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5년 06월 04일 08시0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성과를 내려면 비용이 든다. 영업이든 마케팅이든 접점이 필요한 일에는 일정한 자금 소요가 따라붙는다. 증권사도 마찬가지다. 사람을 만나고, 관계를 만들고, 기회를 잡는 과정에서 법인카드는 오랜 시간 자연스러운 수단이자 관행이었다.증권사 실무자들 사이에서 요즘 가장 조심스러운 건 법인카드다. 누구랑 밥을 먹었는지, 무슨 자리였는지를 일일이 적어야 한다. 그저 쓴 만큼 쓰던 과거와 달리 이제는 사용의 정당성과 맥락이 더 중요해졌다. 조직은 '성과 없는 비용'을 줄이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고정비를 줄인다는 차원이 아니라 자원을 더 잘 쓰자는 취지에 가깝다.
메리츠증권은 올해 초부터 이런 흐름을 선도하고 있다. 누굴 만났고 어떤 자리였는지를 영수증에 기재하는 게 기본이 됐다. 그러다보니 애매한 자리는 스스로 줄이게 된다는 게 현장 얘기다. 내부에서는 줄인 비용이 성과급으로 돌아올 거란 기대도 자연스럽게 따라붙는다.
신한투자증권도 비슷한 분위기다. 일부 부서에선 식사 자리에 참석한 고객 이름을 쓰지 않으면 비용 처리가 어렵다는 말도 돈다. 한 PB는 "이제는 누굴 만났는지보다 왜 만났는지가 더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괜한 자리는 줄고 목적이 있는 만남에 집중하게 됐다는 얘기도 했다. 전면적인 통제없이 분위기만 바꿨을 뿐인데 결과적으로 비용도 줄고 일의 밀도도 높아졌다는 평가도 들린다.
물론 불편함이 없는 건 아니다. 누구를 만나는 자리인지 매번 적어내는 건 실무자 입장에선 번거로운 일이다. 업무가 아니라 보고를 위한 카드가 됐다는 얘기도 나온다. 그래도 방향 자체에 대한 이견은 거의 없다는 전언이다.
단순한 절감보다는 조직 내 자원 활용의 정돈이라 할 수 있다. 메리츠증권과 신한투자증권은 이런 정돈의 흐름을 빠르게 정착시킨 곳들이다. 낭비를 줄이는 데 그치지 않고 일하는 방식까지 바뀌고 있다는 점이 핵심이다.
지출에 맥락을 요구하는 건 일의 목적을 다시 묻는 일이기도 하다. 무의미한 소비 없이도 일이 돌아간다는 사실은 조직에 적잖은 울림을 준다. 증권사 본업이 결국 성과로 이어지는 만남에 있다는 걸 다시 확인한 셈이다. 작은 절제 속에서 일의 본질을 찾으려는 시도는 결국 조직을 더 단단하게 만든다.
크게 드러나지 않아도 흐름은 분명하다. 법인카드 한 장을 둘러싼 달라진 풍경 속에서 조직은 본질에 조금 더 가까워지고 있다. 눈에 보이는 절감보다 더 깊은 변화, 그 조용한 움직임을 응원하게 되는 이유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피플&오피니언
-
- [thebell note]쪼개면 독립적일 거란 착각
- [thebell note]안준형 오아시스 대표의 티몬 살리기
- [thebell desk]'완전 무죄' 이재용의 길
- [2025 더벨 M&A 포럼]"크레딧 투자, 하방 방어에서 산업별 맞춤 전략으로 진화"
- FI 돈 안 갚는 대기업
- [thebell note]'유령섬' 벗어려나려는 거북섬
- 주주라는 이름의 무게
- [thebell note]나보타의 신화, 인보사의 진화
- [thebell note]100년 보험사가 생기려면
- [thebell interview]"CEO·CFO에게 수시로 조언하고 피드백 전달"
고은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트라움운용, NPL 힘준다…전담 본부 신설도 검토
- 행동주의 이끈 얼라인운용, '은행주 캠페인' 1막 종료
- 얼라인운용, 첫 행동주의 우리금융펀드 청산 '잭팟'
- [Monthly Review/인사이드 헤지펀드]KB증권 PBS 독주, 2위와 격차 더 벌렸다
- [Monthly Review/인사이드 헤지펀드]사상 첫 설정액 60조, 대체펀드 자금몰이 두각
- [thebell PB Survey]자산가 투자 심리 반등…리스크 테이킹 '공격적'
- VIP 한국형 가치투자 펀드, 새 정부 출범 속 '기대감'
- [메리츠증권 리테일 리뉴얼]상품 중심 탈피, 딜 기반 자산관리 '변신'
- [thebell interview] "자산아닌 사람, WM 핵심은 신뢰"
- [메리츠증권 리테일 리뉴얼]자산가 커버리지 재정비, WM 전환점 됐다