 있다.
올해 M캐피탈의 내부통제 기조는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새로운 대주주인 새마을금고중앙회의 정책에 보폭을 맞춰야 하기 때문이다. 부실 운영 행태가 드러난 새마을금고는 내부통제에서 광폭 행보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조기경보시스템을 고도화했으며 금고 내부통제팀 설치도 확대했다. 올해는 내부제보센터를 설치해 내부제보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금융권 AI윤리 현주소]지속가능한 혁신의 전제 '신뢰성'
- [Sanction Radar]미국 대러시아 제재 완화 검토…국내 NCC '원가개선' 기회오나
- [Sanction Radar]기업은행, '징계부가금' 도입한다
- [금융정보분석원 돋보기]국제신인도 '최고조' 박광 체제, 숙제는
- [금융권 AI 빅뱅과 리스크]OK금융의 전방위 AI 전략…계열사 협업으로 시너지 극대화
- 무보 워싱턴지사 내달 개소…트럼프 2기 대응 '정보전' 돌입
- [금융정보분석원 돋보기]초국경적 자금세탁 대응 위한 '유기적' 국제 공조
- 우리은행, 행장이 자금세탁방지 업무 직접 챙긴다
- 기관투자자, 이제는 행동할 때…이복현의 ‘Name & Shame’ 경고
- 중국 '배터리 의존' 줄이는 미국, K배터리 반사이익 볼까
김경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캐피탈업계 신경쟁 체제]iM캐피탈, 경쟁 대열 합류에 필요한 '신용등급' 상향 과제
- [캐피탈업계 신경쟁 체제]IBK캐피탈, 순익 3000억 시대 이끌 자산 운용 전략은
- [이사회 분석]현대커머셜, 경제 전문가 중용…어피너티 2인 체제 지속
- [캐피탈업계 신경쟁 체제]NH농협캐피탈, 범농협 연계 강점 디지털로 극대화 과제
- [캐피탈업계 신경쟁 체제]하나캐피탈, 리테일 상품력 강화 모색…다이렉트 '핵심축'
- [한국캐피탈은 지금]정상철 대표 "중장기 투자금융 강화, 내년 신용등급 상향 기대"
- [한국캐피탈은 지금]안정적 포트폴리오 속 견고한 수익성…대손비용 관리 '핵심'
- [한국캐피탈은 지금]군인공제회 핵심 계열사로…유동성 지원도 '든든'
- [한국캐피탈은 지금]거침없는 성장 가도…정상철 대표 목표 순익 1000억 순항
- OK캐피탈에게 필요한 '터닝포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