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인플러스저축, 여신관리 임원 재편…부실정리 '주력' 이달 초 임원 인사 통해 신재덕·권정인 팀장, 본부장 승진…"금융당국 가이드라인 준수"
유정화 기자공개 2025-03-25 12:36:34
이 기사는 2025년 03월 21일 12시5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이 이달 초 임원 인사를 통해 여신관리 업무를 담당하던 직원 2명을 임원으로 승진시켰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사업장 정리를 중심으로 고정이하여신(NPL) 관리 성과를 높이 평가한 것으로 풀이된다.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은 올해 건전성 관리를 최우선 과제로 정하고 부실채권 관리에 주력하고 있다. 앞서 취급한 부동산 대출에서 부실이 발생하며 건전성 지표가 크게 악화한 만큼, 올해 금융당국 가이드라인에 발맞춰 자산건전성을 제고하기 위한 다각적인 자구 노력을 지속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부실채권 상·매각 규모만 786억
21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은 이달 초 임원 승진 인사를 통해 신재덕 여신관리1팀장을 종합금융본부장(이사)으로 선임했다. 임기는 1년이다. 1977년생인 신 이사는 상상인저축은행과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을 오가며 종합금융, 여신관리를 담당해 온 인물이다.
동시에 권정인 여신관리2팀장도 이사로 승진하며 심사관리본부장으로 선임됐다. 1974년생인 권정인 이사는 푸른저축은행, 상상인저축은행에서 마포지점 지점장, 심사부 심사역, 감리팀장 등을 역임했다.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에선 여신관리2팀장으로 NPL 관리에 주력했다.

이번 임원 승진 대상자는 2명이 전부다. 여신관리 담당 인력 2명만 포함된 건 지난해 부실채권(NPL) 관리 성과 차원으로 풀이된다. 실제 다수 저축은행에서 임원 승진자에 여신관리 전문 인력이 늘어나는 추세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업황이 좋지 않아 보수적 영업에 나선 만큼, 여신관리 부서를 제외하곤 성과를 낼 수 있던 부서가 많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상상인저축은행의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고정이하여신은 2573억원이다. 금융당국이 PF 사업성 평가 기준을 강화했지만, 전분기(2660억원) 대비 87억원가량 감소한 모습이다. 지난해 9월 말까지 누적 부실채권 상·매각 규모는 786억원에 달한다. 이는 전년 256억원 대비 큰 폭으로 늘어난 수치다.
◇건전성 악화일로, 경·공매 플랫폼 통해 매각 진행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은 기업금융 특화 포트폴리오를 보유했다. 총여신(1조2775억원) 가운데 기업자금대출은 1조1조1433억원으로 전체 89.5%를 차지할 정도다. 특히 부동산, 건설업을 중심으로 대출을 취급했는데, 부동산 시장 한파가 장기화되면서 부실이 대거 발생했고 건전성이 크게 악화했다.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의 지난해 3분기 고정이하여신비율은 25.49%로 전년 동기(15.7%) 대비 9.79%p 악화했다. 연체율도 전년 동기(17.24%) 대비 1.88%p 하락한 19.12%로 나타났다. 특히 부동산 업종 가운데 건설업과 부동산업의 연체율은 48.88%, 38.64%에 이른다.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은 금융당국 가이드라인에 발맞춰 자산건전성을 제고하기 위한 다각적인 자구 노력을 지속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금감원은 개별 저축은행에 부동산PF 대출 내 고정이하여신에 대한 충당금 적립 기준을 높이는 등 저축은행업권에 신속한 NPL 정리를 요구하고 있다.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은 금융당국의 PF 사업장 정보 공개 플랫폼을 통해 부실 PF 사업장 1곳을 매물로 내놓은 상태다. 전라북도 전주시에 위치한 해당 사업장은 감정평가액 100억원이지만, 지난해 2차례 열린 공매에서 40억원이라는 최저입찰가에도 유찰된 바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GK인사이츠', 첫 이사회…'글로벌 베스트 컴퍼니' 프로젝트 시동
- 이차전지 상장사 윤성에프앤씨, 400억 CB 발행 성공
- '대형 PE 각축' LG화학 워터솔루션 인수전, 글랜우드 PE 승기
- [Korean Paper]등급전망 '긍정적' 동양생명, 5년만에 후순위채 복귀전
- 리브스메드, 흑자전환 여건 개선…5월 예심청구
- 혁신산업펀드, 성장지원 지원자 대거 서류 탈락
- 롯데칠성음료, '새로' 고객 접점 확대에 방점
- [New Issuer]한국물 데뷔 도전 포스코홀딩스, '장기물' 베팅 전략
- [코스닥 유망섹터 지도]미국발 훈풍, 국내 LNG 플레이어 수혜 '부각'
- 두산건설, '창원 메가시티 자이&위브' 무순위 청약
유정화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교보생명 SBI저축 인수]1조4000억 들여 이뤄낸 '1위 저축은행', 매각 배경은
- KB저축, 흑자전환 성공…BIS비율 14% '돌파'
- 내부통제 '고삐' SBI저축, 그룹 준법 프로그램 가동
- HB저축, 새 CRO에 'SC제일' 출신 김창학 이사 영입
- [신협 부실여신 관리 점검]'PF 후폭풍' 신협중앙회, 위기대응 역량 '시험대'
- [애큐온은 지금]보폭 다른 스웨덴계 사모펀드의 ESG경영, 핵심은 'G'
- [신협 부실여신 관리 점검]7.5조 NPL 정리 속도…걸림돌은 대부업 '자산한도'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대구·경북·강원권, 가계대출 한계…자산 '제자리걸음'
- [애큐온은 지금]저축은행 '빅5' 이끈 김정수 대표의 디지털금융 전략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스마트저축, 비수도권 순익 1위 배경엔 '리스크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