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리포트]호실적 낸 한신공영, 수익성 개선 비결은자체사업 준공 잇따르며 매출 증가, 영업이익 두 배 '껑충'
김서영 기자공개 2025-02-18 08:09:44
이 기사는 2025년 02월 17일 15시1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신공영이 지난해 원가율을 3%p 넘게 낮추면서 수익성을 크게 끌어올렸다. 매출원가율이 2023년 말 93%에서 작년 말 90%로 떨어졌다. '포항 한신더휴 펜타시티' 등 자체사업에서 준공이 잇따르며 원가율에 반영된 덕분이다.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한신공영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으로 1조4898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1조3090억원)와 비교해 13.8% 증가한 수치다.
연간 기준 호실적은 작년 3분기부터 예상됐다. 한신공영은 지난해 3분기 누적 매출액 1조96억원을 기록했다. 3분기 만에 누적 매출 1조 클럽에 진입하면서 업계 눈길이 쏠렸다. 전년 동기(9911억원)보다 1.9% 증가한 수치로 3분기 누적 매출액이 1조원을 웃돈 건 2020년 이후 4년 만이다.

이번 실적에서 눈길을 끈 건 영업이익이다. 한신공영은 작년 영업이익으로 342억원을 기록했다. 2023년 말 영업이익이 148억원이었던 것에 비해 131.8% 증가한 셈이다. 한신공영 관계자는 수익성 개선과 관련해 "매출 증가 및 원가율 하락에 따른 매출총이익 증가로 영업이익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한신공영의 호실적을 이끈 건 매출원가율 하락이다. 작년 말 기준 매출원가율은 90.09%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 말 93.19%였던 것보다 3.10%p 하락한 수준이다. 수익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매출원가율은 수치가 낮을수록 수익성 개선에 도움이 된다.
작년 3분기에 이어 4분기에도 자체사업 진행률이 진척되며 매출원가율 개선을 이뤘다. 3분기에는 이제 막 준공을 시작해 잔금이 들어오기 시작한 초창기였다. 4분기 들어서는 준공에 돌입하면서 인도 기준으로 수익이 인식되며 예정원가가 확정되며 원가율로 반영됐다.
4분기 매출 증가에 가장 크게 기여한 사업장은 '포항 한신더휴 펜타시티' 준공이다. 포항 펜타시티는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 내 공동주택용지를 매입하는 방식으로 추진됐다. 해당 단지는 두 개 블록에 지하 3층~지상 29층, 15개동, 2192가구 규모다. 포항 한신더휴 펜타시티에 책정된 도급액은 약 9000억원대로 추정된다.
한신공영 관계자는 "포항 펜타시티가 작년 말 준공되면서 인도 기준 수익 인식 규모가 가장 컸다"며 "작년 4분기 포항 펜타시티 잔금 40~50%가 들어와 매출로 인식됐다"고 말했다.
그 다음으로 원가율 개선에 기여도가 높은 건 세종시 6-3생활권 L1블록 '세종자이 더시티'다. 해당 단지는 GS건설과 컨소시엄을 이뤄 진행한 사업장이다. 세종자이 더시티가 준공되면서 예정원가였던 게 예산 확정으로 바뀌며 매출로 인식됐다. 또한 경북 포항 '학산 한신더휴 엘리트파크' 원가율도 하락해 수익성 개선에 한몫했다.
영업이익은 두 배 이상 개선됐으나 순이익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배경에는 세액 환급에 있었다. 2023년 한신공영은 경정청구를 통해 국세청으로부터 세액 환급을 받은 적 있다. 세액 환급 규모는 약 70억원으로 2023년 말 순이익에 해당 금액이 포함돼 있었다.
작년 말 잠정 순이익이 120억원으로 전년 순이익(237억원)과 비교해 49.2% 감소한 수치를 보였으나 이는 세액 환급에 따른 기저효과라고 한신공영 측은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임재택 대표 자리 지킨다…KCGI 인수의지는 '여전'
- 임재택 변심에 당황한 다올증권, 황준호 체제 이어지나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김광일 MBK 부회장 "전단채 내용 파악 아직"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고개 숙인 경영진, "모든 채권 변제 방침"
- '조단위 공모' DN솔루션즈, 유가증권시장 상장 시동
- 운용사 모으는 미래에셋증권, '포스트 IPO'까지 챙긴다
- NH프리미어블루, '알테오젠' 포트폴리오에 담았다
- 르네상스운용, '공모주플러스 2호' 펀드 론칭
- [교보악사운용은 지금]7년만에 ETF 시장 재진출…라인업 확보 필수불가결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하나증권, 단기물 투자자 대응에 '분주'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떠오르는 모듈러 건축]금강공업, 국내 최고층 주택 실증 '실력자'
- [떠오르는 모듈러 건축]자연과환경, '모듈러TF' 신설…흑자 기조 이어가나
- [떠오르는 모듈러 건축]자연과환경, 차세대 공법 'PC 모듈러' 미래 청사진은
- [이사회 분석]동부건설, 윤진오 사장 2연임…사외이사진 '과반'
- [이사회 분석]한신공영, 수익성 개선에 전재식 사장 '연임'
- [배당정책 리뷰]SGC E&C, 순손실에도 '10연속' 배당 행진
- [thebell note]건설사 '4월 위기설'에 대한 사견
- [이사회 분석]HL디앤아이한라, ESG 경영 체계 변천사는
- HL디앤아이한라, 준법지원인 장기 중용 배경은
- 코오롱글로벌, '휴게소 사업' 네이처브리지 접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