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공시대상기업집단]사조그룹, M&A로 커진 몸집…대기업집단 '첫 진입'동일인은 주진우 회장, 사조CPK·푸디스트 인수 효과 ‘주효’
김혜중 기자공개 2025-05-09 07:56:36
이 기사는 2025년 05월 02일 14시4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창립 55주년을 맞이한 사조그룹이 자산 규모가 5조원을 넘어서며 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편입됐다. 2024년 사조CPK와 푸디스트 등 연달아 대규모 M&A를 진행하면서 몸집을 키운 영향이다.다만 대기업집단에 포함되며 내부거래 제한 및 비상장사 공시 등 제약도 함께 늘어났다는 평가다. 그룹 전반이 부진한 실적을 기록하는 가운데 수익성 개선 등의 과제도 상존하고 있다.
◇잇단 인수 속 자산규모 1년만 1.4조 증가한 '5.3조'
공정거래위원회가 1일 발표한 ‘2025년 대기업집단(공시대상기업집단) 지정 현황’에 따르면 사조그룹은 재계 순위 88위에 위치했다. 사조그룹이 대기업집단에 편입된 건 1971년 창립 이래 처음이다.
동일인은 사조산업의 대표이사로 복귀한 주진우 회장이다. 사조그룹은 주 회장의 장남인 주지홍 부회장이 지주회사 사조시스템즈 지분을 57.32% 보유하면서 사실상의 승계 절차를 마쳤다. 2022년부터는 그룹 부회장으로 승진해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었다.
다만 여전히 주진우 부회장이 그룹 총괄 회장으로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동일인으로 지정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그룹의 실질적인 지주사 역할을 하고 있는 사조산업 대표이사에도 21년만에 복귀하면서 여전한 영향력을 뽐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총수의 지분율뿐만 아니라 경영활동 및 임원 선임 등에 있어 영향력인 간접기준도 함께 고려한다.
사조그룹의 계열회사 수는 총 40곳으로, 이를 합산한 공정자산총액은 5조2570억원에 달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공정자산총액이 5조원 이상일 경우 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임명하고, 명목 GDP의 0.5% 이상인 경우 상호출자제한집단으로 지정하고 있다. 해당 규모는 11.6조로 사조그룹은 여기에 미치지 못했지만 총 92개 공시대상기업집단 중 88위에 위치했다.

사조그룹의 이번 공시대상기업집단 편입에는 2024년 인수한 사조CPK(옛 인그리디언코리아)와 푸디스트가 주효했다는 평가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사조그룹이 지난해 7개사 인수를 통해 자산이 1조4000억원가량 증가하면서 공시대상기업집단으로 신규 지정됐다고 언급했다.
사조그룹은 식품 계열사 사조대림을 내세워 2023년 사조CPK지분 100%를 3840억원에 인수했다. 당시 별도기준 사조대림 순자산의 80%가 넘어가는 대형 거래였다. 사조CPK는 글로벌 소재 기업 인그리디언의 한국 자회사로, 전분당 시장에서 대상에 이어 국내 2위 사업자에 속한다.
2024년에도 대형 M&A가 있었다. 식자재 및 급식업을 영위하는 푸디스트 지분 99.86%를 2520억원에 사들였다. 사조오양과 사조CPK가 각각 800억원, 1720억원을 통해 지분 31.7%, 68.16%를 확보했다.
◇순환출자 제한은 아냐, 공시의무·실적개선 등 과제 산적
대기업집단에 신규 편입된 사조그룹은 5월 1일부터 대규모 기업집단 시책을 적용받는다. 공정거래법에 따른 공시 의무(대규모내부거래 의결 및 공시, 비상장회사 중요사항 및 기업집단 현황 공시, 공익법인 이사회 의결 및 공시)와 더불어 특수관계인에 대한 부당 이익 제공 금지 등이 적용 대상이다.
다만 상호출자제한집단에는 속하지 않아 사조그룹이 구축해 둔 순환출자의 고리는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조그룹은 계열사들끼리 3% 수준의 지분을 상호 보유하는 특이한 지배 구조를 지녔다. 주주총회에서 소액 주주들의 도전을 받고 있는 만큼 주요 안건 결의를 위해 계열사끼리 지분율 3%를 만드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받고 있다.
그룹 규모는 커지고 있지만 실적이 뒷받쳐주지 않고 있다는 점도 고민거리다. 사조그룹 사실상 지주회사이자 주력 계열사인 사조산업은 2023년 20여년만에 적자를 기록했고 2024년에도 94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대규모 자금을 투입한 푸디스트도 2024년 영업이익 7억원을 기록하면서 2023년 대비 91% 감소하기도 했다. 기존 계열사와 함께 새로 인수한 계열사의 수익성 개선이 시급한 시점이다.
업계 관계자는 “대기업집단은 기업 규모를 가늠하기 좋은 지표지만 그만큼 제약과 규제도 함께 따라오는 만큼 편입을 마냥 반길 수만은 없을 것”이라며 “물론 내부에서 인수합병 당시 편입 여부까지 고려했을테니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i-point]아이티센글로벌,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에 '센골드' 지분 매각
- LNG터미널 품은 포스코인터, 밸류체인 구축 '본격화'
- [i-point]케이쓰리아이, 아시아 최대 메타버스 전시회 참가
- [철근업계 체력 점검]저평가 '고착화'...덩치에 따라 기업가치 '희비'
- [영상]돌아오는 방탄소년단…하이브 주가 '불타오르네'
- [삼성전기는 지금]실적 반등 성공, 넥스트 스텝 주목
- [롯데쇼핑 '트랜스포메이션 2.0' 점검]그로서리 1번지 비전 구체화, '내실→확장' 전략 가동
- [유증&디테일]'자본잠식' 넥스트칩, 채무상환용 일반공모 증자
- [더즌 줌인]아마존향 신규 매출, 실적 가이던스 '좌우'
- [i-point]이엠앤아이, OLED 소재 글로벌 스마트기기용 공급
김혜중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2.5조' 계속기업가치 산정 배경은
- 프리드라이프 품은 웅진, '선수금 활용'에 쏠리는 눈
- [신세계-CJ 맞손 1년]변화의 기로, 범삼성가 협약으로 '활로 모색'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몸값 '3.7조+α', 'SSM·부동산' 분리매각 가능성 대두
- '인가 전 M&A' 여파, MBK파트너스 구주 손실 불가피
- [thebell note]김인규 하이트진로 대표에게 시장이란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회생계획안 제출 'D-30', 핵심 쟁점은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연간 '950억' CAPEX, 투자 규모 '엇갈린 평가'
- 윤홍근 BBQ 회장 "2030년 해외 가맹점 5만개 목표 집중"
- [삼양바이오팜 분할]존속 법인 삼양홀딩스 재무 영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